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드록

덤프버전 :


파일:발로란트 심볼.svg
발로란트 요원
요원 가나다순 정렬

  [  펼치기 · 접기  ]  


파일:발로란트 로고_가로.svg의 22번째 요원
게코

데드록

아이소


데드록
DEADLOCK

파일:Valorant_Deadlock.png
콜사인
DEADLOCK[1]
데드록
본명
Iselin
이셀린
국적
[[노르웨이|

노르웨이
display: none; display: 노르웨이"
행정구
]]

역할
감시자[2]
분류
일반인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아롱[3]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Nora Gjestvang
[[|
파일: 국기.svg
]][[틀:국기|
]][[틀:국기|
]]
(그 외 나라 성우)
출시일
에피소드 7 액트 1
(2023년 6월 28일)
요원 번호
23

1. 개요
2. 능력
2.1. 기본 능력
2.1.1. C - 중력그물(GravNet)
2.1.2. Q - 음향 센서(Sonic Sensor)
2.2. 고유 능력
2.2.1. E - 장벽망(Barrier Mesh)
2.2.1.1. 통과 판정
2.3. 궁극기
2.3.1. X - 소멸(Annihilation)
3. 계약 보상
4. 평가
4.1. 대회에서
4.2. 장점
4.3. 단점
5. 역사
5.1. 에피소드 7
6. 다른 모드에서의 플레이
6.1. 스파이크 돌격
6.2. 팀 데스매치
7. 기타
7.1. 출시 전 정보



1. 개요[편집]


"죽음은, 선택이 아니야."

"Death, is not an option."


노르웨이 출신 요원 데드록은 최첨단 나노와이어를 배치해 전장의 위협적인 공격을 막아냅니다. 누구도 데드록의 감시를 피할 수도, 집요한 공격에서 살아남을 수도 없습니다.

발로란트의 감시자 요원. 나노와이어 기술 기반의 가젯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으로, 통행은 막고 사격은 막지 않는 장벽, 적을 일정 범위에 묶어두는 장판, 광범위한 진탕을 유발하는 함정, 발로란트 최초의 처형기인 궁극기 등 전체적으로 러쉬 억제에 특화된 요원이다.

2. 능력[편집]


게임플레이 공개 영상

2.1. 기본 능력[편집]



2.1.1. C - 중력그물(GravNet)[편집]


파일:Deadlock_C.png
중력그물 수류탄을 장착합니다. 발사하면 수류탄을 투척합니다. 보조 공격 시 수류탄을 높이 던집니다. 중력그물 수류탄은 지면에 닿으면 폭발해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적을 앉아서 천천히 움직이게 합니다.}}}
파일:발로란트_충전량1.png
¤ 200|발동 대기 시간 1초|그물 지속 시간 6초


"그물을 투척한다.", "그물 투척.", "도망 못 간다.", "어딜 가려고?"

"Throwing net.", "No escape."

- 스킬 사용 시


수류탄을 투척하여 범위 내의 모든 플레이어에게 중력그물을 씌운다. 그물은 펼쳐지기까지 1초 간의 시간이 있으므로 이때 빠르게 빠져나가면 그물에 걸리지 않으며, 중력그물이 펼쳐진 이후에 스킬 범위로 들어와도 그물에 걸리지 않는다. 그물에 걸리면 강제로 앉게 되어 이동 속도가 크게 느려진다. 그물은 스킬 범위에서 빠져나가거나 F를 길게 눌러 제거할 수 있지만, 범위 끝에선 이동 속도가 매우 느려지므로[4] 이동기가 있지 않는 이상 범위 밖으로 빠져나가 그물을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물을 제거하기 위해 F를 누르면 매우 큰 소음이 들리게 된다. 이를 이용해 적이 벽 뒤에 숨어서 제거할 경우 월샷을 노려볼 수 있고, 설치된 음향 센서와 연계하여 확정적으로 뇌진탕을 맞힐 수 있다. 다만 사이퍼의 카메라와 달리 제거 시간이 짧은 편이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2.1.2. Q - 음향 센서(Sonic Sensor)[편집]


파일:Deadlock_Q.png
음향 센서를 장착합니다. 발사하면 음향 센서를 설치합니다. 센서는 지역에서 적이 내는 소리를 탐지합니다. 발걸음 소리, 사격음, 큰 소음이 탐지되면 지역에 뇌진탕을 일으킵니다.}}}
파일:발로란트_충전량2.png
¤ 200|멍해짐 지속 시간 3.5초


"음향 센서 설치.", "듣고있어."

