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서울대학교 졸업생이 벌인 허위 음란물 제작 유포 사건에 대한 내용은 서울대학교 허위 음란물 제작 유포 사건 문서
서울대학교 허위 음란물 제작 유포 사건번 문단을
서울대학교 허위 음란물 제작 유포 사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립고등교육기관
[ 펼치기 · 접기 ]

지역명
대학교육대학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마크(원).pn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KMOU_LOGO.pn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JBNU EMBLEM_B.png 전북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분류명칭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파일: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그 외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파일:정부상징.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 펼치기 · 접기 ]

가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강릉원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강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경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경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경상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국립공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군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대진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동국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목포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부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국립안동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울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전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창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충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충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이원화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국립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경기캠퍼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시흥캠퍼스)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
사립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메트로폴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벌마크.svg 동국대학교(바이오메디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동두천캠퍼스)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 수원가톨릭대학교 ·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의정부캠퍼스 · 동두천캠퍼스)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아신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삼애캠퍼스) · 파일:예원예술대학교 교표.svg 예원예술대학교(양주캠퍼스)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 의정부캠퍼스)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고양캠퍼스)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 파일:중앙승가대학교 UI.svg 중앙승가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양지캠퍼스)(대학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세대학교 UI.svg 한세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화성캠퍼스) ·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대학원)은 경기도에 대학원만 있는 캠퍼스이다.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
||
||
||
||
||
||
||
||
||
||
||
||




||



파일:세계국제관계대학연합 로고.gif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세계국제관계대학연합
||
[ 펼치기 · 접기 ]

회원 대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고려대학교 원형엠블럼.svg 고려대학교파일:서울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서울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리츠메이칸 대학교 아이콘.png 리츠메이칸대학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NUS 아이콘.pn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university of denver logo.png 덴버 대학교파일:듀크 대학교 아이콘.png 듀크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메릴랜드 대학교
파일:미네소타 대학교 트윈 시티 캠퍼스 아이콘.png 미네소타 대학교파일:미시간 대학교 아이콘.png 미시간 대학교파일:USC 아이콘.png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파일:스탠퍼드 대학교 아이콘.png 스탠퍼드 대학교파일:시라큐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시라큐스 대학교파일:아메리칸 대학교 휘장.svg 아메리칸 대학교
파일:예일 대학교 미니 아이콘.png 예일 대학교파일:워싱턴 대학교 아이콘.png 워싱턴 대학교파일:조지 워싱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 워싱턴 대학교
파일:Georgia_Tech_seal.svg 조지아 공과대학교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타운 대학교파일:JHU 아이콘.png 존스 홉킨스 대학교
파일:UC 샌디에이고 아이콘.png UC 샌디에이고파일:컬럼비아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컬럼비아 대학교파일:터프츠 대학교 로고.png 터프츠 대학교
파일:텍사스 A&M 아이콘.png 텍사스 A&M 대학교파일: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이콘.png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파일: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아이콘 원형 아이콘.png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파일:프린스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프린스턴 대학교파일:Florida_Internation_University_seal.svg 플로리다 인터내셔널 대학교파일:피츠버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피츠버그 대학교
파일:하버드 대학교 아이콘.png 하버드 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Carleton University logo.png 칼턴 대학교파일:UofT 아이콘.png 토론토 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hertie school logo.webp 헤르티 스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시앙스포 아이콘.png 파리 정치대학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Stockholm_School_Of_Economics_Logo.png 스톡홀름 경제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GenevaGraduateInstitute_website.png 국제개발대학원파일:Uni_St_Gallen_Logo.png 장크트갈렌 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IE_University_logo.png IE 대학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mgimo logo.png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제휴 회원 대학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IUJ logo.png 고쿠사이대학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파일:Utsunomiya University logo.png 우쓰노미야대학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국립정치대학 엠블럼.svg 국립정치대학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NC_State_Seal.svg.png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파일:뉴욕 대학교 아이콘.png 뉴욕 대학교파일:DePaul_U_Seal.svg.png 드폴 대학교
파일:University_of_Miami_seal.svg 마이애미 대학교파일:보스턴 대학교 아이콘.jpg 보스턴 대학교파일:브랜다이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브랜다이스 대학교
파일:Seton_Hall_University_Seal.svg 시튼홀 대학교파일: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아이콘.png 애리조나 주립대학교파일:윌리엄 & 메리 대학교 아이콘.png 윌리엄 & 메리 대학교
파일:조지 메이슨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 메이슨 대학교파일:조지아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아 대학교파일:CMU 원형 아이콘.png 카네기 멜런 대학교
파일:Pepperdine_University_seal.svg 페퍼다인 대학교파일:포덤 대학교 아이콘.png 포덤 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워털루 대학교 문장.svg 워털루 대학교파일:트렌트 대학교 아이콘.png 트렌트 대학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모내시 대학교 아이콘.png 모내시 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제네바 대학교 아이콘.png 제네바 대학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Diplomatic_Academy_Vienna.png 빈 외교 아카데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1024px-Logo_-_Prague_University_of_Economics_and_Business.png 프라하 경제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IBEI logo.png IBEI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logo-uec.webp 콜롬비아 엑스테르나도 대학교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아우스트랄 대학교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파일:Adalogonew.png ADA 대학교
틀 바로가기




||



파일:SAF소속대학 로고.png
[[The Study Abroad Foundation|{{{#373a3c,#ddd The Study Abroad Foundation}}}]]
국제 교환,방문학생 프로그램
||









||



























서울대학교
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교훈VERITAS LUX MEA
진리는 나의
상징조형물정문
동물백학
교목느티나무
교색
SNU Blue (#003380)


SNU Beige (#DCDAB2)


SNU Gray (#888B88)


SNU Gold (#C0A977)


SNU Silver (#B5B5B6)


[1]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국립대학법인, 4년제 종합대학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개교1946년 10월 15일 (77주년)[2]
국립서울대학교
총장제28대 유홍림
법인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3]
대학병원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관악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연건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연건동)
시흥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 173 (배곧동)
평창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447 (신리)


학부생16,662명 (2023년)
대학원생
12,403명 (2023년)[4]
교원6,264명 (2023년)[5]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웹사이트
[ 펼치기 · 접기 ]
소셜 미디어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관악캠퍼스연건캠퍼스
시흥캠퍼스평창캠퍼스





1. 개요[편집]


서울대학교 공식 소개영상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를 설립하고 그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대학의 자율성과 사회적 책무를 제고하고 교육 및 연구 역량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 SNU)는 서울특별시 관악구종로구, 경기도 시흥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캠퍼스를 둔 대한민국국립대학이다. 현재까지 두 명의 대한민국 대통령[6]을 배출하였고 한 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하였다.[7]

1946년에 경성대학과 9개의 전문학교, 전문학교급 학교들을 통합하여 국립종합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메인캠퍼스인 관악캠퍼스는 서울대학교 종합화 계획에 따라 1975년에 조성되었다.

