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분수계 미적분학

덤프버전 :

분류

Analysis · Calculus


[ 펼치기 · 접기 ]
실수와 복소수
실수(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
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수열·급수
수열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라마누잔합) · 망원급수(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적분
적분 · 정적분(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발산 정리 · 그린 정리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벡터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힐베르트 공간 · 거리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확률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기타
퍼지 논리



1. 개요
2. 직관
3. 형태와 성질
4. 특징


1. 개요[편집]


fractional calculus ·

분수계 미적분학은 미분연산자와 적분연산자의 실수제곱과 복소수제곱에 대한 여러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한 수학적 분석의 한 갈래이다. 미분 연산자 [math(D)]와 적분 연산자 [math(J)]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nd{aligned} )]
그리고 미분연산자에 대해 그 양의 정수제곱, 즉 양의 정수계 도함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정의된다.
)]
이때 [math(n)]을 정수가 아닌 실수와 복소수로 확장시키는 것이 이 분수계 미적분학의 목적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공식 자체는 완성이 되어 있지만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서 미분은 정수차수만큼 하고 남은 부분을 적분으로 채워넣는 방법을 택한다. 예를 들어서 0.4계 도함수의 경우 일계도함수를 구한 뒤 0.6계 역도함수를 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2. 직관[편집]


[math(x>0)]에서 정의된 함수 [math(f(x))]에 관해서 [math(0)]에서 [math(x)]까지 적분하는 것을 앞서 적분 연산자 [math(J)]로 삼았다.
)]
이를 [math(f(x))]에 두 번 취해주게 되면 아래와 같다.
)]
[math(f(x))]에 [math(n)]번 적용한다고 하면 결과적으로 아래의 식이 된다. 수학적 귀납법으로 임의의 [math(n)]에 대해 성립함을 쉽게 보일 수 있다.
)]
여기서 [math(n)]을 복소수로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계승감마 함수로 치환해주게 되면 다음과 같다.
)]
이때 감마 함수는 [math(\Re(\alpha)>0)]일 때 절대수렴하므로, 해당 구간 내의 실수와 복소수에 대해서 해당 식이 허용할 것이라는 직관이 서게 된다.

그러나 임의의 함수가 항상 미분 가능하거나 적분 가능한 함수가 아니라는 점이 분수계 미적분학을 적용할 때의 걸림돌이다. 위 식을 적용하려면 함수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해당 함수가 정칙(holomorphic)[1]이어야 한다. 디리클레 함수처럼 어디에서도 연속이지 않거나, 바이어슈트라스 함수처럼 연속임에도 미분이 안 되면 곤란하다. 혹 함수처럼 미분 가능해도 테일러 전개가 안 되면 골치 아프다.
  • 해당 함수가 역도함수를 가져야 한다. 대표적으로 제타 함수가 있다.
  • 위 식에서 보듯 정적분이 가능해야 한다. 볼테라 함수의 도함수는 이를 만족하지 않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어떤 에서든 0에 대한 역수를 갖지 않는다는 것과 비슷하다.


3. 형태와 성질[편집]


정수차수 다항식에 대한 분수계 미분연산은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math(\displaystyle \frac{d^{n}x^{m}}{dx^{n}}=\frac{\Gamma(m+1)}{\Gamma(m-n+1)}x^{m-n})]

반면, 일반화 형태는 조제프 푸리에가 1822년. 열 분석 이론(Théorie analytique de la chaleur)에서 정수차수가 아닌 미분에 대해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정의했다.
[math(\displaystyle \frac{d^{n}f(x)}{dx^{n}}=\frac{1}{2\pi}\int_{-\infty}^{\infty}\lambda^{n}d\lambda\int_{-\infty}^{\infty}f(t)\cos\left(\lambda x-tx +\frac{\pi}{2}p\right)dt)][2]

