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C-135

덤프버전 :

파일:보잉 로고.sv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민항기
협동체광동체
쌍발기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727-
4발기707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T-7
전투기P-26 · F-15E/후기 개량형 · F/A-18E/F
전자전기EA-18G
폭격기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P-8
무인기MQ-25 ·MQ-28
헬리콥터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4세대F-16C/DU, F-15C/D/EU
4.5세대F-16CM/DMM, F-15EX
5세대F-22A, F-35A, F-23, F-32
6세대{PCA}
공격기AT-6B, A-10C, AC-130HR/UR/WR/J, F-117
폭격기B-52HM, B-1B, B-2A, {B-21}, {B-52J}
수송기전술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C-17A, C-5M
지원기조기경보기E-3B/C/G, E-8CR, {E-7}, E-10
정찰기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E-11A
계측통신정보기RC-135S
전자정찰기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RC-135V/W, RC-26B
기상관측기WC-130J
대기분석기WC-135C/W/R
관측지원기OB-135B
공중지휘기E-4
공중급유기KC-10A, KC-135R/T, {KC-46A}
회전익기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SUAVRQ-11B, RQ-20B
UAVRQ-4A/BU, RQ-170, RQ-180
UCAVMQ-1BR, MQ-9A/B, MQ-20
훈련기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F-117, {T-7A}
다목적기UV-18B, U-27, U-28
특수목적기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 C-37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파일:KC-135_Tanker_1.jpg
Boeing KC-135 Stratotanker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운용
5. 보급 현황
6. 둘러보기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의 보잉에서 제작한 수송기공중급유기.


2. 제원[편집]


KC-135R 기준
길이41.53m
날개폭39.88m
높이12.70m
승무원최소 3명
자중44.66t
승객 탑승력37명
적재량118kL(31,275갤런)
이륙최대중량146t
엔진CFMI CFM56(추력 21,634lbf) x 4
순항속도844km/h
항속거리보급용 연료 68t 탑재시 2,419km, 공중량 17,766km
최대고도15,200m


3. 상세[편집]


보잉은 1954년에 피스톤 엔진 여객기에 대한 제트여객기의 이점을 검증하기 위해서 4발 터보제트 실험기인 367-80(일명 Dash 80)를 제작한다. 그리고 367-80을 기반으로 민항기 B707과 군용 수송기 C-135를 개발하였다.[1] 이후 미군 공중급유기 사업에서 보잉이 제안한 C-135 기반의 공중급유기 모델이 록히드의 L-193을 누르고 승리하였고, 미 공군은 보잉의 C-135 기반 공중급유기에 제식명 KC-135를 부여하고 실전에 배치하였다.[2]

구입예정 대수는 모두 732대로, 초도주문된 29대는 1954년에 주문되어 1956년에 실전배치되고, 마지막 생산분은 1965년에 인도되었다. 흔히 오래된 B-52 폭격기를 두고 노인학대니 말하지만 진짜 노인학대는 바로 KC-135이다. 2016 회계년도 기준 B-52H의 평균기령이 54.4년인데 KC-135의 평균기령은 54.5~56.1년으로 B-52 보다 더 오래되었다.

1950년대 중반에 나온 기체임에도 불구하고 이 기체는 큰 후퇴각을 지닌 선진적인 설계사상을 반영한 주익이 특징적이다. B-47등 같은 회사의 제트 폭격기와 같다. 여담으로, 보잉이 고공비행을 하는 제트 폭격기를 생산하며 노하우를 쌓았기 때문에[3] 초기 제트여객기시대 드해빌랜드의 코멧이 겪은 여압동체 피로파괴를 피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보잉의 여객기, 벨과 시콜스키의 헬리콥터는 '미국산 항공기는 유럽산보다 튼튼하고 안전마진이 크다'는 관념을 만드는 데 일조했다)

4. 운용[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519364.jpg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515890.jpg
KC-135EKC-135R[4]
KC-135는 월남전부터 미군이 공군력을 동원하는 전쟁에는 모두 참가하여 공중급유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타 항공기가 대형화되어 연료탑재량이 늘어나는 데에 비해, KC-135는 협동체라서 적재력 부족이 심화되는 문제가 대두되게 되었다.[5] 그래서 월남전 당시에는 상당수 기체를 동남아시아로 파견하여 현지 급유를 하고 전략공군용의 급유기를 본토에 소수 남겨두는 식의 운용이 일반적이었다.

미 공군의 대응방식은 크게 두 방식으로, 하나는 기체 자체의 개량이고, 다른 하나는 대체기의 도입이었다. 우선 진행된 1차 개수에서는 초기도입의 P&W J57-P-59W 터보제트 엔진을 B707용의 TF33-PW-102 터보팬 엔진으로 교체하면서 14%의 연비절감을 달성했다. 이 과정을 거친 기체는 KC-135E라고 한다. 그리고 2차 개수작업에서는 보다 효율이 뛰어난 CFM 인터내셔널[6] CFM56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 엔진은 초기의 J57 계열 엔진의 추력인 10,000 lbf를 2배 이상 넘는 22,500 lbf의 추력을 자랑하며, 초기형 기체에 비해 연료 탑재량 50% 향상, 연비 25% 향상, 그리고 소음 96% 감소(126 데시벨에서 99 데시벨)의 경이적인 성능향상을 기록하였다. 2차 개수를 받은 기체는 KC-135R로 명명되었고, E형에 비해 60% 이상 작전범위가 늘어났다.