2.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1895
1900
1910
1920
1930
1940
1946
현재
경성치과의학교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
의학교대한의원총독부의원경성의학전문학교의과대학의과대학
파일:경성제국대학 교표.png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간호대학
법관양성소경성전수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파일:경성제국대학 교표.png 경성제국대학
문리과대학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日 동양협회전문학교 서울분교동양협회경성전문학교 → 경성고등상업학교('20~) → 경성경제전문학교('44~)상과대학
경영대학
파일:경성제국대학 교표.png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공학계열공과대학
상공학교농상공학교경성공업전문학교경성고등공업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광산전문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수원고등농림학교 → 수원농림전문학교('44~)농과대학농업생명과학대학
수의과대학
한성사범학교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경성사범학교사범대학사범대학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사범과경성여자사범학교
생활과학대학
경성음악학교('45~)예술대학음악대학
미술대학
조선약학강습소조선약학교경성약학전문학교 → 서울약학대학('45~'50)약학대학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 후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설립에관한법령(미 군정법령 제102호)에 의하여 기존의 경성대학(경성제국대학)과 경성경제전문학교, 경성치과전문학교(사립),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광산전문학교, 경성사범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를 폐지하고, 국립서울대학교[8]로 흡수 및 통합한 것이 시초이다. 이외에 사립이었던 서울약학대학을 흡수하는 등 여러 단과대학의 증설 및 통폐합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각 단과 대학들이 기존의 교사에서 각자 운영되다가 1975년에 관악캠퍼스가 설립되면서 종로구 대학로 인근 연건동의과대학(당시 간호학과 포함)과 수원농과대학을 제외한 모든 단과대학들이 관악캠퍼스로 모였다.

공과대학이 사용하던 노원구 공릉동의 드넓은 부지와 건물들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원자력병원, 한국전력공사 연수원 등으로 이전되었으며, 동숭동캠퍼스[9] 문리과대학 등의 부지는 서울사대부초, 서울사대부여중을 남기고 분할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마로니에공원 등의 부지로 바뀌었으며, 상과대학이 사용하던 성북구 종암동 부지의 서울상대 본관 및 도서관, 강당 건물 등은 서울사대부중서울사대부고로 사용되었다. 2003년 농과대학(현 농업생명과학대학)이 관악캠퍼스로 이전했다.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1년에 법인화하여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라는 법인을 설립하였다. 즉,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가 운영하는 고등교육기관이다.


3. 임원[편집]


현직 임원
총장제28대 유홍림
이사장제8대 권오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임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46년 개교 이후 총 27명의 총장이 배출되었다. 그 총장은 주요 부처 장관 급으로 대우받았는데, 이는 서울대학교가 국무총리 산하의 기관으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또한 총장들 중 일부는 국무총리에 임명되기도 했다.

2011년 법인화 이후 이사장제가 신설되었다. 이사는 7~15명으로 구성하며, 서울대학교 총장, 서울대학교 부총장 중 2명, 기획재정부 차관 중 1명, 교육부 차관 중 1명이 포함된다.


4. 상징[편집]



4.1. 정장(正章)[편집]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 휘장의 역사

서울대학교의 정장(正章)은 월계관깃털펜횃불을 교차해 놓고, 그 위에 과 교문 심볼을 배치한 짙은 파란색문장()이다.[10]

월계관은 경기의 승리나 학문 등의 업적에서 명예와 영광을 상징하며, '으뜸가는 학문적 영예의 전당으로서의 서울대학교'를 의미한다. 그리고 펜과 횃불은 지식의 탐구를 통해 겨레의 길을 밝히는데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바탕 위에 펼쳐진 책에는 라틴어 VERITAS LUX MEA가 적혀 있고 이는 '진리는 나의 빛'이라는 뜻이다.

정장의 원형은 개교 후 1946년 미술대학 학장이었던 장발(張勃) 교수의 요청으로 도안과[11] 학생인 이기훈(李基勳)이 고안하여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각 단과 대학별로 약간씩 다른 모양을 해서 정확한 모양과 비율 등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가 1955년에 통일된 정장을 선보였다.

이후 2006년에 비율, 월계관의 모양 등이 다시 한 번 바뀌고 색깔은 청람색에 가까운 서울대 고유색이 되었다. 원래 기존 휘장을 폐기하고 새로운 휘장을 만드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교수·학생·졸업생 등의 대대적인 반대 여론으로 인해 기존 휘장을 개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등록된 상표이기도 하다. 서울대학교 산업협력단에서 불법 사용을 제보받는다. 특히 의원, 치과의원에서 많이 문제된다.

  • 사용 가능한 경우
  • 사용 불가능한 경우
    • 서울대 타 전공 학사, 타대 석사, 치의학대학원 학술대학원(2년제), 치의학보건 과정, 치의학대학원치의과학과 불가

즉,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타 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한 자는 사용할 수 없다.



4.2. 표어[편집]


VERITAS LUX MEA


VERITAS LUX MEA는 현 서울대학교의 표어로, "진리는 나의 빛"이라는 뜻의 라틴어 경구다. 교회 라틴어 발음에 따르면 '베리타스 룩스 메아', 고전 라틴어 발음으로 하면 "웨리타스 룩스 메아"로 읽으며, 본래 문장에 들어갈 연결사(corpula, 영어의 be 동사와 유사.)는 일반적으로 생략이 가능해 빠져 있다. 다만 서울대학교 로고 상 VERITAS가 두 줄로 나뉘어 있어 무심코 가로 방향을 따라 VERILUX TAS MEA라 읽는 실수를 할 때도 있다.

기록에 따르면 초대 총장이었던 해리 엔스테드(Harry B. Anstead) 박사가 지었다고 하며, 학교 휘장에 새겨져 있기도 하다. 한국에서 라틴어 표어를 사용하는 기관이 얼마 없어서 이래저래 유명하다.

한국에서 서울대학교를 제외하고 라틴어 표어를 쓰는 교육기관은 광운대, 서강대, 성공회대가 있다. 참고로 복거일대체역사소설 비명을 찾아서에서는 이 문구가 경성제국대학의 교훈으로도 등장하지만, 사실과는 다르다.