미분연산임에도 적분연산을 통해 정의되는 이유는 미분연산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다음 성질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 정수 [math(n)]과 [math(0<\alpha<1)]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 [math(\displaystyle \frac{d^\alpha}{dx^\alpha}\left(\frac{d^nf(x)}{dx^n}\right)\neq\frac{d^n}{dx^n}\left(\frac{d^\alpha f(x)}{dx^\alpha}\right))]
    • [math(\displaystyle \frac{d^\alpha}{dx^\alpha}\left(\frac{d^nf(x)}{dx^n}\right)\neq\frac{d^{\alpha+n}f(x)}{dx^{\alpha+n}})]
    • [math(\displaystyle \frac{d^n}{dx^n}\left(\frac{d^{\alpha}f(x)}{dx^\alpha}\right)\neq\frac{d^{n+\alpha}f(x)}{dx^{n+\alpha}})]
즉,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이후 1832년. 리우빌의 정리로 유명한 조제프 리우빌이 부정적분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math(\displaystyle J^{n}f(x)=\frac{1}{(-1)^{n}\Gamma(n)}\int_{0}^{\infty}f(x+t)t^{n-1}dt)] (단, [math(x \in \mathbb{R}, \Re(n)>0)])

1847년에, 베른하르트 리만이 이를 다시 정리한 식은 다음과 같다. 현재는 분수계 적분공식은 리만의 정의에 따라 정의되며, 리우빌-리만 분수계 부정적분이라 불린다.
  • [math(\displaystyle J^{n}f(x)=\frac{1}{\Gamma(n)}\int_{0}^{x}(x-t)^{n-1}f(t)dt)]

리우빌-리만 분수계 부정적분은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math(\displaystyle \left(J^{\alpha}\right)\left(J^{\beta}f(x)\right)=\left(J^{\beta}\right)\left(J^{\alpha}f(x)\right)=J^{\alpha+\beta}f(x)\\=\frac{1}{\Gamma(\alpha+\beta)}\int_{0}^{x}(x-t)^{\alpha+\beta-1}f(t)dt)]

여기까지 왔으면 정수차수에서 미분과 적분이 서로 역연산관계라는 것이 분수계에서도 적용되는지 궁금해질텐데, 대답은 적용된다.
실제로 리우빌-리만 분수계 부정적분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얻을 수 있다.

  • [math(0<\alpha<1)]에 대하여, [math(D^{n+\alpha}f(x)=D^{n+1}\left(J^{1-\alpha}f(x)\right))]
여기서 [math(n=0)]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D^{\alpha}f(x)=\frac{d}{dx}\left(J^{1-\alpha}f(x)\right))]
여기에 위의 분수계 부정적분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아진다.
[math(\begin{matrix}\displaystyle D^{\alpha}f(x)&=&D^1\left(J^{1-\alpha}f(x)\right)\\&=&\displaystyle \frac{d}{dx}\frac{\Gamma(m+1)}{\Gamma(m-\alpha+2)}x^{m-\alpha+1}\\&=&\displaystyle\frac{\Gamma(m+1)}{\Gamma(m-\alpha+1)}x^{m-\alpha}\end{matrix})]
그런데 이 마지막 식은 오일러가 직관에 따라 제시한 공식과 형태가 일치한다.

4. 특징[편집]


원래는 미분을 일반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나, 미분연산자가 존재할 경우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기에, 적분의 역연산으로서 미분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걸 우회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역연산으로 정의한 분수계 미분의 공식을 직관적으로 처음 제시한 것은 레온하르트 오일러로서, 이후 엄밀한 연구 결과 오일러가 제시한 형태가 푸리에가 제시한 일반화 공식의 정수차수에 대한 특수한 형태이며, 이후 분수계 부정적분을 이용한 우회 계산으로 해석적인 범위에서 항상 성립하는 근본적인 형태임이 밝혀졌다.


[1] 복소평면 위에서 미분 가능[2] 출처에 따라서 조금씩 공식 형태가 다르다. 예를 들어서 arxiv의 관련 논문에 따르면(2페이지) [math(\displaystyle \frac{d^{n}u}{dt^{n}}(t)=\frac{1}{2\pi}\int_{-\infty}^{\infty}dy\; u(y)\int_{-\infty}^{\infty}d\omega\omega^{n}\cos\left(\omega t-\omega y+\frac{n\pi}{2}\right))]로 나오며, 위의 공식은 이상엽Math에서 언급한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