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SG 랜더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SSG 랜더스/2024년 문서
SSG 랜더스/2024년번 문단을
SSG 랜더스/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ce0e2d> 일반 문서 ||
||<bgcolor=#000000><width=20%> 핵심 인물 ||<width=80%>구단주 정용진대표이사 민경삼단장 김재현감독 이숭용2군 감독 손시헌주장 추신수 ||
||<bgcolor=#000000> 구단 세부정보 ||SK 와이번스(2000~2021) | SSG 랜더스(2021~) ||
||<bgcolor=#000000> 경기장 ||1군 인천 SSG 랜더스필드2군 강화 SSG 퓨처스필드
이전 경기장: 숭의야구장 | SK 드림파크 | 송도LNG야구장
건설 예정 경기장: 청라 돔 야구장(가칭) ||
||<bgcolor=#000000> 주요 문서 ||신세계그룹역사선수단등번호유니폼응원가2군사건·사고관련 기록/SK관련 기록/SSG | 가을슼흥참동스타 플레이어쓱나쌩 · 쓱상바 클럽벌떼야구불타는 그라운드
웨시퍼서태훈응원단최신맥주쓱튜브SSG 랜더스 갤러리 ||
||<bgcolor=#000000> 라이벌전 ||경인 시리즈 | 항구 시리즈 | 수인선 시리즈 ||
||<bgcolor=#000000>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2007년2008년2010년2018년2022년 ||
||<bgcolor=#000000> 2024 시즌 ||2024년스토브리그시범경기3~4월5월6월7월8월9월 ||
||<-2><bgcolor=#ce0e2d> 틀 문서 ||
||<-2> 역대 시즌단장감독주장응원단장장내 아나운서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2><bgcolor=#fafafa,#191919> 파일:SSG 랜더스 워드마크.svg
NO LIMITS, AMAZING LANDERS
세상에 없던 프로야구단의 시작! SSG 랜더스 ||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SSG Landers
창단2000년 3월 31일(24주년)[1]
2021년 3월 5일(3주년)[2]
법인 설립2000년 3월 22일(24주년)
법인명 변경2021년 3월 12일(3주년)
법인명㈜신세계야구단
상장 유무비상장 기업
기업 규모대기업
구단 사무실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618 (문학동)
구단명 변천SK 와이번스 (2000.3.31~2021.3.4)
SSG 랜더스 (2021.3.5~)[3]
모기업이마트
연고지 변천인천광역시[4] (2000~)
구단주정용진
대표이사민경삼
단장김성용
감독공석
주장37 오태곤
영구 결번26 박경완
홈구장 변천숭의야구장 (2000~2002)
인천 SSG 랜더스필드 (2002~2027)
청라 돔 야구장 (2028~)
2군 구장 변천숭의야구장 (2000, 2007~2008)
SK 드림파크 (2001~2006)
송도LNG야구장 (2009~2014)
강화 SSG 퓨처스필드 (2015~)
키트 스폰서다이나핏
링크파일:SSG 랜더스 심볼.svg[[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파일:SSG 랜더스 심볼.svg스토어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 파일:레딧 아이콘.svg
공식
애플리케이션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최종 우승 (5회)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1.svg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2.svg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3.svg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4.svg
2007년2008년2010년2018년
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
2022년
페넌트 레이스 우승 (4회)
2007년, 2008년, 2010년, 2022년
한대 클럽 챔피언십2010년
포스트 시즌 진출 (14회)
한국시리즈2003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8년, 2022년
플레이오프2003년, 2009년, 2011년, 2012년, 2018년, 2019년
준플레이오프2003년, 2005년, 2011년, 2023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2015년, 2017년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0.659
2008년 126경기 83승 43패
최저 승률0.338
2000년 133경기 44승 3무 86패
최다 승88승
2019년 144경기 88승 1무 55패
2022년 144경기 88승 4무 52패
최다 패92패
2020년 144경기 51승 1무 92패
최다 관중1,069,929명
2012년[1]
최소 관중84,563명
2020년[2][코로나19]
최고 계약4년 151억 원
2022년 김광현

[1] KBO 포스트시즌을 제외한 정규 시즌 기준. 경기당 평균 16,211명[2] 포스트시즌을 제외한 정규 시즌 기준. 경기당 평균 1,281명[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관중 제한 시즌은 제외

1. 개요
2. 구단 디자인
2.1. 엠블럼/워드마크/심볼
2.2. 상징색
2.3. 마스코트
3. 홈구장
4. 역사
5. 팬
5.1. 네임드 팬
5.1.1. 인천 출신
5.1.2. 비인천 출신
6. 응원
7. 라이벌전
8. 역대 선수 및 인물
8.1. 영구 결번
8.3. 역대 구단주
8.4. 역대 사장
8.5. 역대 단장
8.6. 역대 감독
8.7. 역대 주장
8.8.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
9. 역대 기록
9.1. 팀 성적
9.2. 개인 성적
9.2.1. 통산
9.2.2. 단일 시즌
10. 은퇴식
11. 역대 캐치프레이즈
11.1. 정규 시즌
11.2. 포스트시즌
12. 역대 우승 지면광고
13. 지역연고 학교
14. 논란 및 사건 사고
15. 이야깃거리
1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세계그룹의 계열사인 이마트가 운영하는 KBO 리그 프로 야구단. 연고지는 인천광역시. 팀명이 된 'SSG'는 신세계그룹의 온라인 쇼핑몰 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SSG.COM에서 따왔다. 인천을 연고로 하는 프로 야구단으로는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 SK 와이번스의 뒤를 잇는 6번째 구단이다.[5]