하버드 대학교(Veritas(진리))와 예일 대학교(Lux et veritas(빛과 진리))의 표어를 표절했다는 소문이 널리 퍼져 있어 여기저기서 힐난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진실을 알고 보면, Veritas(진리)라는 단어는 학교의 교훈 등의 표어로 엄청나게 자주 쓰이는 라틴어 단어이다. 미국에서만 이 단어를 쓰는 대학이 40여 개가 넘으며 유럽까지 포함하면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자주 쓰인다. 오히려 서울대의 표어는 문장 구조로만 봤을 때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표어인 Dominus illuminatio mea(주님은 나의 등불)와 가깝다. 하지만 생각보다 오해가 널리 퍼져 있는 탓에 서울대생들마저도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여기서 옥스퍼드의 표어인 Dominus illuminatio mea와 Veritas lux mea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를 조금 생각해 보자. lux가 어떤 물체가 자체적으로 발하는 빛을 뜻한다면, illuminatio는 (내) 앞을 비추어 밝혀주는 불빛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울대의 “Veritas lux mea”가 “진리가 발하는 불빛은 나의 불빛”이라는 의미라면, 옥스퍼드의 Dominus illuminatio mea는 “주님이 내가 가는 길을 밝혀주시는 등불”이라는 의미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서울대학교의 교훈을 지은 사람은 군종 목사였다.


4.3. 조형물[편집]


파일:서울대학교 정문 조형물.jpg
서울대학교 정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시설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정문@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www.snu.ac.kr/pic17.gif
교조 - 쌍학
교조와 관련해서는 '쌍학'이란 이름의 조형물이 문화관 앞에 있다. 그러나 두 마리의 날개를 활짝 편 모습을 형상화한 일종의 미술 작품(엄태정 명예교수 제작)이기 때문에 그리 동물로 보이지 않아 모르는 이들은 그냥 지나치기 마련이다. 재학생 중에도 모르는 경우가 더러 있다.

캠퍼스 내에 상징적인 조형물이 없다는 의견에 따라 개교 52주년이 되던 1998년에 제작되었다.[12]

좌대에는 김대중 대통령의 친필 '겨레와 함께 미래로'라는 글귀가 있다. 처음에는 금빛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녹이 슬어 지금의 푸르죽죽한 색깔을 가지게 되었다.


4.4. 찬시[편집]


찬시()는 1971년 4월 2일, 당시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4학년생인 학생대표 정희성(시인, 前 숭문고등학교 교사)이 관악산으로 옮긴 종합캠퍼스 기공식에 부친 축시에서 쓴 시다.

서울대학교가 자체적으로 슬로건을 내세울 의도는 없었지만, 수능 관련 커뮤니티에 자주 언급되어 유명해졌다. 특히 이 시 전문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관악을 보게 하라"라는 구절은 알만큼 유명하다.

전문 [ 펼치기 · 접기 ]

여기 타오르는 빛의 성전이

그 누가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이마가 시원한 봉우리

기슭이마다 어린 예지의 서기가

오랜 주라기()의 지층을 씻어내린다

헐몬의 이슬이 시온의 산들에 내리듯이

관악의 이마에 흐르는 보배로운 기름이여

영원한 생명의 터전이여

겨레의 염원으로 기약한 이 날

헤어졌던 이마를 비로소 마주대고

여기 새로 땅을 열어

한 얼의 슬기를 불 밝히니

「진리는 나의 빛」

이 불이 밝히는

오 한 세대의 확고한 길을 보아라

온갖 불의와 사악()과

어둠의 검은 손이 눈을 가릴 때에도

그 어둠의 정수리를 가르며 빛나던 예지여

역사의 갈피마다 슬기롭던

아 우리 서울대학교

뼈 있는 자의 길을 보아라

뼈 있는 자가 남기는 이념의 단단한 뼈를 보아라

저마다 가슴 깊이 사려둔 이념은

오직 살아 있는 자의 골수에 깃드니

속으로 트이는 이 길을

오 위대한 세대의 확고한 길을 보아라

만년 웅비()의 새 터전

이 영봉()과 저 기슭에 어린 서기()를

가슴에 서리담은 민족의 대학

불처럼 일어서는 세계의 대학

이 충만한 빛기둥을 보아라

온갖 어두움을 가르며

빛이 빛을 따르고

뼈가 뼈를 따르고

산이 산을 불러 일어서니

또한 타오르는 이 길을

영원한 세대의 확고한 길을 보아라

겨레의 뜻으로 기약한 이 날

누가 조국으로 가는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민족의 위대한 상속자

아 길이 빛날 서울대학교

타오르는 빛의 성전 예 있으니

누가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4.5. 기타[편집]


서울대학교를 일컫는 별명으로는 샤대가 있다. 일명 샤대문으로 불리는 서울대 교문 조형물이 한글 글자 '샤'처럼 보이기 때문. 서울대학교를 샤대, 디시인사이드 서울대 갤러리를 ‘샤갤’, 유저들을 '샤붕이'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밖에도 영칭인 Seoul National University의 약칭을 따 SNU(스누)로 부르기도 한다. '스누'는 본교 인터넷 커뮤니티의 이름 '스누라이프'나, SNUPO(스누포) 등 각종 동아리 이름, 심지어는 개발 동아리에서 만든 앱 이름에도 일반적으로 많이 들어간다.

다른 대학에서 Pass&Fail(P/F)라 하는 것도 서울대는 Satisfactory/Unsatisfactory(S/U)라고 하는데, 이는 미국권 대학교에서 쓰고 있는 방식(Satisfactory / Unsatisfactory Grading)으로 A~F의 D는 P이지만 S/U에서는 U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P/F와 다르다.

실제로 특정 분야의 외국 유튜버들이 비슷한 내용의 서울대 연구 자료를 소개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SNU를 Seoul National University라고 읽지 않고 "스누"라고 읽는 경우가 매우 많다. 외국인 입장에서도 발음하기 편한듯.


5. 학부대학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학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대학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의 학과
[ 펼치기 · 접기 ]