"Sound sensor up.", "Listening."

- 스킬 사용 시

"센서 파괴"

"Sensor destroyed.", "Sensor down."

- 센서 파괴 시

"모를 줄 알고?", "센서가 작동했다."

"No surprises.", "Sensor tripped."

- 센서 작동 시


벽이나 구조물에 음향 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부착할 때 소리를 탐지할 범위를 긴 직육면체로 보여주며, 큰 소음[5]을 탐지하면 해당 범위에 뇌진탕을 일으킨다.

소리가 들리는 즉시 뇌진탕을 사용하기에 피하기는 어렵지만 근처만 가도 큰 소리가 나는데다가 다른 함정들과 동일하게 총알 한발로 부숴지기 때문에 어느정도 인지만 하고 있다면 쉽게 파훼가 가능하다. 설치 소리가 큰 편인데다가 회수 또한 안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큰 소음에만 반응하는지라 조용히 뒤를 파는 럴킹을 감지하기가 힘들다. 의도적으로 함정을 부숴 '나 여기 있소'하는 것이 아닌 이상 뒤로 럴킹 오는 적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2.2. 고유 능력[편집]



2.2.1. E - 장벽망(Barrier Mesh)[편집]


파일:Deadlock_E.png
장벽망 디스크를 장착합니다. 발사하면 디스크를 앞으로 던집니다. 디스크가 지면에 닿으면 해당 지점에 장벽이 생성되어 캐릭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억제합니다.}}}
파일:발로란트_충전량1.png
사용 후 재사용 불가|장벽 완성 시간 3초[6]|디스크 체력 1,200|장벽당 체력 600|장벽 지속 시간 30초


"이동 봉쇄.", "장벽 배치.", "장벽 설치."

"Blocking movement.", "Barrier deployed."

- 스킬 사용 시


특이한 생김새의 이동 차단 스킬. 디스크를 던져 바닥에 닿으면, 데드록이 바라보는 방향과 상관 없이 정해진 네 방향으로 퍼져 장벽이 생성된다. 이 방향은 미니맵을 고정했을 때 대각선 방향, 즉 X자 형태로 생성된다. 세이지와 마찬가지로 장벽이 온전히 생성되는 데에 시간이 조금 걸리며, 그 동안 방벽의 체력은 절반이다.

장벽은 캐릭터, 즉 플레이어 및 이동 가능한 오브젝트가 통과할 수 없지만 스킬과 총알은 통과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자연스레 '파괴는 어떻게 하지?'라는 의문이 생기는데, 디스크가 지면에 닿은 위치에 큰 구슬이 생성되고 네 방향으로 퍼진 장벽의 가장 끝부분 하단에 작은 구슬이 생성되어 이 구슬을 공격하면 장벽을 파괴할 수 있다. 작은 구슬을 파괴하면 그 방향으로 퍼진 장벽만 사라지며, 중앙의 큰 구슬을 파괴하면 모든 장벽이 한 번에 사라진다.

거의 모든 맵의 지점 진입로가 미니맵을 고정했을 때 수직 또는 수평이므로[7] 진입로에 장벽망을 설치하면 X자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각도를 잘못 설정하면 그냥 통과할 틈이 생겨버릴 수도 있는 세이지의 벽과 달리, 제대로 막기만 했다면 한 쪽의 작은 구슬 두 개를 부수거나 중앙의 구슬을 부숴야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2.2.1.1. 통과 판정[편집]

  • 기본적으로 모든 플레이어는 장벽을 통과할 수 없으며, 모든 사격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 스킬 중 이동하는 오브젝트는 장벽을 통과할 수 없다.
  • 단, 무형 상태가 되는 일부 스킬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 상술한 스킬을 제외한 모든 스킬은 장벽을 통과할 수 있으며, 고저차가 있는 경사로일 경우 상술한 스킬이 장벽 아래의 틈으로 지나갈 수 있다.

