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 국민의회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 국시 · 갈리아 · 마리안
역사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프랑스 왕국(왕정복고 · 7월 왕정) · 프랑스 혁명(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 ·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 · 프랑스 2월 혁명 · 프랑스 제국(보나파르트 왕조 · 프랑스 제1제국 · 프랑스 제2제국 · 프랑스 식민제국) · 프랑스 제1공화국 · 프랑스 제2공화국 · 프랑스 제3공화국(1934년 프랑스 폭동) · 비시 프랑스 · 자유 프랑스 ·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 제5공화국
사회인구 · 행정구역(일드프랑스)
교통철도 환경(SNCF · 트랑지리엥 · RER · TGV · TGV 리리아 · OUIGO · 유로스타 · Thalys · 파리 지하철) · 공항 목록(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 · 파리 오를리 공항) · 오토루트 · 미요교 · 채널 터널 · 몽마르트 케이블카
정치정치 전반 · 헌법 · 민법 · 행정구역 · 정부 · 행정조직 · 의회(상원 · 국민의회) · 대통령 · 총리 · 엘리제 궁전 · 뤽상부르 궁전 · 콩세유데타(국사원) · DGSE · DGSI
선거대통령 선거 · 상원의원 선거 · 국민의회 선거 · 지방선거 · 레지옹 선거 · 데파르트망 선거 · 유럽의회 선거
정당앙 마르슈! · 공화당 · 사회당 · 국민연합
외교외교 전반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냉전 · 신냉전 · 한불관계 · 영불관계 · 불일관계 · 미불관계 · 친불
경제경제 전반 · 영광의 30년 · 프랑스 프랑(폐지) · 유로 · 에어버스
교육교육 전반 · 바칼로레아 · 그랑제콜
국방프랑스군 · 역사(대육군) · 프랑스 육군 · 프랑스 해군 · 프랑스 항공우주군 · 프랑스 국가 헌병대 · 프랑스군/계급 · 징병제(폐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프랑스군/무기개발사 · 프랑스의 핵개발 · 유로사토리
문화문화 전반 · 프랑스 영화 · 프랑스-벨기에 만화(아스테릭스) · 프랑스 요리(지리적 표시제) · 샹송 · 세계유산 · 라이시테 · 르몽드 · 프랑스인 캐릭터
지리라 망슈 해협(칼레 해협) · 알프스 산맥(몽블랑 · 샤모니몽블랑 · 에비앙레뱅 · 레만호) · 피레네 산맥
언어프랑스어 · 지방 언어(가스코뉴어 · 노르만어 · 룩셈부르크어 · 리구리아어 · 바스크어 · 브르타뉴어 · 오일어 · 오크어 · 왈롱어 · 카탈루냐어 · 코르시카어) · 프랑코포니 · 라틴 연합 · DELF/DALF · 불어불문학과
스포츠프랑스 올림픽 대표팀 · 프랑스 축구 연맹 · 리그 1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미셸 플라티니 · 지네딘 지단)
관광관광 전반 · 그랑드 아르슈 · 노트르담 대성당 · 루브르 · 몽마르트르 · 몽생미셸 · 베르사유 궁전 · 샹젤리제 · 앵발리드 · 에투알 개선문 · 에펠 탑 · 오르세 미술관 · 팡테옹 · 프랑스 국립도서관
치안·사법사법 전반 · 프랑스 국가경찰 · 프랑스 국가 헌병대 · 프랑스 헌법위원회 · 라상테 교도소 · 프랑스 파기원
기타프랑스인(인도계 · 흑인 · 러시아계 · 폴란드계 · 아르메니아계 · 이란계 · 베트남계 · 일본계 ) · 공휴일 · 파리 신드롬
프랑스계프랑스계 캐나다인 · 프랑스계 미국인 · 피에 누아르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영국인 · 프랑스계 러시아인 · 프랑스계 멕시코인



프랑스 의회
국민의회
Assemblée nationale | French National Assembly
파일:프랑스 국민의회 로고.svg
구성양원제 의회 하원, 다당제
개회1958년 10월 4일
의장야엘 브론피베 / 르네상스
의원정원 577석 중 재적 577명
최근 선거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차기 선거2027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의사장부르봉 궁전
공식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3. 원내 구성
4. 상세
4.1. 임기
4.2. 정수 및 선출 방법
4.3. 교섭단체
4.4. 권한



1. 개요[편집]


국민의회는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는 프랑스 의회에서 하원을 부르는 말이다. 상원과 함께 프랑스 의회를 구성한다. 의사당은 파리 제 7구에 위치한 부르봉궁이다.