대학(원)학부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국사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고고학전공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전공
미술사학전공
미술사학전공
철학과
동양철학전공
서양철학전공
종교학과
미학과
(협동과정)
서양고전학전공
인지과학전공
비교문학전공
기록학전공
공연예술학전공
사회과학대학
정치학전공
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
외교학전공
외교학전공
경제학부
사회학과
인류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언론정보학과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평화통일학전공
자연과학대학
수리과학부
통계학과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
천문학전공
화학부
생명과학부
지구환경과학부
(협동과정)
유전공학전공
뇌과학전공
생물정보학전공
계산과학전공
생물물리및화학생물학전공
간호학과
경영학과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전공
멀티스케일기계설계전공
재료공학부
재료공학전공
하이브리드재료전공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
화학생물공학전공
에너지환경화학융합기술전공
건축학과
산업공학과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전공
원자핵공학전공
조선해양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전공
도시설계학전공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우주시스템전공
인공지능전공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자원경제학전공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지역정보전공
지역정보전공
작물생명과학전공
식물생산과학부
작물생명과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
산업인력개발학전공
농산업교육과
산림환경학전공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환경재료과학전공
환경재료과학전공
식품생명공학전공
농생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전공
응용생명화학전공
응용생명화학전공
응용생물학전공
식물미생물학전공
곤충학전공
바이오모듈레이션전공
생태조경학전공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소재공학전공
바이오소재공학전공
(협동과정)
농림기상학전공
농생명유전체학전공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공업디자인전공
디자인역사문화전공
도예전공
금속공예전공
동양화과
서양화과
서양화전공
판화전공
조소과
(협동과정)
미술경영전공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교육공학전공
교육상담전공
교육행정전공
평생교육전공
국어교육과
외국어교육과
영어전공
독어전공
불어전공
사회교육과
일반사회전공
역사전공
지리전공
윤리교육과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물리전공
화학전공
생물전공
지구과학전공
체육교육과
스포츠과학전공
인간운동과학전공
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미술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특수교육전공
환경교육전공
유아교육전공
글로벌교육협력전공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전공
소비자학과
아동가족학전공
아동가족학과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
수의학과
약학과
음악과
성악전공
작곡·지휘전공
이론·음악학전공
피아노전공
현악전공
관악전공
국악전공
의학과
의과학과
휴먼시스템의학과
의료기기산업학과
(협동과정)
종양생물학전공
임상약리학전공
의료정보학전공
줄기세포생물학전공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보건정책관리학전공
환경보건학과
행정학과
행정학전공
정책학전공
도시및지역계획학전공
교통학전공
환경관리학전공
도시·사회혁신전공
환경조경학전공
도시환경설계전공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국제학과
국제통상전공
국제협력전공
국제지역학전공
한국학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서울대학교/대학원#s-1.4|{{{#black,#DDDDDD {{{-2 치의과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서울대학교/대학원#경영전문대학원|{{{#black,#DDDDDD {{{-2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Executive MBA}}}}}}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서울대학교/대학원/법학전문대학원|{{{#black,#DDDDDD {{{-2 '''법학전문대학원'''}}}}}}]]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법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서울대학교/대학원#융합과학기술대학원|{{{#black,#DDDDDD {{{-2 '''융합과학기술대학원'''}}}}}}]]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응용바이오공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지능정보융합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수리정보과학과 }}}}}}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헬스케어융합학과 }}}}}}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서울대학교/대학원/국제농업기술대학원|{{{#black,#DDDDDD {{{-2 '''국제농업기술대학원'''}}}}}}]]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국제농업기술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경제동물과학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바이오식품산업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종자생명과학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그린에코시스템공학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서울대학교/대학원#공학전문대학원|{{{#black,#DDDDDD {{{-2 '''공학전문대학원'''}}}}}}]]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응용공학과}}}}}}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서울대학교/대학원#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black,#DDDDDD {{{-2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padding:0px"
{{{#black,#DDDDDD {{{-2 데이터사이언스학과}}}}}}



관악캠퍼스에는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미술대학, 법과대학[13],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음악대학, 자유전공학부, 첨단융합학부가 개설되어 있고, 연건캠퍼스엔 의과대학, 간호대학[이전], 치의학학석통합과정(7년제)이 개설되어있다.

일반대학원 외에 전문대학원의 경우 관악캠퍼스에는 법학전문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보건대학원, 행정대학원, 환경대학원, 국제대학원, 공학전문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일부가 개설되어 있다.

연건캠퍼스에는 치의학(전문)대학원[14], 광교캠퍼스에는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일부, 평창캠퍼스에는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이 있다.


6. 세계대학평가[편집]


파일:서울대학교 흰색 로고.svg
연도QSTHEARWUCWURUSN & WRCWTS P(10%)Nature Index
201150위109위101-150위----
201242위124위101-150위75위---
201337위59위101-150위40위---
201435위44위101-150위24위---
201531위50위101-150위24위72위61위-
201636위85위101-150위24위105위57위56위
201735위72위101-150위23위119위57위52위
201836위74위101-150위60위123위59위56위
201936위63위101-150위33위129위62위60위
202037위64위101-150위31위128위70위58위
202137위60위101-150위31위129위72위51위
202236위54위98위31위130위74위51위
202329위56위94위31위129위61위55위
202441위62위-----




[ 2004 ~ 2009 순위 ]
'''[[THE 세계 대학 랭킹
THE]]-QS 세계 대학 랭킹[1]| 연도'''200420052006200720082009
순위118위93위63위51위50위47위
[1] 최초에는 서베이 회사인 QS와 The Times의 자매지인 The Times Higher Education이 공동으로 발표하다가 2010년 결별하여 각각 단독으로 랭킹을 발표하고 있다.



7. 캠퍼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캠퍼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관악캠퍼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 관악구 소재.
서울대학교의 메인 캠퍼스로 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간호대학[이전]을 제외한 모든 학부가 있다.

각 단과대학이 흩어져 있던 것을 대학종합화 계획에 따라 1975년부터 1980년까지 관악캠퍼스로 이전했다.[15]

대한민국의 대학 캠퍼스 중 가장 넓으며, 에버랜드+캐리비안베이의 2배, 여의도의 절반 정도이다.[16]



7.2. 연건캠퍼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재.
서울대학교병원이 있으며, 병원 실습을 하는 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간호대학이 이곳에 있다.



7.3. 평창캠퍼스[편집]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소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의 그린바이오분야 멀티캠퍼스로,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농업생명과학대학 목장이 위치해 있다.



7.4. 시흥캠퍼스[편집]




경기도 시흥시 소재.
경기도 시흥시 배곧신도시에 위치한 캠퍼스로, 현재까지 교직원 및 대학원생 주택, 서울대시험수조, 지능형 무인비행체 연구동, 미래모빌리티 연구동과 자율주행자동차 트랙 등이 완공되었다. 관악캠퍼스와 시흥캠퍼스를 오가는 셔틀버스가 하루 10회 운행하고 있으며, 추후 서울대학교병원 및 치과병원 분원이 들어오는 등 의료바이오 융복합연구 단지 조성와 오픈 이노베이션 및 창업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에 있다.



