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J 2000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호
정치정치 전반 · 국왕 · 베르나도테 왕조 · 스톡홀름 왕궁 · 총리 · 의회 · 스웨덴 정부 · 행정조직
역사역사 전반 · 바이킹 · 이교도 대군세 · 칼마르 동맹 · 북방전쟁 · 스웨덴 제국 · 대북방전쟁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외교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 관계 · 스웨덴-핀란드 관계 · 범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스웨덴 여권 · NATO
지리지역구분 · 북유럽 · 스칸디나비아 반도 · 북극 · 백야 · 극야 · 오로라 · 순록
경제스웨덴/경제 · 스웨덴 크로나 · 스웨덴 반올림 · 발렌베리 가문 · Investor AB · 이케아 · 에릭슨 · 사브 · 볼보 · 코닉세그 · Spotify · 아스트라제네카 · H&M · 일렉트로룩스 · 살트셰바덴 협약
국방스웨덴군 · 스웨덴 육군 · 스웨덴 해군 · 스웨덴의 핵개발
과학·기술노벨상 · 블루투스 · 다이너마이트 · 린네식 계통분류체계 · 이명법
문화북유럽 신화(발키리 · 발할라 · 라그나로크 · 트롤) · 루터교회(스웨덴 교회) · 스웨덴 요리 · 스웨덴 영화 · 스웨덴 드라마 · SVT · 말괄량이 삐삐 · 닐스의 모험 · 스웨디시 팝 · ABBA
스포츠알스벤스칸 · 수페레탄 · 다말스벤스칸 · 축구 선수/스웨덴 · 스웨덴 축구 협회 ·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교통다겐 H · 외레순 다리 · 철도 환경 · 스톡홀름 지하철 · SJ 2000 · 스칸디나비아 항공 · TUI fly 노르딕
언어북게르만어군 · 스웨덴어 · 사미어
인물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알윌다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 칼 14세 요한 · 알프레드 노벨 · 마르쿠스 페르손 · 올로프 팔메 · 다그 함마르셸드 · PewDiePie · 그레타 툰베리
민족노르드인 · 스웨덴인 · 스웨덴계 미국인 · 스웨덴계 핀란드인 · 스웨덴계 캐나다인 · 스웨덴계 러시아인 · 사미족 · 이라크계 스웨덴인 · 러시아계 스웨덴인
기타스웨덴/교육 · 호그스콜레프로비엣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상징왕의 노래 · 노르웨이 국가
정치정치 전반 · 노르웨이 왕실 · 노르웨이 국왕 · 노르웨이 총리 · 노르웨이 의회
역사역사 전반 · 바이킹 · 빈란드 · 레이프 에이릭손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외교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범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노르웨이 여권
지리지역구분 · 북유럽 · 스칸디나비아 반도 · 피요르드 · 베어 섬 · 부베 섬 · 스발바르 제도 · 얀마옌 섬 · 노르웨이 해 · 북극 · 백야 · 극야 · 오로라 · 순록
경제경제 전반 · 노르웨이 크로네 · 오페라
문화북유럽 신화 · 루터교회(노르웨이 교회) · 노르웨이 요리 · 노르웨이 영화 · 에드바르 그리그
스포츠축구선수/노르웨이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교통철도 환경 · 베르겐선 · 오포트바넨 · TUI fly 노르딕 · 노르위전 에어 셔틀 ·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 베르겐 공항
언어북게르만어군 · 노르웨이어 · 사미어
인물로알 아문센 · 아문센 vs 스콧 · 게르하르트 아우메우에르 한센 · 프리드쇼프 난센 · 헨리크 입센
민족노르드인 · 노르웨이인 · 노르웨이계 미국인 ·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 사미족
국방노르웨이군 · 노르웨이 해군 · 노르웨이 해안경비대 · 닐스 올라브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치안·사법노르웨이 국가경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X2000.jpg
사진은 구도색 SJ X2. 신도색은 은색으로 되어 있다.

1. 개요
2. 차량
2.1. SJ 2000(SJ X2)
2.2. SJ 3000(SJ X55)
2.3. 예비차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영상은 SJ 2000 열차의 통과 장면이다.

스웨덴 국철(SJ)에서 운행중인 고속철도. 1990년 및 무료 식사, 팩스 서비스가 포함된 1등석 전용 열차로 계획되었으며, 본래 이름은 X 2000이라는 브랜드에서 시작했었다. 이후 SJ 2000이라는 브랜드명을 달기도 했으나, 신차로 봉바르디에 레지나가 투입된 이후로는 SJ Snabbtåg라는 브랜드로 운행중이다. Snabbtåg는 스웨덴어고속철도를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도 구글에서는 Snabbtåg나 SJ Snabbtåg라고 검색하기보다는 SJ 2000이나 X 2000으로 검색해야 제대로 된 결과가 나온다.