2.3. 궁극기[편집]



2.3.1. X - 소멸(Annihilation)[편집]


파일:Deadlock_X.png
나노와이어 가속기를 장착합니다. 발사하면 처음 적중한 적을 생포하는 나노와이어 펄스를 발사합니다. 생포된 적은 나노와이어의 경로를 따라 끌려가며, 끝에 도달하기 전에 풀려나지 않으면 사망합니다. 나노와이어 고치는 파괴할 수 있습니다.}}}
◆◆◆◆◆◆◆
7 포인트|지속 시간 8초|경로 도달 시간 8초|고치 체력 600


"무덤으로 보내버려! (Pull them to their grave!)" - 본인 또는 아군 사용 시

"내 땅에선, 내 법대로! (My territory, my rules!)" - 적 사용 시


"놈들을 끌어올게! (I have them now!)", "끌어당긴다! (Reeling them in!)" - 적 생포 시

"목표가 탈출했어. (Target escaped.)" - 적 탈출 시


발로란트에 처음으로 출시된 처형 궁극기.

왼팔의 의수에 나노와이어 가속기를 장착하고 발사한다. 나노와이어 펄스의 경로는 네온의 릴레이 볼트처럼 벽에 한번 튕기며, 처음으로 적중한 적 하나를 생포한다. 펄스를 발사할 때 반동으로 데드록 본인이 뒤로 약간 밀려난다.[8]

나노와이어 펄스를 처음 맞은 적은 고치 상태로 변하게 된다. 경로는 생포된 곳부터 데드록이 소멸을 사용한 곳까지 이어지며 푸른 선으로 보인다. 8초 안에 경로의 끝에 도달하면 즉사하며, 고치의 체력이 다하거나 경로를 이동할 수 없어[9] 시간이 다할 경우 그대로 풀려난다. 고치에 갇히면 시야가 완전히 차단되고, 사망 지점까지 얼마나 도달했는지 화면 하단에 표시된다.

끌려오는 도중 오브젝트나 플레이어에 가로막히면 고치의 경로가 조금 위로 수정된다. 다만 벽에 막혔을 땐 경로를 수정하지 않기 때문에 세이지의 장벽 구슬이나 데드록의 장벽망을 타이밍 맞게 깔면 처형은 면할 수 있다.

요루의 분신도 궁극기에 끌려가는데 처형 시 섬광이 터지지 않고 분신의 시체가 떨어진다. 이를 이용해 분신이 끌려가게 한 후 심리전을 걸 수도 있다. 분신도 구출이 가능하다.

피닉스가 역습을 사용한 채로 나노와이어 펄스를 맞은 경우 두 스킬의 지속시간이 위아래로 동시에 표시된다. 이 경우 어느 쪽이 먼저 끝나든 피닉스는 역습을 사용한 지점으로 되돌아온다.

여담이지만 원어 버전 궁극기 대사의 임팩트가 엄청나 호평이다. 성우의 열연이 돋보이는 부분.

3. 계약 보상[편집]


''''''
계약 보상 1레벨
계약 보상 2레벨
계약 보상 3레벨
계약 보상 4레벨
계약 보상 5레벨


파일:발로란트_칭호.png


스프레이:

카드:

칭호:

스프레이:


계약 보상 6레벨
계약 보상 7레벨
계약 보상 8레벨
계약 보상 9레벨
계약 보상 10레벨


파일:발로란트_칭호.png


총기 장식:

스프레이:

칭호:

카드:

스킨:


4. 평가[편집]


공격팀의 러쉬 전략을 방해하고 디폴트를 강제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요원이다. 다만 러쉬는 잘 방어해내도 그 외에 감시자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거나 혹은 다른 역할군으로서 이용할만한 유틸성의 측면에선 최악의 요원이다. 특출나게 잘 하는 것 없는 애매한 성능이지만 유틸성 하나만큼은 모든 요원을 통틀어 최고수준인 피닉스와 정 반대의 성향을 지닌 요원.