7.5. 그 외[편집]




7.6. 관악캠퍼스 종합화 이전[편집]



서울대학교는 경성제국대학(경성대학)과 구제전문학교를 통폐합하여 개교한 학교로, 1975년 관악캠퍼스 종합화 이전에는 캠퍼스가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 뿔뿔이 흩어져 있었다.
캠퍼스개교 이전개교 이후현재
동숭동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 경성고등공업학교 / 경성광산전문학교('39~'43)문리과대학 문학부, 법과대학서울사대부초, 서울사대부여중, 마로니에공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연건동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 경성의학전문학교의과대학, 미술대학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홍익대학교 대학로캠퍼스
청량리(이공)경성제국대학 예과문리과대학 이학부청량리미주아파트 단지
청량리(법학)경성법학전문학교법과대학('46~'49)청량중학교
공릉동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 경성광산전문학교('43~)공과대학서울과학기술대학교, 원자력병원, 경기기계공고
종암동경성경제전문학교상과대학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고등학교
을지로경성사범학교사범대학, 가정대학주한미군 공병대, 훈련원공원
소공동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치과대학한국은행 본관 옆
남산경성음악학교음악대학남산도서관, 안중근의사기념관 일대
수원수원농림전문학교농과대학, 수의과대학서울대학교 수원수목원, 경기상상캠퍼스


8. 생활 및 문화[편집]





8.1. 학사 제도[편집]





8.2. 교환학생[편집]





8.3. 동아리[편집]





8.4. 운동부[편집]





8.5. 축제[편집]





8.6. 학생회[편집]





9. 입학 관련 정보[편집]




수시모집(60%)정시모집(40%)
* 지역균형전형(565명, 17.2%)
* 일반전형(1408명, 42.9%)
* 지역균형전형(130명, 4.0%)
* 일반전형(1179명, 35.9%)
* 기회균형특별전형Ⅰ(농어촌)* 기회균형특별전형Ⅱ(저소득)
* 기회균형특별전형Ⅲ(특수교육,북한이탈)

수시 모집과 정시 모집으로 선발한다.

수시 모집은 일반전형 제외 고등학교 재학생만이 선발 대상이며, 정시 모집은 1단계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100%로 2배수 선발, 2단계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80%에 내신(교과평가) 비율 20%를 추가로 반영하여 선발한다.


9.1. 수시 모집[편집]


  • 일반전형: 학생부, 자기소개서로 1차 선발을 거친 후 1차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 및 구술고사를 실시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하는 방식이다. 면접은 주어진 문제를 풀고 교수에게 풀이 과정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사범대학 체육교육과를 제외하고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수시 일반전형은 서울대학교 입학전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전반적으로 수시 일반전형 합격자들의 평균 평점(GPA)이 가장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상위권 특목고 및 자사고에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서울대에 입학하는 주요 전형이기도 하며, 합격생의 고교 유형별 현황 자료를 보면 서울대학교 수시 일반전형 합격자의 65~70% 가량은 영재고, 과고, 자사고, 자공고, 외고, 국제고, 예고 등의 특목고 및 자율고 학생들이다. 일반고 합격생의 경우 8학군을 포함한 상대적으로 서울대 및 의치대 진학률이 높은 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수시 일반전형 합격자들 중에서는 해외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도 일부 있다. 하지만, 국제학교를 비롯한 해외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주로 연 2회 모집을 실시하는 정원외전형인 글로벌인재특별전형을 통해 서울대학교에 진학한다. (단, 이는 12년 특례 자격이 있어야지만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1년이라도 학교를 다녔으면 수시 일반이나 지균 등으로 지원해야 한다)

  • 지역균형선발전형: 상대적으로 교육이 열악한 지역 학생들을 배려하기 위해 도입된 전형으로 약칭으로는 '지균'이라고 불린다. 이 밖에도 성적만 상위권이고 실제 수학(修學)능력이 낮은 학생들을 대거 뽑아가는 파행에 맞서기 위해 도입되었다고 한다. 지역균형선발전형은 학교장이 각 학교에서 2명을 추천하여 수능 최저학력기준(3개 영역 이상 2등급[17])을 충족한 학생을 선발한 뒤, 서류와 면접을 통과해야 합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후 꾸준히 지역별 교육 격차가 줄어들며 이 제도에 대한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합격생의 고교 유형별 현황 자료를 보면 서울대학교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 합격자의 85~90% 가량은 일반고 학생들이며, 여기에 자공고를 더할 경우 그 비율은 90~95%에 달한다.
2023 수시 지역균형전형 변경사항 (2021년 고2 이후) 공지

* 단계별 전형 전환
1단계에서 서류평가 100%로 3배수가 합격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점 + 면접 30점으로 최종 합격자를 정한다.
* 수능 최저기준 완화
4개 영역 중 3개 이상 2등급 → 4개 영역 중 3개 등급 합 7

  • 기회균형선발특별전형(정원 외): 하위 전형으로 특성화고특별전형이 있는데,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과거에는 수학영역·영어영역 4등급, 직업탐구 영역 2등급 이내라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기준이 있었지만 적용하지 않게 되었다.


9.2. 정시 모집[편집]


  • 일반전형: 2023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과 교과평가(내신)을 합산하여 반영한다. 전반적으로 합격 커트라인이 올 1등급은 우스울 정도로 높은 편이다. 특히 문과 입시의 경우 서울대 내에서 입결이 가장 낮게 형성되는 학과도 연고대 상경계 학과들보다 점수가 높다. 이공계에서도 수험생 선호도가 높은 일부 학과들의 합격자 수준은 중위권 의대 합격자 수준과 겹칠 정도로 들어가기가 어렵다. 여담으로 공무원 시험처럼 늦게 정신차린 N수생들의 마지막 희망이기도 하다. 합격생의 고교 유형별 현황 자료를 보면 서울대학교 정시 일반전형 합격자의 35% 가량은 특목고 학생들이며, 일반고에서 현역으로는 붙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합격자의 65~70%가 재수생을 포함한 N수생들이다. 실제로 정시로 입학한 학생중 가장 다수가 재수생이며 그와 비슷한 비중을 3수생이 차지하고 있는데, 2020년대 초반 코로나19 사태 이후 N수생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수능판이 점점 고이기 시작하면서 앞으로 그 비율이 더욱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기회균형선발특별전형(정원 외): 북한이탈주민, 특수교육대상자, 1~3급 장애인만 지원 가능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 2개 영역 2등급 이내여야 한다.

2023 정시 개편 (2021년 고2 이후) 공지

* 교과평가 추가
서울대학교 정시 모집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100%로 선발하였지만, 2023학년도부터 교과평가가 추가된다.
교과평가는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의 ①교과 이수 현황, ②교과 학업성적, ③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만이 반영된다.
1단계에서는 수능 100%로 2배수가 합격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 점수 80점 + 교과평가 20점으로 최종 합격자가 정해진다.
* 지역균형전형 신설
수시 모집과 마찬가지로 정시 모집에도 지역균형전형이 신설된다.
고등학교마다 2명 이내의 학교장 추천을 받으면 지원 가능하며, 졸업자(N수생)도 추천을 받을 수 있다.
일반 전형과 달리 수능 60점 + 교과평가 40점 만으로 합격자가 정해진다.