초반에는 전좌석 1등석이라는 문제 때문에 운행 빈도도 그리 높은 편도 아니었으나, 1995년 2등석 설치 이후로 수요가 대폭 증가해서 운행 빈도가 늘어났다.

파일:external/www.eurail.com/sj_high_speed_train_routes.jpg
SJ 2000 노선도[1]
달리는 구간이 대부분 기존선이라 영업 운행속도는 최대 200km/h라고 한다.

주요 운행구간은 수도인 스톡홀름 ~ 셰브데, 스톡홀름 ~ 코펜하겐, 스톡홀름 ~ 외스테르순드, 스톡홀름 ~ 순스발, 스톡홀름 ~ 예테보리[2], 스톡홀름~네셰 구간등이 존재한다.

모든 열차들에 무선 인터넷이 무료로 제공되며, 휴대폰 중계기기가 설치되어 있고, 각 좌석마다 전기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한다. 심지어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2. 차량[편집]



2.1. SJ 2000(SJ X2)[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J_X2_in_snow_Jonsered_2007-01.jpg

차량은 주로 위에서 나오는 칼마르 베르크스타드-ASEA[3]사 합작 틸팅열차인 SJ X2(혹은 SJ 2000) 차량을 주력으로 운영하고 있다.

파일:external/dic.academic.ru/X2000_f%C3%B6rsta_klass_%281kl%29_interi%C3%B6r_SJ_AB.jpg
SJ 2000 1등석.[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X2000_2nd.jpg
SJ 2000 2등석.
파일:external/www.raileurope.ca/sj-overview-3.jpg
차량 내부의 바[5]

SJ X2 차량은 차량 스펙상 210km/h[6]까지 달릴 수 있는 틸팅열차로 설계되었다. 기관차 1량+객차 6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부는 기관차 1량+객차 5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 끝부분은 기관차이고 나머지 한쪽은 제어 객차로 구성된 Push-Pull식으로 운행한다.

미국 암트랙사에서 1992~1993년간 임대한 적이 있었고[7], 1995년에 오스트레일리아 철도에서 잠깐 임대한 적도 있었으나, 실질적으로 수출한 것은 중국 광선철로에 1편성을 수출한거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것마저도 2008년에는 스웨덴 국철에서 다시 사들여서 운행중이라고...[8] 그러나 이 차량을 베이스로 한 BM 71 열차와 BM 73열차[9]를 노르웨이에서 운영중이다. X2와는 달리 틸팅 기능이 없고, 동력분산식이라고.


2.2. SJ 3000(SJ X55)[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egina_X55_in_%C3%96rnsk%C3%B6ldsvik.jpg

SJ 2000의 신차. 봉바르디에 레지나이다.

비교적 수요가 저조한 칼스타드 ~ 스톡홀름, 팔룬 ~ 스톡홀름 구간을 운행하며, 예테보리 ~ 스톡홀름, 순스발 ~ 스톡홀름, 말뫼 ~ 스톡홀름 구간에 기존 SJ 2000과 병결 운행한다. 2023년부터는 이웃 나라 노르웨이오슬로까지도 운행하는 중이다.

현재는 상업운행 최고 200km/h로 운행하지만 향후 250km/h까지 증속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2011년 시험 운행때 ATC와의 호환성과 식당차 문제로 지연되었다가, 문제 해결후 2012년 2월 6일부터 순스발 - 스톡홀름 구간을 운행중이다.


2.3. 예비차[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radia_Duplex_SJ_X40.jpg
가끔씩은 차량이 부족할 때, 위에서 나온 X40전동차를 굴리기도 한다. X40 전동차는 알스톰 코라디아[10] 계열 차량으로, 2량 혹은 3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최대시속은 SJ X2와 동일하나, 가속력 면에서는 동력분산식답게 더 빠르다. 최고등급 차량을 통근용 열차 그대로 사용하긴 그랬는지 기존 열차 그대로 운영하지는 않고, 내장재를 개조한 열차 위주로 운행중이다.


3. 관련 문서[편집]



[1] 출처[2] 직통열차는 하루 2대 정도 존재. 나머지는 중간역 경유.[3] ABB그룹의 전신으로,1988년 Brown, Boveri & Cie사와 합병.[4] 출처[5] 출처[6] ATC 개량형의 경우,최대 276km/h까지 달린 적은 있었다. 다만 선로 용량 및 선형 때문에 그 정도로는 못 달렸었는데, 현재는 선로 개량 덕에 차량 개조만 하면 220km/h까지 달릴 수 있다. 하지만 봉바르디에 레지나 도입 계획으로 인해서 개량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다.[7] 이때 미국 본토 48개 주에 있는 주요역들에 순환 운행을 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8] 이열차를 대체한 것이 CRH1이다.[9] BM 71은 노르웨이 오슬로 국제공항선용 열차로 쓰이고 있고, BM 73은 노르웨이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서비스용으로 사용중이다.[10] 저상열차항목 윗부분에 있는 열차 맞다. 단 스웨덴 X40은 2층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