2. 역대 선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원내 구성[편집]



[ 상원 교섭단체 구성 ]
파일:프랑스 공화당 상원 교섭단체 로고.png파일:프랑스 사회당 상원 교섭단체.png파일:중도연합(프랑스 상원 교섭단체) 2020.png
공화당 그룹
148석
65석
중도연합2
57석
파일:민주, 진보, 무소속 연합.png파일:프랑스 공산당 상원 교섭단체 로고(2020).jpg파일:RDSE(프랑스 상원 교섭단체) 2014년 로고.png
24석
15석
민주사회적 유럽연합5
14석
파일:무소속-공화국과 국토 그룹 로고.png파일:생태주의 그룹(2022).jpg무소속 그룹
무소속-공화국과 국토 그룹6
13석
생태주의·연대·국토
12석
어떤 그룹에도 속하지 않은 상원의원들의 행정 회의7
3석
*. 각 교섭단체 소속 의원은 정당과 상관없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교섭단체에 있는 정당명과 소속의원의 당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1. 사회당, DVG(범 좌파 진영), MDC(시민 운동)으로 구성된 교섭단체.
2. UDI 중심의 중도 교섭단체.
3. 르네상스 중심의 교섭단체.
4. 공산당 중심의 교섭단체.
5. 급진운동, 사회당, DVG(범 좌파 진영) 등으로 구성된 중도 교섭단체.
6. 범 우파진영, UDI, 급진운동 등으로 구성된 중도우파 교섭단체.
7. 교섭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민연합, 재정복!이 여기에 속한다.
[ 하원 교섭단체 구성 ]
여당
파일:르네상스 그룹 로고.png
르네상스 그룹1
170석
파일:민주·민주운동·독립 그룹 로고.png
민주 그룹2
51석
파일:수평선 그룹.png
수평선 그룹3
29석
신임과 보완
파일:공화당 그룹.png
공화당 그룹4
42석
파일:자유·독립·해외 및 국토.png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D
2석
파일:국민의회 로고 (회색).png
소속 그룹이 없는 의원
1석
||
야당
파일:국민연합 그룹 로고.png
국민연합 그룹5
88석
파일:불복하는 프랑스 그룹 로고.png
불복하는 프랑스 그룹6,N
74석
파일:Logo_Groupe_socialiste_AN_2023.svg
사회주의자 및 관계자 그룹7,N
31석
파일:생태주의자 그룹.png
생태주의자 그룹8,N
22석
파일:민주·공화 좌파 그룹 로고.svg
민주·공화 좌파 그룹9,N
22석
파일:공화당 그룹.png
공화당 그룹D
18석
파일:자유·독립·해외 및 국토.png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10
18석
파일:국민의회 로고 (회색).png
소속 그룹이 없는 의원11
4석
||
공석
4석
*. 프랑스 정치 특성상 원내 구성이 자주 바뀌는 경우가 많아 갱신이 늦을 수 있음.
*. 각 교섭단체 소속 의원은 정당과 상관없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교섭단체에 있는 정당명과 소속의원의 당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N. 신민중생태사회연합 가맹 그룹.
D. 당과는 다른 성향을 띄는 의원.
1. 르네상스 외 9개 정당 참여중.
2. 민주운동 외 2개 정당 참여중.
3. 수평선 외 3개 정당 참여중.
4. 공화당 외 4개 정당 참여중.
5. 국민연합 외 1개 정당 참여중.
6. 불복하는 프랑스 외 3개 정당 참여중.
7. 사회당 외 4개 정당 참여중.
8. 유럽 생태녹색당 외 3개 정당 참여중.
9. 프랑스 공산당 외 6개 정당 참여중.
10. 사회당 외 9개 정당 참여중.
11. 바로선 프랑스와 불복하는 프랑스 외 2개의 정당의 개별 의원들이 이에 해당함.




현재 무소속을 제외하고 10개의 교섭단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다.

4. 상세[편집]



4.1. 임기[편집]


임기는 5년이다. 5년 임기 이전에 프랑스 대통령이 국민의회를 해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나, 1997년에 자크 시라크 당시 대통령이 국민의회를 해산했다가 하원을 야당으로 가득 채운 이후로는 한 번도 행사되지 않았고 5년 임기가 지켜지고 있다. 그리고 2000년에는 프랑스 대통령의 임기를 5년으로 축소하면서 2002년 이후로는 프랑스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고 1개월 뒤에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를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의회 해산은 드물어졌다.


4.2. 정수 및 선출 방법[편집]


2021년 기준으로 국민의회의 의석은 총 577석으로, 5년에 한 번씩 직접 선거로 모든 의원을 선출하며 소선거구제결선투표제가 적용된다. 577석 중 566석은 해외영토를 포함한 프랑스 국내의 선거구에서 선출되며, 나머지 11석은 해외 거주 프랑스인들의 재외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1986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는 예외적으로 결선투표 없이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도입하였는데 선거결과 동거정부가 출현하였다. 이후 예전 방식으로 돌아가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시기는 1986년이 유일하다.


4.3. 교섭단체[편집]


프랑스 국민의회는 의회 규정 제19조에 의거하여 15석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은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군소정당들끼리 연대하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4.4. 권한[편집]


하원은 다른 나라처럼 법안을 제의하고 통과시킬 권한을 갖는다. 총리 및 내각에 대한 불신임 권한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하원이 원하지 않는 총리와 내각은 즉각 불신임 결의를 당하므로 사실상 대통령에게 하원이 원하는 대로 총리를 임명하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법안이 통과되려면 상원과 국민의회의 가결이 필요하나, 양원의 의견이 다르다면 국민의회에 최종적인 투표권한이 넘어간다. 따라서 상원의 역할은 국민의회를 견제하는 데에 국한되며 국민의회에 비해 권한이 작다. 간접선거로 의원을 선출하는 상원과는 다르게 국민의회는 프랑스 국민들의 직접선거로 선출되기 때문에 국민의회의 권한이 더 강한 편이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9:10:28에 나무위키 프랑스 국민의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