2. 구단 디자인[편집]



2.1. 엠블럼/워드마크/심볼[편집]


2021년 3월 12일, 팀 컬러와 메인 엠블럼, 워드마크, 심볼이 각각 공개되었다.#

SSG 랜더스의 상징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파일:SSG 랜더스 서브 엠블럼.png파일:SSG 랜더스 워드마크.svg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메인 엠블럼서브 엠블럼워드마크심볼


팬들의 반응은 엇갈리는 편이다. 특히 디자인에 대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 부정적인 측에서는 가시성의 측면에서 메인 엠블럼의 윤곽이 애매하고 색조합 역시 난잡하여 눈에 잘 띄지 않으며 계속 보고 있으면 눈이 아프다고 비판한다. 또한 UFO 디자인에 대해서도 빔을 쏘는 형상보단 버섯, 오징어 혹은 꼴뚜기가 연상된다고 지적했다. 그래도 귀엽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랜더스라는 팀명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팬들이 생각했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엠블럼이며, UFO는 인천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2007~08년 우승 엠블럼이 우승을 향한 상륙작전을 성공한 배였고 인천국제공항도 있기 때문에 지역적 특색을 전혀 살리지 못했다는 반응이 많다[10].

몇몇 팬들은 공개된 구단 상징물에 실망해 대안적 엠블럼들을 만들기도 했다.# # # # 발표된 로고에서 UFO를 비행기, 선박으로 바꿔서 인천의 특색을 강조한 팬들의 디자인도 등장했다. 동아일보 관련 기사 스포츠 디자인을 하는 유튜브 채널에서 제시한 로고, 유니폼

무엇보다도 심각한 문제는 엠블럼과 심볼의 색이 제각각이었다는 점이었다. 발표당시 심볼의 빨간색은 짙은 색감을 띈 반면, 엠블럼과 워드마크는 밝은 색감이었다. 결국 이날 밤 중에 아무런 공지 없이 구단 공식 페이스북에 색감을 조정해 심볼을 새로 업로드했다. 유출본도 아닌 공식 보도자료로 배포한 구단 상징물의 색감각이 제각각이었다는 점은 SSG 경영진의 미숙함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그동안 신세계그룹의 행보를 봐왔던 사람들 중에는 엠블럼을 보자마자 스타필드의 초창기 우주선 광고영상을 떠올리고, 정용진 부회장이 이 점을 염두에 두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스타필드는 광고에서만 우주선이 나왔지만 랜더스는 구단 자체를 착륙하는 우주선으로 만들어버렸는데, 구단 역사와 팀컬러까지는 승계했으나 팀명과 브랜드 자체는 신세계화[11]해서 야구계에서도 신세계의 영향력을 넓히려는 의도로 분석되며, 팬들의 반발이 크지만 그대로 밀고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두고 인천을 미지의 개척지로 보는 신세계 그룹의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2]

정세영 기자의 유튜브 채널인 "뭐니볼TV"에서도 정용진 부회장이 야구단 인수 과정에서 유독 우주를 많이 이야기했다고 하며, 스타워즈 시리즈의 광팬인데다 스타필드 작명을 스스로 했던 걸 언급하면서 우주에 대한 관심으로 UFO가 엠블럼으로 정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심볼 문자배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일반적으로 패배(Lose)를 표기할 때 L을 약어로 사용하는데, 여기에 's를 붙여 놓으니 연패(Losing Streak), 패배자들(Losers)이란 단어를 연상시켜 버렸다. 가뜩이나 전시즌을 9위로 마감한 팀인데, 모자에 루저들이라고 써놓고 야구를 하는 꼴이 연출되게 생겼다는 의견이다. 전신인 "와이번스"의 어두를 땄다면 우승(Win)이 연상되는 W가 나온다는 점에서 보면 이 부분은 브랜딩의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다.

또한 워드마크의 경우 산세리프 형태의 서체을 활용한 반면 심볼에서는 세리프 형태의 폰트를 사용해 완전히 다른 이미지를 주는데, 이유는 불명이다. 이 때문에 심볼 만들기 귀찮아서 삼성의 심볼을 뒤집고 대비색을 썼냐는 평도 있다.[13] 다만 보편적인 디자인 업무에서 워드마크는 일반적인 인쇄물에 사용하고 심볼 형태의 디자인물은 휘장이나 정장과 같은 형태의 디자인물에서 사용하기 위해 추가로 디자인하는 경우는 있다.