그래도 궁극기인 소멸만큼은 3대 2나 2대 1처럼 아군이 유리하지만 변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변수를 그 어떤 스킬보다 가장 확실하게 억누르고, 2대 3이나 1대 2처럼 여러모로 불리한 상황을 타개해 나가는 데에 매우 유용한 궁극기이다. 무엇보다 1대 1 상황에서 적에 대한 정보가 있고 궁극기를 보유한 상태라면 적을 매우 간편하게 관광보내는 게 가능하다. 이렇게 유용한 궁극기이지만 가장 큰 문제는 데드록이 능동적으로 궁 포인트를 얻을수 있게 도와주는 스킬이 없다는 점...

이후 연구가 진행되면서 초창기 궁극기인 소멸과 E스킬로 대표되는 러쉬 저지에 강력하면서 변수 창출도 가능한 영웅이라는 이미지에서 감시자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못하고 그렇다고 처럼 다른 역할로 써먹기도 힘든 애매하게 구린 요원 이라는 박평을 얻게 되었다. 궁극기인 소멸의 유용성 만큼은 인정하지만 다른 궁극기에 비해 크게 사기인 수준도 아니고, 감시자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하기 힘든 데다가, 가장 큰 강점인 초월적인 러쉬 방어 능력도 상대가 디폴트를 박으면 쓸모가 애매해지고 케이오의 나이프,소바의 위치 화살 등으로도 러쉬를 막는 데엔 충분히 효과적인데 굳이 러쉬를 막으려고 러쉬 방어 외에는 써먹기 애매한 데드록을 고를 필요가 있냐는 평.

4.1. 대회에서[편집]


대회 등장 및 프로 선수의 평가 등을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4.2. 장점[편집]


  • 진입 저지 특화
모든 감시자들에게 해당되는 사항이지만, 데드록은 특히 적의 진입을 능동적으로 막을 수 있는 수단이 많다. 진탕을 범위로 뿌리는 음향 센서(Q), 1200[10]의 체력을 가진 벽인 장벽망(E)을 보유하고 있기에 데드록은 긴 시간 적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대가 저지하기 힘들 만큼 빠르게 들어오거나, 상대가 계속 해서 아군에게 압박을 줄 경우, 중력그물(C)로 상대를 강제로 앉혀 상대의 피킹을 막거나 진입 자체를 막아버릴 수 있다.

  • 강력한 성능의 궁극기
적을 제압하고 끌고 오는 궁극기는 7코스트 주제에 적중만 한다면 적 전투 인원 하나를 제외시켜버리는 엄청난 성능을 가지고 있어, 이니시를 거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1대1 상황에서 맞히면 특수한 경우[11]가 아닌 이상 사실상 승리가 확정되어 있다. 1대1 상황이 아니더라도 적 한명을 8초 동안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드는 것은 교전 시간이 짧은 발로란트에서 굉장히 강한 이점이 된다. 게다가 고치의 체력이 600[12]이나 되기 때문에 적군이 쉽게 풀어주기도 힘들고 고치를 공격하는 동안 머리를 뚫릴 수도 있으므로 적의 입장에서는 쉽사리 판단을 내리기 힘들어진다.

4.3. 단점[편집]


