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올로프 팔메

덤프버전 :




올로프 팔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사회민주노동당(스웨덴)|파일: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흰색 아이콘.svg {{{#WHITE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대표}}}]]




스웨덴 제26대 총리
스벤 올로프 요아킴 팔메
Sven Olof Joachim Palme
파일:statsminister_olof_palme.jpg
출생1927년 1월 30일
스웨덴 스톡홀름 외스테르말름
사망1986년 2월 28일 (향년 59세)
스웨덴 스톡홀름 스베아베겐 거리
묘소스웨덴 스톡홀름 아돌프 프레드리크 교회
재임기간제26대 총리 1기
1969년 8월 14일 ~ 1976년 8월 8일
제26대 총리 2기
1982년 8월 8일 ~ 1986년 2월 28일
서명
파일:Olof_Palme_Signature.svg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군나르 팔메[1]
어머니 엘리자베스 폰 크니림[2]
배우자옐레나 레네로바(이혼)[3]
리스베트 팔메(재혼)[4]
자녀장남 페르 요아킴 팔메[5]
차남 모르텐 올로프 팔메[6]
삼남 마티아스 예르비스 팔메[7]
학력캐니언 칼리지 (철학 / 학사)
스톡홀름 대학교 (법학 / 석사)
병역스웨덴 왕립 육군 기병대 전역
신체174cm
최종 당적


[1] 1886년 출생, 1934년 사망.[2] 1890년 출생, 1972년 사망.[3] 1948~1952년[4] 1956~1986년[5] 1958년 출생[6] 1961년 출생[7] 1968년 출생
1. 개요
2. 약력
4. 소속 정당
5.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스웨덴의 정치인. 제 26대 총리를 지냈으며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의 당수를 역임했다.

20세기 후반기 두 번에 걸쳐 총리직을 역임하며 현대 복지 국가의 모범으로 꼽히는 스웨덴의 복지 체계를 완성시켰으며, 중립국으로서 독자적 외교노선을 표방해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사실상 오늘날의 스웨덴을 설계한 인물. 그러나 1986년 신원 미상의 범인이 쏜 총에 암살당한 비운의 인물이기도 하다.


2. 약력[편집]


  • 1950.2. 스웨덴 학생회연맹 국제분과위원회 위원장
  • 1952.3. 스웨덴 학생회연맹 의장
  • 1955. 스웨덴 사회민주청년연맹 이사
  • 1957. 상원의원 (옌셰핑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
  • 1963. 무임소장관
  • 1965. 교통통신부 장관
  • 1967. 교육부 장관
  • 1969. 5. 제26대 스웨덴 총리


3. 생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올로프 팔메/생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갑작스런 죽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올로프 팔메 총리 암살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동안의 야당 시절을 거쳐 1982년 다시 총리로 재직한 팔메였지만, 1986년 2월 28일 저녁, 아내와 단둘이서 스톡홀름 시내의 극장에서 영화를 감상하고 지하철을 타러 가던 중 길에서 끝내 괴한의 에 맞아 숨지고 말았다. 향년 59세.

본래 팔메 총리는 격식 차리는 것을 안 좋아해서 국왕 다음의 상서열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경호원 없이 다니는 걸 즐겼다고 한다. 그 날도 마침 경호원이 없었다. 그 탓에 속절없이 죽음을 당하고 만 것이다. 물론 지하철 타고 돌아다닐 정도면 경호원이 있어도 완벽한 경호는 불가능했겠지만.

더 놀라운 것은 현직 총리가 길에서 암살당한 사건인데도 현재까지도 범인이 잡히지 않은 미제 사건이라는 것이다. 지금으로선 찾을 수 없다.[1] 이외에도 추정 용의자들은 많이 거론되었지만 아직 해결되진 않았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49 - 1986임기중 사망


5. 기타[편집]


  • 종종 존 F. 케네디로버트 F. 케네디와 비교되곤 한다. 유복한 환경에서 자라났지만 진보 정당에서 활동하며 젊은 나이에 총리에 취임해 평화주의적인 정책을 펼쳤고 비극적으로 암살되었다는 점까지 똑같기 때문이다.

  • 팔메는 국내정치뿐 아니라 국제외교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목소리를 낸 정치인이다. 대표적으로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군사 행위를 비난하였고 이란-이라크 전쟁을 중재하는 등 세계평화를 위해 발 벗고 나서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소련의 동유럽 국가에 대한 내정간섭 문제나 스페인의 프랑코 정권,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 칠레의 피노체트 정권 등에 대해선 강하게 비판했다.

  • 덕분에 대한민국과도 인연이 있는데 김대중 대통령이 야당 정치인 겸 민주화 운동가였던 시절 군부 출신 권위주의 정권인 박정희 정부전두환 정부로부터 목숨을 위협받을 때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와 함께 여러차례 국제 여론을 움직여 DJ를 구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운동을 좋아하는 것을 넘어서 재능 있는 스포츠맨이기도 했다. 특히 스키를 매우 잘 탔던 터라 여러 국제 대회에서 스웨덴 국가대표로 출전한 경험도 있다. 또한 열렬한 축구 팬이었고 스톡홀름의 지역 팀에서 뛰기도 했다.

  • 열렬한 여행자이기도 했는데, 방학을 할 때면 유럽과 미주 전역의 여러 나라에서 시간을 보냈다. 이러한 경험들은 그를 다른 문화와 삶의 방식에 노출시켰고 세상에 대한 그의 관점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었다.