대체기 도입은 1981년부터의 맥도넬 더글라스DC-10 광동체 여객기를 기반으로 한 기체인 KC-10 60대 구매, 그리고 2007년 1월에서 2011년 2월까지 추진된 179대 규모의 KC-X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KC-X의 최종승자는 보잉의 KC-767로 결정되어 KC-46이라는 제식명이 부여되었다.

1992년에 전략공군사령부(SAC)가 해체되고 나서는 대부분의 기체가 공중기동사령부(AMC)로 이관되었고, 일부 기체는 유럽공군 및 태평양공군 직속으로 이관되었다. 또한 주방위군과 예비사령부의 기체는 공중기동사령부로 이관되었다.

완전금속제 군용항공기가 50년 이상 운용되고 또한 현역으로 남아 있는 사례는 이 KC-135와 더불어 B-52, C-130, Tu-95, U-2 정도밖에 없다[7]. 게다가 KC-135는 2040년까지 운용할 거라고 하니 B-52와 함께 장수만세 기종이 될 듯.

그덕분에 최근에는 일부 KC-135R 조종석의 계기판을 아날로그에서 글래스 콕피트화 시키는 업그레이드 사업을 통해 KC-135 Block 50으로 업그레이드를 했다.*

2011년 9월 16일부터 30일까지 실시되는 한국 사상 최초의 공중급유 훈련에 KC-135가 등장하였다. 이번 훈련에서는 16명의 공군 조종사들이 미국에서 파견된 교관 4명 및 주한 미 공군 교관 5명의 지도하에 공중급유 훈련을 받고 자격을 얻게 되며, 내년부터 매년 16명씩 신규 공중급유능력 보유 조종사를 늘려갈 예정이라고 한다.

2013년 당시 대한민국3차 FX 사업에 참가했던 보잉F-15SE의 구매시 3기를 공짜로 주겠다는 제안을 했었다. 그러나 방위사업청은 "노후화가 너무 심한 기종이며 업그레이드 비용과 유지비가 높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관련기사는 여기로 이후 3차 FX 사업에서는 록히드마틴F-35가, 또한 별도로 진행된 공중급유기 사업(KC-X)에서는 에어버스A330 MRTT가 선정되어 도입되었다.

2017년 6월 1일, 레드플래그에 참가하는 6대의 KF-16D에 공중급유를 해야했으나, 문제가 발생해서 일본의 요코타 기지에 KF-16D과 함께 긴급착륙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당시 KF-16D가 긴급착륙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같은 년도인 17년 5월 28일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에 있는 보로슬로프 화산이 분화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는 여기로 이로 인해서 항공기 운항 적색 경보가 발령되었으며 레드플래그 훈련을 실시하기 위해 이동중인 KF-16D와 미 공군 KC-135 공중급유기가 일본의 요코타 기지에 회항을 한 것이다.

5. 보급 현황[편집]


1957년 실전배치된 이래 제작된 대수는 모두 803대이며, 미합중국 공군은 물론이고 프랑스 항공우주군, 칠레 공군, 싱가포르 공군, 튀르키예 공군도 채택하고 있다. 미 공군의 417대 중 현역은 183대이며, 잔여 기체 중 64대는 예비역, 170대는 주방위공군 소속이다.

미국417대
프랑스14대
튀르키예7대
싱가포르4대
칠레3대

단, 이스라엘과 이란이 운용중인 707 공중급유기는 KC-135가 아니라 기존의 707을 개수하여 만든 기체이므로 여기에 포함되지 않고 브라질 공군이 쓰는 공중급유기 역시 B707-320의 군용 버전인 C-137 스트라토라이너의 공중급유기 버전인 KC-137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2021년 9월 17일 튀르키예 공군의 Stratotanker KC-135R 7대 중 첫 번째 공중급유기가 최근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의 Field Aerospace에서 수행한 현대화 개량 작업을 마무리 하고 튀르키예로 돌아왔다고 한다. Block 45로 명명된 현대화는 미 공군 라이프 사이클 관리 센터(US Air Force Life Cycle Management Center)가 주도했으며 신형 LCD 디스플레이, 전파 고도계, 업데이트된 컴퓨터 모듈, 자동 조종 장치 및 디지털 비행 제어 시스템. 이 프로세스에는 아날로그 기기를 포함하여 유지 관리가 어렵고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는 63개의 구성 요소를 교체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고 한다. 인도되기 전에 튀르키예 공군의 4명의 조종사는 업데이트된 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해 재교육을 받았다. 현재 튀르키예 공군의 두 번째 KC-135가 현대화 작업중이며, 나머지 항공기는 늦어도 2023년까지 업그레이드될 예정이다. #