2024 정시 개편 (2021년 고1 이후) 공지

* 수능 과학탐구 Ⅱ과목 필수 해제
기존 자연계열 정시에서의 수능 과학탐구 영역 Ⅱ과목 필수가 해제되었으며, 이를 대신하여 Ⅰ+Ⅱ는 3점 Ⅱ+Ⅱ는 5점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 물리학 또는 화학 응시 필수 모집단위 추가
일부 모집단위의 경우 수능 과학탐구 영역 중 물리학Ⅰ, 물리학Ⅱ, 화학Ⅰ, 화학Ⅱ 중 한 과목 이상을 응시해야 한다.
[ 여기에 해당하는 모집단위 ]
  •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 물리·천문학부 천문학전공, 화학부
  •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전기·정보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생물교육과
  • 의과대학


10. 출신 인물[편집]





11. 졸업자 사회 진출 현황[편집]





12. 사건 및 사고[편집]





13. 의견 및 비판[편집]





14. 여담[편집]


  • 서울대의 전통 놀이로 팩차기가 있다.

  • 역사적으로는 '국립서울대학교 설치령’이 공포되기 전, 국어(한국어)를 배운 사람이 드물었기 때문에[18],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회에서 입시 과목에 국어와 한문을 제외하기로 결의하였다. 그러자 외국인 총장 앤스테드 대위가 “자국어 시험을 치르지 않고 학생을 뽑는 대학이 세상 어디에 있느냐”라고 훈계한 역사가 있다. #

  • 입학하자마자 일반휴학[19]을 할 수 있는 세 대학교 중 하나이다. 다른 두 곳은 카이스트[20], 포항공과대학교[21].[22]

  • 서울대 3대 바보: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학교 정문까지는 걸어서 30분이다. 정문으로부터 가장 먼 건물인 윗 공대까지 걸어간다면 총 1시간을 걸어야 한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공과대학(301, 302 공학관)까지는 버스로도 10분 거리고 이는 신촌으로 치면 합정역에서 세브란스병원까지의 거리와 같다. 이를 걸어가는 사람보고 바보라 일컫는다. 그리고 서울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평균적으로 각 고등학교에서 전교 1등, 정말 못해도 2, 3등 안에 들었던 자들이 입학하는 곳이라 영재학교나 특목고 출신이 아닌 이상 서로 전교 1등 해봤다고 자랑하는 건 의미가 없다. 그리고 가장 재미없기로 소문난 서울대학교 축제에 열심히 참가하는 사람도 바보라고 보는 시선이 팽배해졌다.[23] 그런데 강남순환로 개통으로 러시아워에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 행정관을 오가는 셔틀버스가 계절학기 중임에도 불구 40분 넘게 걸리는 상황이 되었다. 개강시 더 심해질 것은 불보듯 뻔한 일. 입구역에서 서울대까지 걸어가는 게 과연 바보짓인지 의문이 제기될 판이다. 실제로 금요일 퇴근 시간과 맞물리면 걸어가나 버스 타나 비슷하게 도착한다. 날씨만 좋다면 만원버스 안에 타서 흔들리느니 걸어가는 게 나을 판이다.[24]

  • 수원시에 있던 농업생명과학대학이 2003년 관악캠퍼스로 이전했다. 수원캠퍼스(일부 보존 부지 제외)는 2012년에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와 맞교환 형태로 교환이 되었다. 이 계약으로 과거 서울대 수원캠퍼스 부지는 도유지, 경인교육대 경기캠퍼스는 국유지로 전환되었다.

  • 2014학년도 입시부터 정시모집에서는 학생부와 논술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수능 100%로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에, N수생 합격자들이 상당수다.

  • 서울대의 IP주소는 147.46.0.0/15 대역이다.[25][26] 인터넷을 하다 보면 이 주소를 의외로 여러 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으며, 디시인사이드에서 발견되는 것쯤은 이미 아무것도 아니다. 심지어 아웃사이더 갤러리에서 "화장실에서 밥먹었다"는 꾸준글의 IP가 서울대학교로 밝혀져 갤러들에게 충격을 주었던 일도 있었다. 아무래도 25,000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보니 이런저런 사람은 다 있다.

  • 서울대학교의 학내 신문은 '서울대신문'이 아니라 그냥 '대학신문'이다. 거만하다고 오해할 수 있으나 실은 6.25 전쟁 당시 부산에 설치되었던 전시연합대학의 학보로부터 전해져 내려져 온 것이기 때문이다.[27] 사실 명칭 부심은 오히려 1947년 7월 1일 문리과대학 학생회 문화부에서 창간한 학보의 제호가 '대학신문'인 것에서 찾을 수 있다.문리과대학의 대학신문 창간호(1947.7.1) 당시는 단과대 별로 따로 기관지를 발행했는데 예컨대 사범대는 '사범대학'이었다. 유독 문리과대학이 '대학신문'이라 한 것은 구제전문학교와 통합된 타 단과대학들과 달리[28] 문리과대학은 온전히 경성제대 문학부와 이학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일제강점기 동안 한반도 내의 유일한 대학이었던 경성제대의 적통이라는 자부심이 드러난 것이라 보아야 한다. 문리과대학의 '대학신문'은 1947년 9월 제3호까지만 발행되었다. 1948년 3월 1일에는 서울대 전체 학보인 '서울대학신문'이 창간되어 1950년 5월까지 발행되다가 한국전쟁이 발발하는 바람에 제17호를 마지막으로 정지되었다. 그리고 현재 발행되는 '대학신문'은 1952년 2월 4일 전시연합대학 시절에 탄생한 것이 이어내려온 것이다. 전쟁으로 중단되지 않았더라면 서울대 학보의 명칭은 그대로 '서울대학신문'이 되었을 것이다.

  • 타과 학생들이 미대의 로망을 상상하고 미대 건물에 들어왔다가 매우 열악한 환경에 당황하기도 한다. 이 건물의 모 학과 과방을 들어가봤더니 1평짜리 다락방에 전기장판만 있었다는 전설이 있다. 그나마 새로 지어진 편인 디자인과 건물은 괜찮다.

  • 체력이 약골인 걸 전국에 인증했다.

서울대 학생들의 체력이 약골이에요. 조사를 해 보니까 서울대 학생들의 체력이 50대 아저씨 수준이라고 밝혀져서 충격을 주고 있어요. 일반인과 서울대 남학생 체지방률,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이게 모두 50대 아저씨들 수준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일본의 20대 청년들의 평균 체력보다 현저히 낮다는 그런 연구 결과도 있어서 충격입니다. 일본 20대하고 서울대 학생들하고, 심지어 서울대에서 운동을 주기적으로 참여한 학생들도 일본 20대 아이들보다 더 낮습니다. - 2010년 국정감사


  • 서울대 야구부는 네임밸류에 어울리는 화려한 패배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슷한 처지의 도쿄대학 야구부와 친선경기를 종종 벌인다.