  • 절친이었던 잉바르 칼손과 여러모로 비교되는 모습이 많다. 칼손은 어려서부터 가난한 환경에 학교가 끝나면 집 근처의 공장에서 8시간 이상 중노동을 했었던 반면, 팔메는 스톡홀름의 부유한 가문 출신이었다. 두 사람 모두 타게 엘란데르의 보좌관으로 발탁되어 정치에 입문했다. 공교롭게도 두사람 모두 총리 재임 시절 에게 정권을 내주었다가 재집권한 적이 있다.

  • 팔메와 칼손 두 사람은 사회적 배경이 달랐는데도 정치를 지적이고 전술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을 공유했다. 칼손은 팔메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특히 1980년 스웨덴 원자력 발전소 국민투표에 관한 투표 직전 당내 논의에서 '특급 해결사'가 되어주었다.

  • 핵확산 방지 노력과 아프리카 민족회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폴리사리오 전선 등의 독립운동은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렇게 꽃피운 스웨덴의 중재외교가 현재까지도 스웨덴의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런 면에서는 오만카부스 빈 사이드 국왕과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2]



6. 둘러보기[편집]



||


파일:external/anticap.files.wordpress.com/socialdemocracy.png
사회민주주의
[ 펼치기 · 접기 ]

주요 개념경제적 개입주의 · 공동체주의 · 공정무역 · 국가사회주의 · 국제주의 · 노동운동 · 노동조합 · 민주주의(경제민주주의 · 대의민주주의 · 자유민주주의) · 복지국가 · 시민자유 · 자유무역 · 사회개량주의 · 사회 정의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제3의 길 · 협동조합주의 · 혼합경제
연관 이념21세기 사회주의 (일부) · 사회자유주의 · 윤리적 사회주의 · 자유사회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 (일부) · 진보주의(경제적 진보주의)
대표적 인물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 가타야마 데츠 · 넬슨 만델라 · 다비드 벤구리온 · 라사로 카르데나스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룰라주의) · 무라야마 도미이치 · 버니 샌더스 · 버트런드 러셀 · 브루노 크라이스키 · 빌리 브란트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 에다 사부로(구조개혁론)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올로프 팔메 · 유진 V. 데브스 · 자와할랄 네루 · 제러미 코빈 · 존 커틴 · 타게 엘란데르 · 클레멘트 애틀리 · 토니 블레어(블레어주의) · 페르 알빈 한손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 해럴드 윌슨
단체국제 노동조합 연맹 · 사회당(유럽 사회당) · 사회민주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관련 문서노동 시오니즘 · 삼민주의(삼균주의) · 인터내셔널가 · 지도주의 · 키르치네르주의 · 핑크 타이드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호
정치정치 전반 · 국왕 · 베르나도테 왕조 · 스톡홀름 왕궁 · 총리 · 의회 · 스웨덴 정부 · 행정조직
역사역사 전반 · 바이킹 · 이교도 대군세 · 칼마르 동맹 · 북방전쟁 · 스웨덴 제국 · 대북방전쟁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외교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 관계 · 스웨덴-핀란드 관계 · 범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스웨덴 여권 · NATO
지리지역구분 · 북유럽 · 스칸디나비아 반도 · 북극 · 백야 · 극야 · 오로라 · 순록
경제스웨덴/경제 · 스웨덴 크로나 · 스웨덴 반올림 · 발렌베리 가문 · Investor AB · 이케아 · 에릭슨 · 사브 · 볼보 · 코닉세그 · Spotify · 아스트라제네카 · H&M · 일렉트로룩스 · 살트셰바덴 협약
국방스웨덴군 · 스웨덴 육군 · 스웨덴 해군 · 스웨덴의 핵개발
과학·기술노벨상 · 블루투스 · 다이너마이트 · 린네식 계통분류체계 · 이명법
문화북유럽 신화(발키리 · 발할라 · 라그나로크 · 트롤) · 루터교회(스웨덴 교회) · 스웨덴 요리 · 스웨덴 영화 · 스웨덴 드라마 · SVT · 말괄량이 삐삐 · 닐스의 모험 · 스웨디시 팝 · ABBA
스포츠알스벤스칸 · 수페레탄 · 다말스벤스칸 · 축구 선수/스웨덴 · 스웨덴 축구 협회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교통다겐 H · 외레순 다리 · 철도 환경 · 스톡홀름 지하철 · SJ 2000 · 스칸디나비아 항공 · TUI fly 노르딕
언어북게르만어군 · 스웨덴어 · 사미어
인물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알윌다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 칼 14세 요한 · 알프레드 노벨 · 마르쿠스 페르손 · 올로프 팔메 · 다그 함마르셸드 · PewDiePie · 그레타 툰베리
민족노르드인 · 스웨덴인 · 스웨덴계 미국인 · 스웨덴계 핀란드인 · 스웨덴계 캐나다인 · 스웨덴계 러시아인 · 사미족 · 이라크계 스웨덴인 · 러시아계 스웨덴인
기타스웨덴/교육 · 호그스콜레프로비엣




[1] AP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검찰은 34년간 미제로 남아 있던 이 사건을 종결한다고 밝혔는데 유력 용의자로 사건 현장에 있었던 당시 52세의 스티그 엥스트룀이 2000년 이미 숨졌다는 이유에서다.[2] 주로 스웨덴은 북한과 관련된 중재를, 오만은 이란과 관련된 중재를 한다는게 특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3:25:17에 나무위키 올로프 팔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