  • 트랩의 애매한 감시 성능
거리 제한도 없고 범위형 진탕 효과까지 작용하는 음향 센서(Q)는 정작 소리를 내지 않고 다가오는 적에게는 무력하다. 공격 때 감시자들의 주 역할 중 하나가 뒤를 도는 적을 미리 감지하는 것인데, 데드록의 트랩은 파훼가 매우 쉽기 때문에 용도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게 된다. 더불어 수비 때에도 상대가 진입했는지 안 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게 되며, 상대가 이를 예상해 조용하게 진입한다면 더욱 알기 힘들다. 그나마 두 개나 주어지는게 위안 삼을 점이지만 다른 감시자들은 범위 내로 진입하자마자 발동한다는 점을 보면 조건이 붙어있다는 것 만으로도 후방 감시로서의 역할은 떨어지게 된다. 또한 근처만 가도 위치를 바로 알 수 있을 정도로 큰 소리를 내고 설치 소리 역시 큰 편이기에 적 입장에서는 깔리는 소리가 들리면 그냥 걸으면 그만이다. 게다가 킬조이의 알람봇이나 사이퍼의 함정, 체임버의 트레이드마크와는 달리 부수는 것이 강제되지 않기에 물론 저티어 친구들은 그런건 모르겠고 일단 부수고 본다 데드록 입장에서는 뒤에 있는 적의 존재 유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 즉발 판정의 중력그물(C)
중력 그물은 상대를 강제로 앉히면서 그물을 풀려는 상대를 무방비로 만드는 훌륭한 스킬이지만, 바닥에 닿았을 때 범위 안에 있던 상대만 효과가 적용되어 세이지의 둔화 구슬이나 다른 장판기들처럼 상대의 백업을 끊거나 장시간 진입을 저지하기 힘들다. 상대가 한번에 몰려 들어오지 않는 이상 효과를 크게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게다가 세이지의 둔화 구슬처럼 단순히 이동 속도를 낮추는 것이 아닌 적을 강제로 앉히는 것이기에 교전 중 잘못 사용하면 아군 입장에선 적과 교전중 갑자기 적이 앉아버려 총알이 적 머리 위로 지나가는 억까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니 되도록이면 아군과의 교전보다는 러쉬 억제기로 사용하자.

  • 피아를 가리지 않는 스킬
궁극기를 제외한 스킬들의 효과가 피아를 가리지 않는지라 아군에게 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중력그물(C)은 즉발 판정이고, 음향 센서(Q)는 아군의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으며, 방벽망(E) 또한 주로 적에 진입로에 깔기 때문에 아군의 진입이나 후퇴를 방해하는 일은 거의 없다. 다만 데드록의 스킬은 모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기에 교전 중 스킬을 사용하게 된다면 의도치 않은 아군 방해가 많이 나오는 편이다.

  • 약점이 명확한 궁극기
데드록의 궁극기는 8초라는 시간이 끝나면 즉사라는 발로란트 스킬들 중 유일한 처형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결국 적을 포획해야만 빛을 발하는 효과이기도 하다. 즉, 적의 정확한 위치와 인원을 파악하기 위해 아군의 보조가 필요하며, 적의 위치를 파악한다 해도 근거리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꽤나 피하기 쉬운 편이다.[13] 또한 궁극기에 피격되는 적은 결국 1명이니 상대가 뭉쳐있는 경우 궁극기를 날리게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적이 구출된 순간, 궁극기로 위치가 파악된 데드록은 극도로 불리해진다. 다만 궁을 사용하는 순간 적에게 아군을 구출하던가, 포기하던가와 같은 이지선다를 걸어버리기에 이 정도로도 궁극기의 메리트는 충분히 있는 편이다.

  • 회수 불가능한 스킬
데드록의 가장 큰 단점이다. 대부분 감시자 스킬은 회수가 가능한데, 데드록의 경우 모든 스킬이 일회용이기 때문에 킬조이, 사이퍼처럼 한 사이트를 막다가 다시 그 스킬들을 리테이크할 때 사용하는 플레이를 할 수 없다. 그렇기에 데드록은 상대의 동선 예측, 전략을 파훼하고 변수를 만들어내는 순간 판단력, 고도의 맵리딩 능력과 스킬을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피지컬까지 요구하게 된다. 사실상 데드록의 난이도를 급증시키는 단점.

5. 역사[편집]



5.1. 에피소드 7[편집]


  • 7.0
    • 신규 요원 데드록이 추가되었다.

6. 다른 모드에서의 플레이[편집]



6.1. 스파이크 돌격[편집]


스파이크 돌격에서 해당 요원의 변경 사항 및 평가를 기술해주시기 바랍니다.