6.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1세대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F-4C/D/E, F-5A/B/E, F-111A
4세대F-15A/B/C/D, F-16A/B/C/D
5세대ATF, YF-23
폭격기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전술 수송기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KC-135A/B/D, KC-10A
다목적기C-130
훈련기T-33, T-37, T-38
정찰기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EB-66, EF-111
조기경보기E-3
공중지휘기E-4, EC-135
회전익기UH-19
실험기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공격헬기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스핏파이어 LF.Mk. IX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1세대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미라주 2000
4.5세대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FCAS}
공격기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C-160R, C-119,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지원기조기경보기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신호정보 수집기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UCAVMQ-9, {유로드론}
훈련기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다목적기다쏘 팔콘 10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현대 튀르키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회전익기 경헬기OH-58C
다목적 헬기UH-1D/N, UH-60, AS332, AS532 쿠거, T-70, AB206, Mi-8MT, {T-625 괴크비}
수송헬기CH-47F
공격헬기AH-1P/S/W, T-129 ATAK, {T-629}, {T-929 ATAK 2}
대잠헬기AB-212, SH-60B
전투기1세대F-84GR
2세대F-100C/D/FR, F-102AR, F-104GR
3세대F-4E-2020 터미네이터, F-5A/B/2000R
4세대 / 4.5세대F-16C/D, F-16C/D 블록 50+
5세대F-35A, {}
수송기C-160, C-130H, CN-235 M-100, A400M
지원기조기경보기E-7T 피스 이글
대잠초계기ATR 72 MPA
정찰기RF-4ER
공중급유기KC-135 R-CRAG
무인기SUAV바이락타르 Malazgirt, 바이락타르 미니 UAV, TAI Martı
UAVTAI 바이쿠스, TAI Gözcü, IAI 헤론, TAI IHA-X2, TAI 케클릭, TAI Şimşek, 바이락타르 TB1, TAI Turna, 베스텔 Karayel
UCAV바이락타르 TB2, 바이락타르 아큰즈, TAI 앙카-S, TAI 악숭구르, {바이락타르 크즐에마}, {앙카-3}
훈련기프롭KT-1T, 휴르커스, SF.260D, MFI-395 슈퍼 무샤크
제트T-38, NF-5A/B, {휴르제트}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파일:칠레라운델.png 현대 칠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칠레군 (1810~현재)
Fuerzas Armadas de Chile
회전익기경헬기벨 412, AS350
다목적 헬기UH-1H, S-70A, 벨 206, 벨 412EP/SP, AS532 쿠거
수송 헬기SA 330 퓨마
대잠 헬기AS332F1/L1
전투기1세대P-80CR
3세대F-5E
4세대 / 4.5세대F-16A/C
수송기C-212–200/300, C-130B/H
지원기조기경보기EB-707 콘도르R, E-3D
대잠초계기P-295, P-3ACh
공중급유기KC-130R, KC-135E
훈련기T-35 필란, F-5F, F-16B/D, A-29B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7. 관련 문서[편집]


[1] 동일 베이스인 B707의 미 공군 제식명은 C-137이고 VC-137 역시 B707기반이다.[2] K는 tanker를 나타내는 변경임무 지시어, C는 transport의 기본 임무 지시어다. 미군의 군용기의 명명규칙은 임무와 기체 분류의 지시어의 조합으로 짜여있다. 둘다 두문자는 T이지만 T는 훈련기의 지시어로 40년대 이전부터 이미 지시어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전자는 tanKer(또는 Kerosene Carrier), 후자는 Cargo(또는 Carrier)에서 착안하여 각각 K와 C로 지시어를 결정하였다.[3] 영국의 항공기 제조회사들은 여압동체를 가지고 고고도 폭격을 하는 폭격기를 거의 생산하지 않았다.[4] CFM56 계열 엔진으로 변화된 형식[5] 협동체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일단 항공기라서 무게중심과 안전고려를 해야 하기는 하지만, 연료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군용 제트유기준 비중 0.8남짓에 장비까지 하면 대략 1 정도라 보면 될 텐데, 그럼 연료 30톤해봐야 가로세로 2미터x길이 10미터 공간에 물을 채운 것보다 부피와 무게가 작다), 협동체 기체라 해도 공중급유할 연료를 싣고도 내부에 공간이 남기 때문이다. 공간이 부족할 만큼 꽉꽉 채우기 전에 엔진출력제한과 기골한계로 최대이륙중량을 먼저 넘는다. 관건은 화물의 비중과 무게중심이다. B-52가 여객기용 엔진을 8개나 달고도 무거운 폭탄을 싣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협동체"인 걸 생각해 보자. 어쨌든 그랬기 때문에 아래 서술된 것처럼 같은 동체면서도 엔진을 교체해 능력을 키워 수십 년을 더 버틸 수 있었던 것이다.[6] 미국 GE와 프랑스 스네크마의 합작 엔진법인.[7] An-2는 날개부분이 금속골조에 천을 씌운 형태라서 제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5:04:14에 나무위키 KC-13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