  • 서버 오류 및 잘 터지기로는 정평이 나 있다. 사실 이는 서버 관리를 나태하게 해서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수강신청 사이트는 물론, eTL까지 터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래 사건들이 대표적이다.
    • 2015학년도 2학기 홀수학번 수강신청 대란. 수강신청해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초인기강좌는 아니더라도 꽤 인기 있는 강좌가 수강신청하기 시작한지 20분 지나기까지 자리가 남아 있다는 건 얼마나 기적에 가까운 일인지 알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실제 수강신청 사이트 서버는 한적했고, 로그인만 하면 대기시간 하나 없이 수강신청을 전승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었다. 그 놈의 로그인만 되면. 문제는 수강신청 15분 전부터 로그인 서버가 터져 제시간에 로그인이 된 사람이 극히 드물었고 결국 수강신청 시작하고나서 3-40분이 되기까지 로그인을 못한 사람이 생기기도 했다. 그날 스누라이프는 불평, 비판글로 폭발했고, 서울대에도 항의 전화가 몇 개는 걸려왔으며, 학생회에서 움직임을 보였으며, 그 다음날 짝수학번 수강신청은 08학번 인증, 역대급 가장 쾌적한 수강신청이었다.
    • 2021년 8월 13일, '13일의 금요일 수강신청 사태'. 선착순 수강신청이 예정되어 있었던 8월 13일에는 수강신청 시작이 8시 30분으로 계획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7시50분까지 점검을 하겠다고 공지를 띄웠다가 8시 20분이 넘도록 수강신청 사이트에 들어가지 못한 학생들이 정보화본부에 문의한 결과, 8시30분까지 로그인을 막아놓았다는 무지성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 결국 수강신청 당일 수강 신청이 시작되는 시각이 다 되어서야 수강신청을 30분 연기하는 역대급 무능함을 보였다(그리고, 공지를 게재한 마이스누 포털 역시 터져 공지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제보가 속출했다.) 가히 서울대학교의 적폐 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당일 오전 8시 50분 경에는 수강신청 일정에서 13일이 아예 사라지고, 선착순 수강신청 일정이 8월 17일로 변경되어 게재되었다. 학생들은 학교 측의 무능함에 치를 떨고 있다.[29] 수강신청이 기술적인 이유로 두 번 미뤄졌음에도 불구하고, 정보화본부는 학생들이 지적하기 전까지 무엇이 문제인지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서버가 터졌어도 수강신청에 성공한 학생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선착순의 원칙은 지켜졌다고 발뺌을 시전, 학생회 측에서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나서야 사과하는 추태를 보였다.




  • 관악 캠퍼스가 김포국제공항 접근 항로 아래 위치해 있어 학교에서 하늘을 올려다보면 비행기가 꽤 자주 지나다닌다. 대부분은 착륙하는 비행기이지만, 날에 따라 이륙하는 비행기가 보이기도 한다. 기종도 737, 747[30], 767, 777, 787[31], A320 패밀리, A330, 각종 비즈니스 제트 등 매우 다양하다.


  • 학교 포털인 마이스누는 웹표준인 HTML5 기반으로 만들어져 브라우저와 관계없이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로그인 시에 딱 하나 비표준적인 물건을 쓸 수도 있지만 선택사항일 뿐으로 굳이 쓰지 않아도 이용에 지장은 없다...라기보다는, 중요한 학사와 재정, 서무업무를 보는 교직원과 보직교수의 신분확인을 위한 목적이 강하며(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지 않으면 업무승인을 할 수가 없다) 학부, 석박사과정생 및 연구생[32], 시간강사 및 연구원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 2016년 2월 15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서 열린 2016학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OT에 걸그룹 여자친구가 축하 공연을 선보였다.

  • 학부와 법학전문대학원을 모두 지방대를 나온 어느 변호사시험 합격자는, 작은 사회인 로스쿨의 특성상 학생들 사이에 뒷담화가 일상이기는 하지만 개중에서도 서울대 출신들의 그것은 격이 다르더라는 소감을 남겼다. 스누라이프의 예에 비추어 보면, 이 소감은 상당히 일리 있다.

[로스쿨생들 사이의] 뒷담화에는 남녀노소가 따로 없다. 그러나 이런 면에서도 샤대 학부 출신은 다른 것 같다. 그들은 공부든 뭐든 다 잘하고, 뒷담화 기술 또한 가히 예술이다. 정보 획득, 전파, 교란, 이간질, 그 사이에서 치고 빠지기 등등 그들의 실력은 순수 노력으로만 달성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박재훈, 《너의 로스쿨》, 204면


  • 1981년 1월 29일, 경향신문에서 배짱/소신지원으로 법대에 합격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관악산에 노루가 뛰논다 - 관악마운틴 노루점핑


  • 6.25 전쟁 당시 서울대학교 건물이 미군의 사령부로 사용되었다. 정전협정 이후 1953년 9월 15일, 미군은 서울대학교 환수식을 통해 서울대학교 건물을 서울대학교에 반납하고 용산구로 이사갔다.#

  •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로 인하여 학식 물가가 대폭 오르자 서울서 처음으로 밀키트와 이를 조리할 셀프조리코너를 조직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 2023년 12월,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오상훈 교수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BMC Psychology’에 학업성취도와 관련 있는 심리적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으로 서울대 의대생 102명을 선정하고, 비교군으로 서울 소재 대학생 120명을 모집해 학업성취도는 수능 성적과 현재 학점으로 평가했으며, 심리요인으로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 성격 특성, 시험불안, 회복탄력성,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서울의대생들은 비교군보다 시험불안과 신경증적 성향(예민함·노이로제)이 낮았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33] 성향도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효능감[34]은 더 높았다. 학업성취의 동기에 있어 외부의 기대보다는 내면의 자신감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가능하다. #1 #2




15. 부속 시설 및 관련 기관[편집]



15.1. 서울대학교병원[편집]




15.2. 규장각한국학연구원[편집]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국학진흥원과 함께 대표적인 한국학 연구 및 자료수집기관이다.