6.2. 팀 데스매치[편집]


파일:Deadlock_C.png
파일:Deadlock_Q.png
파일:Deadlock_E.png
파일:Deadlock_X.png
재사용 대기시간 0초
재사용 대기시간 0초
재사용 대기시간 0초
0 포인트

오히려 타 모드보다 좋다. 부서질 위험이 높지만 음향 센서가 덫 중에서 가장 치명적인 디버프인 뇌진탕을 입히는데 팀 데스매치에서 대부분 뛰어다니는걸 감안하면 설치하고 들키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상대는 이동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그물과 장벽도 성능이 구린 스킬이 아니라서 역할에 따라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기도 한 것도 장점. 궁극기는 조금 애매한 편. 맵이 좁아서 대충 상대가 있을 것 같은 곳에 쏘면 잘은 맞는데 고작 1킬에 한정, 그마저도 데드록이 다른 적군에게 죽어버리고 주위에 팀원이 없다면 잡은 적이 풀릴 가능성이 있어 궁극기 만큼은 다소 지뢰 취급을 받는다.

7. 기타[편집]


끝과 시작 // 에피소드 7 시네마틱

  • 브리치와 같이 팔에 장애를 가지고 있어 의수로 교체한 요원이다. '랜드폴 프로젝트'의 실험체인 거대 곰이 스발바르의 연구소에서 실험 중 탈주했고, 이를 생포하기 위해 킹덤 연구원을 호송하다 탈주한 곰의 습격을 받아 연구원을 포함한 스톨예거 보안팀이 전멸했다. 이중 데드록 홀로 살아남아 곰을 에너지 방으로 유인했으나 곰이 데드록의 왼쪽 팔을 문 상태로 방의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고, 에너지 파동을 발동시키자 문의 틈으로 파동이 새어나와 곰과 함께 왼쪽 팔이 깔끔하게 증발했다. 이후 신호기를 작동시켜 랜드폴 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조사하던 소바에게 구출되었고, 킬조이에게 나노와이어가 장착된 새로운 의수를 받게 되었다.

  • 랜드폴 프로젝트의 실험체에는 게코의 생명체들도 있다. 게코가 킹덤 연구소에 침투해 실험체를 훔쳐 달아난 사례 때문에 데드록은 자신의 동료와 팔을 잃게 한 곰과 같은 랜드폴 프로젝트의 실험체인 게코의 생명체들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다만 데드록은 아예 게코의 생명체들을 괴물 취급하며 언젠가 사고를 칠 것이라 생각한건지[14], 이후 게코는 브림스톤에게 "자신의 친구들은 괴물이 아니며, 무슨 일이 생기면 자신이 전부 책임질 것이다.", "그러니 데드록에게 진정 좀 하라고 전해달라"며 상담을 하기도 했다. 킬조이 또한 제발 친하게 지낼 순 없냐며 핀잔을 걸거나, 레이나가 브림스톤에게 데드록이 게코의 봇 생명체들에게 손대지 못하게 해달라고 당부하는 것을 보면 여러모로 갈등이 심한 듯. 다행히 이러한 갈등은 선셋 업데이트 시네마틱에서 데드록이 지원봇과 협력하게 되며 어느정도 해소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데드록을 고르면 팬텀이 기본 스킨이 아닌데, 이는 에피소드 7 액트 2 로비 화면에서 체임버와 같이 개발한 듯한 모습으로 미루어 볼때 직접 개발한 무기인것으로 보이며 해당 스킨은 해당 액트 2 배틀패스 레벨 45 보상으로 획득 가능하다.

  • 발로란트에서 소바[15]페이드[16]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벽안인 캐릭터이다.

7.1. 출시 전 정보[편집]


파일:발로란트-죽음의 덫.png
파일:발로란트2023신규3.jpg
죽음의 덫 카드
요원 티저 이미지

'플레이어를 멈춰 세워서 자세히 뜯어보려고 할 것'이라는 책임 프로듀서의 언급이 있다. 에피소드 7 액트 1에 출시될 예정이다. 티저 이미지에 오류가 있는데, 팔 하나가 의수라는 걸 감추려고 그늘에 안보이게 오른팔을 가렸지만 실제로는 왼팔이 의수이다. 책상의 태블릿을 보면 좌우반전으로 만든 것도 아니고, 그릴 때 헷갈린 것 같다.

