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하계 올림픽개인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개인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스케이팅
단체아이스하키 (·)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가 있는 경우만 기재함


1. 개요
2. 역대 대회
3. 역대 메달
4. 주요 선수
4.1. 주요 다관왕
4.2. 주요 한국 선수


1. 개요[편집]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은 국제수영연맹(World Aquatics)[1]에서 개최하는 수영 종목의 세계선수권대회이다. 경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오픈워터 수영, 수구를 모두 포함한다.

경영의 경우, 50m 롱 코스 외에 25m 쇼트 코스 세계선수권이 따로 있으며, 보통 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롱 코스 대회를 얘기하므로 이 문서에서도 롱 코스 대회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쇼트 코스 대회의 경우 따로 '쇼트코스 세계 선수권 대회'라고 일컫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2년마다 열리는 대회지만, 코로나19로 대회 일정이 꼬이게되면서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매년 열리게 되었다.#[2]

2. 역대 대회[편집]


회차연도개최지1위2위3위
11973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베오그라드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동독 국기.svg 동독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1975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칼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동독 국기.svg 동독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31978파일:독일 국기.svg 서베를린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소련 국기.svg 소련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1982파일:에콰도르 국기.svg 과야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동독 국기.svg 동독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51986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드리드파일:동독 국기.svg 동독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61991파일:호주 국기.svg 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7199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81998파일:호주 국기.svg 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92001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오카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02003파일:스페인 국기.svg 바르셀로나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12005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22007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3200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42011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52013파일:스페인 국기.svg 바르셀로나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62015파일:러시아 국기.svg 카잔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72017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820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주광역시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92022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3]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02023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오카[4]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12024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222025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5]
232027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6]

3. 역대 메달[편집]


  • 2023 후쿠오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까지 적용

순위나라
1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93240182715
2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8411694394
3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1011585310
4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1057362240
5파일:동독 국기.svg 동독514427122
6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485269169
7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423331106
8파일:독일 국기.svg 독일[7]416270173
9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32333398
10파일:영국 국기.svg 영국323256120
1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85365146
12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9383491
13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19201756
14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84877143
15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17151850
16파일:소련 국기.svg 소련16282872
17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13373181
18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1371636
19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12182858
20파일:독일 국기.svg 서독871227
21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611926
22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52714
23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48820
24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46818
25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4509
26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43411
27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4239
28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4217
29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3227
30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2349
31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2136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2136
3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125
34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1131529
35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15511
36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528
37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1214
38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1168
39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1146
40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1124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1124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8]112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1124
44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1102
45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1001
46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5712
47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0325
48파일:체코 국기.svg 체코0303
49파일:쿠바 국기.svg 쿠바0112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0112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0112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0112
53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0101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0101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010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0101
57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0033
58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0022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0022
60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11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0011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001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0011


4. 주요 선수[편집]



4.1. 주요 다관왕[편집]


순위선수성별종목출전기간
1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펠프스경영2001 ~ 2011266133
2파일:러시아 국기.svg 스베틀라나 로마시나싱크로2005 ~ 2019210021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티 러데키경영2013 ~ 2023215026
4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이스첸코싱크로2005 ~ 2015192021
5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록티경영2005 ~ 2015185427
6파일:러시아 국기.svg 스베틀라나 콜레스니첸코싱크로2011 ~ 2019160016
7파일:미국 국기.svg 케일럽 드레셀경영2017 ~ 2022152017


4.2. 주요 한국 선수[편집]



  • 최초 결선 진출 : 남자 접영 200m 한규철 (1998)
  • 여성 최초 결선 진출 : 여자 배영 50m 이남은 (2005)
  • 3회 연속 결선 진출 : 여자 개인혼영 200m 김서영 (2017~2022)
  • 4위 기록
    • 남자 자유형 200m 박태환 4위 (2011)
    • 여자 접영 200m 안세현 4위 (2017)
    • 남자 자유형 200m 박태환 4위 (2017)
    • 남자 3m 스프링보드 우하람 4위 (2019)
    • 혼성 3m 스프링보드 이재경, 김수지 4위 (202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23:57:46에 나무위키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 12월, FINA(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에서 World Aquatics로 변경되었다.[2] 심지어 2024 도하 대회는 2월에 개최되어서 2023 후쿠오카 대회가 개최된지 불과 7개월만에 열리게 되었다.[3] 코로나19로 인해 미뤄지다가 2022년 당해에 부다페스트에서 한번 더 개최하는 것으로 결정[4] 원래 2021년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년 연기[5]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개최지 변경[6] 2022년 대회후 5년 만에 개최[7] 통일 이후[8]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신 유고 연방) 시절 포함. 1992~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