15.3.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학교[편집]



16. 노동조합 현황[편집]




17. 외부 링크[편집]




18. 관련 문서[편집]


[1] 블루가 메인컬러이고, 베이지, 그레이, 골드, 실버는 서브컬러이다.# 서울대학교 측에서 이 5가지 색상에 대하여 2006년도에 특허출원을 해 두었다.#[2] 1946년은 '국립서울대학교설립에관한법령'에 따른 국립서울대학교의 출범 연도이다. 여러 학교를 통합하여 개교한 특수성을 반영하여 2010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는 서울대학교로 통합된 10개 학교들의 연원 중 가장 오래된 법관양성소의 개교년도인 1895년은 '개학(開學)', 통합 출범한 1946년은 '개교(開校)'라는 입장을 택하였다. '10월 15일'이라는 개교기념일의 근거에 관해서는 서울대학교/역사 문서의 개교기념일 문단 참고.[3] 대부분의 국립대학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관이지만 서울대학교는 2011년 법인화 이후 정부와 분리되어 국립대학법인이 운영하는 형태로 전환하였다. 법인화 이후 국립대학이 아니라는 오해가 있지만 2010년 개정된 고등교육법 제3조에서 "학교"를 국가가 설립ㆍ경영하거나 국가가 국립대학 법인으로 설립하는 국립학교, 지방자치단체가 설립ㆍ경영하는 공립학교, 학교법인이 설립ㆍ경영하는 사립학교로 분류하므로, 서울대학교는 여전히 국립대학에 해당한다. 다만, 교육부와 대교협이 운영하는 대학알리미 사이트에서는 국립대법인이라는 별도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으로 서울대학교병원과는 별도의 법인이다.[4] 석사과정 6,699명 + 박사과정 5,704명[5] 전임교원 2,308명 + 비전임교원 3,956명[6] 김영삼 전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7] 서울대학교 학•석사를 나온 허준이 교수 출처[8] 개교 3년 뒤인 1949년에 교육법이 제정되는데 제83조에서 국립/공립/사립의 구별을 학교 명칭에 붙일 수 없게 규정함에 따라 공식명칭이 '국립서울대학교'에서 '서울대학교'로 바뀐다. 교명에 관한 이 규정은 후에 개정되어 국립대학들은 '국립' 명칭을 쓸 수 있게 됐다.[9] 사실 경성대학은 동숭동에 먼저 생긴게 아니었다. 현재 청량리역 맞은편 미주아파트단지가 경성제대 예과의 자리였는데 예과캠퍼스 본관건물은 민간병원에 불하되어 사용되다가 2015년에 안타깝게도 헐리고 말았다. 여기서 예과란 의예과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교양학부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본과(학부)진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10] 이 정장은 사범대학 부설학교들의 교표로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VERITAS LUX MEA가 빠지고 부초, 부중, 여중, 부가 책 모양 위에 표기된다.[11] 당시는 예술대학에 미술부와 음악부가 있었고, 미술부에는 제1회화과(현 동양화과), 제2회화과(현 서양화과), 조각과(현 조소과), 도안과(현 디자인과/공예과)를 두었다.[12] 이 조형물을 처음 만들 때는 문화관 앞의 나무들을 베고 만든다고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조형물이 들어서자 이내 학교 풍경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었다. 마치 처음부터 이 조형물이 이 자리에 있기라도 했던 것처럼.[13] 법학전문대학원 설치로 인해 2018년 폐지[이전] A B 2025년까지 관악캠퍼스로 이전할 예정이다.#[14] 의학전문대학원은 폐지 의학과 치의학의 일반대학원은 따로 존재[15] 농업생명과학대학은 2003년 이전[16] 덕분에 서울대 학생들이 서울대학교 안에서 길을 찾지 못한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가 있다.[17] 탐구영역 같은 경우 2과목 모두 2등급 이내에 들어야 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간주한다. 인문계열의 경우 제2외국어/한문영역을 필수 응시해야 하며, 자연계열은 서로 다른 계열의 과학탐구 영역 Ⅰ+Ⅱ 혹은 Ⅱ+Ⅱ로 선택해야 한다. 2021, 2022학년도 입시의 경우 코로나 특수성에 기인하여 3개영역 이상 3등급 이내로 한시적 완화되었다.[18] 실제로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어'는 1938년에 민족말살정책으로 선택 과목이 되었다가 1943년에 아예 폐지되었다. 해방 뒤 '국어'(일본어) 시간이 한국어 시간으로 바뀌기는 하였지만 식민 통치가 워낙 오랫동안 이어졌다 보니 한국어가 많이 잊혀져서 교과서는커녕 한국어를 정확하게 가르칠 교사도 부족했다.[19] 입대, 육아 등의 휴학 제외[20] 학생정책처 면담 필요[21] 모든 종류의 휴학에 지도교수 면담 필요[22] 반수를 막기 위해 1학년 2학기도 휴학을 금지하는 학교들도 있다. 반수 문서 참고.[23] 그런데 이례적으로 2023년 축제에서 NewJeans가 무대할 때 큰 떼창소리가 났다.[24] 견학 프로그램 진행자 중 한명의 서울대생이 말하길, 서울대입구 역에서 서울대까지가 서울대입구역에서 숭실대입구역까지보다 더 멀다고 한다[25] 147.46.0.0 ~ 147.47.255.255까지. 즉, 147.46.XXX.XXX 내지는 147.47.XXX.XXX.[26] 사실 서울대 안 와이파이는 무지 많은데 그 중 가장 잘 쓰이는 망인 SNU-Member가 이 IP다. 다른 공용 IP는 아직까지 열려 있는 경우도 많다.[27] 사실 제호나 명칭을 보통명사로 퉁치는 명칭부심은 최초, 최고의 위상이 확고한 경우에 종종 드러나기도 한다. 세계 최초의 일간신문 이름은 그냥 "TIMES"이고 세계 최초인 잉글랜드 축구협회 명칭은 그냥 "FA". 이외에도 영국의 학회는 국적을 적지 않는 곳이 많은데, 예를 들어 영국 물리학회는 Physical Society→Institute of Physics이고 화학회는 Chemical Society→Royal Society of Chemistry이다.[28] 의과대학=경성제대 의학부+경성의전, 법과대학=경성제대 법학부+경성법전, 공과대학=경성제대 이공학부+경성고등공업학교+경성광산전문 등이 있었다.[29] 17일 수강신청 기간에도 같은 상황이 반복되었지만, 정보화본부에서는 수강신청날짜 연기 및 취소는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2021년 8월 17일 08:41 기준)[30] 대한항공 제주 노선. 곧 볼 수 없게 될 모습이다.[31] 일본항공전일본공수도쿄 하네다 노선[32] 단, 서울대 소속 전문연구요원은 관리 시스템 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를 요구한다.[33] 선생님이나 부모님 등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엄격한 평가와 완벽함을 기대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말한다. 즉, 외부 기대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뜻이다.[34]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뜻한다.[35] 2005년EBS에서 방영한, 1960년대의 문화사를 다룬 드라마. 김지하, 김승옥, 김중태 주인공 3인방을 비롯한 주요 등장인물 상당수가 서울대 60학번대로, 연건캠퍼스와 그 주변도 배경으로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