'죽음의 덫 카드'의 왼쪽에 '008'이라고 적혀있어 8번 요원으로 추측됐으나 23번 요원으로 밝혀졌다. 티저 이미지의 인물이 백인인 점, 6.11 패치의 사격장 메일에 노르웨이가 언급되었다는 점, 또 같은 패치에 추가될 예정이었으나 오류로 인해 다음 패치로 미뤄진 야시장의 배경이 극지방의 오로라인 점을 미루어 보아 해당 요원은 노르웨이 출신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어서 유출된 고유 문양에 어렴풋이 그려진 눈매와 얼굴형, 헤어 스타일을 미루어 볼 때 여성 요원으로 추측되고 있다.



6월 25일 2023 마스터스 도쿄 결승 시작 전 트레일러와 게임플레이 영상이 공개될 예정이다. 미리 공개된 프로 선수 반응 영상에선 영어권 선수들이 'she'로 지칭하며 여성임이, Zest가 '트랩 설치한 거 아니야 얘'라는 언급을 해 티저 이미지대로 덫을 가진 감시자임이 확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엄격하고 화가 나 보인다는 캐릭터 평가와 더불어 NRG의 FNS가 '베어그릴스'라는 드립을 쳐 기존 유출에서 언급되던 '곰과 같은 기계 팔' 역시 사실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유출된 요원 개발 코드는 '케이블 (CABLE)'이다.
[1] 교착 상태[2] 감시자들은 공격팀이나 수비팀에 상관없이 지역을 점유하고 팀 엄호를 담당하는 수비 전문가입니다.[3]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밀리오을 담당하였다.[4] 거의 구속상태나 다름 없는 속도가 된다. 물론 총과 스킬은 사용이 가능하다.[5] 뛰는 소리, 총소리, 스파이크 설치/해체 소리, 착지소리, 점프 소리 등[6] 완성 전까지 디스크 및 장벽 체력이 절반이며, 완성되면 두 배로 늘어난다. 완성 전까지 받은 피해 역시 두 배가 된다.[7] 애초에 발로란트의 거의 모든 '길'은 수직 또는 수평이며, 그나마 있는 몇 가지의 대각선 길조차 사이트와 직결되어 있는 길목은 반드시 수직 또는 수평이다. 유일하게 대각선으로 사이트와 직결된 길이 브리즈의 B 지점과 수비팀 시작 지점을 잇는 길목인데, 데드록이 출시된 에피소드 07: 액트 1 기준 로테이션에서 제외된 수정 중인 맵이므로 제외.[8] 소바의 궁극기를 생각하면 된다. 이를 이용해 원래는 올라갈 수 없는 구조물 위로 올라갈 수 있지만, 그 위로 한 번 올라가기 위해 궁극기를 낭비해야 한다는 점은 비효율적이다.[9] 장벽 구슬과 같은 스킬에 막히거나 경로가 맵 밖으로 나가버려 경로를 따라갈 수 없는 경우.[10] 팬텀 31발, 밴달 30발[11] 벽에 막히거나 맵 밖 판정인 경우. 물론 이러한 경우도 8초후 고치에서 풀려날 때 적을 일시적으로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드는지라 크게 의미는 없다.[12] 팬텀 16발, 밴달 15발[13] 미니맵에 궁극기의 경로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오로지 감에 의존해야하고, 딜레이가 있는 편이라 칼만 들어도 어느정도는 피해진다.[14] 아예 봇들을 완전히 격리시킬 상자를 4개나 만들어둔 것으로 보인다. 이후 브림스톤에게도 봇들을 엄격히 관리해야 한다고 건의했으나 브림스톤은 거절했다고 한다.[15] 푸른색인 한쪽 눈은 레디어나이트 장치이다.[16] 오드아이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1;"
, 5.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1;"
, 5.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