SSG 랜더스의 역대 엠블럼 변천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0~2005).svg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svg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2000년~2005년2006년~2019년2020년2021년~

SSG 랜더스의 역대 심볼 변천
파일:SK 와이번스 심볼(2000~2005).svg파일:SK 와이번스 심볼(2006~2019).svg파일:skwyverns_top_emblem.png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2000년~2005년2006년~2019년2020년2021년~

2.2. 상징색[편집]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SSG 랜더스의 색상 일람
상징색PantoneCMYK
Charismatic RedPantone 186 C C24 M100 Y86 K0
UFO PinkPantone 812 C C13 M82 Y27 K0
UFO YellowPantone 7945 C C1 M37 Y86 K0
UFO BrownPantone 139 C C39 M64 Y100 K1


2.3. 마스코트[편집]


||
[ 펼치기 · 접기 ]

#050403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ce0e2d> || ||<bgcolor=#1e3466> {{{#FFFFFF 초대}}} ||<bgcolor=#ff0000> {{{#ffffff 2대}}} ||<bgcolor=#ff0000> {{{#ffffff 3대}}} ||<bgcolor=#ff0000> {{{#ffffff 4대}}} ||<bgcolor=#ce0e2d> {{{#ffffff 5대}}} || ||<bgcolor=#ffffff> [[SK 와이번스#s-2.3|비룡이]][br]{{{-2 (2000~2006)}}} ||<bgcolor=#ffffff> 와우, 윙키[br]{{{-2 (2007~2015)}}}[br]팬토[br]{{{-2 (2007~2008)}}} ||<bgcolor=#ffffff> 윙고[br]{{{-2 (2012~2015)}}} ||<bgcolor=#ffffff> 아테나, 와울[br]{{{-2 (2016~2020)}}} ||<bgcolor=#ffffff> [[SSG 랜더스#s-2.3|랜디]][br]{{{-2 (2021~ )}}} ||



SSG 랜더스의 마스코트
파일:SSG 랜더스 마스코트 랜디.svg파일:c3f24508-ef01-4c7e-b768-de00a21201e3.jpg
공식 일러스트No.559 랜디
2021년 3월 30일 창단식에서 공개된 마스코트. 카네 코르소종의 랜디라는 이름을 가진 진회색 다.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역사상 팀 마스코트로 개를 내세운 것은 SSG 랜더스가 최초다.[14] 설정상 야구 천재이며 이름은 랜더스의 발음과 의미가 연계되어 있다. 사람들에게 용기와 사랑, 위로를 주는 가장 친근한 동물인 개를 모티브로 개발했다고 한다. 용맹함과 충성심으로 가족과 친구를 강인하게 지켜내는 개, 카네 코르소를 활용해 랜더스의 새로운 도전과 승리의 과정에 힘을 더해줄 상징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고 한다. 야구 유니폼 버전 이외에도 인천 상륙작전을 의식한 듯한 장교 유니폼도 있다.

공개 후 SSG가 Sap Sal Gae의 약칭이었냐는 반응이 있었다.# 동시에 아스날 FC의 팬들이 묘한 친밀감을 느끼고 있다.#[15] 마스코트가 개로 결정된 배경에는 애견가로 알려진 정용진 구단주의 취향이 반영된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16] 또한 우주에 간 동물 중 하나가 개인 만큼 의미가 괜찮다는 반응도 있다.

일러스트에는 호평이 이어졌지만, 인형탈은 눈이 양옆으로 몰려서 영 이상한 터라 벌써부터 밈이 되는 등 호불호가 로고 공개 때만큼이나 심한 편이다. 또한 상당한 근육질 몸매인데 이 역시 헬스 좋아하기로 유명한 정용진의 입김이 들어간 것으로 보이지만 카네 코르소의 특성 역시 근육질이기 때문에 꼭 정용진의 의중만 반영된 것은 아니다. 창단식 이후 다시금 클럽하우스에 등장한 정용진 구단주가 밝히길 인형탈은 제작 시간이 촉박했기 때문에 모델링이 어설펐다며 눈을 비롯해 이상하다고 지적받은 부분은 추후 수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눈을 비롯해 지적된 부분들이 수정되며 이전보다는 낫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다.

창단식 리허설 도중 마스코트의 이미지와 인형탈이 유출되는 일이 있었다.#

마스코트인 랜디가 발표된 이후 한화 이글스와 엮여서 복날 시리즈도 탄생해버렸다.[17]

마스코트가 공식 공개되기 전 팬들이 추측한 캐릭터들이 여럿 있었는데, 엠블럼에 UFO가 들어있는 점에서 외계인 형상으로 추측한 팬들도 있었고, 다른 추측으로는 모기업인 이마트의 전문점 중 하나인 일렉트로마트의 캐릭터이기도 한 일렉트로맨이나 이마트에서 판매하는 에코백에 그려진 해달 캐릭터 '투모(TUMO)'도 있었다.(해당 캐릭터) 일렉트로맨의 경우엔 실제로 팀명을 정하기 전에 후보로 있었으며, 신세계 측에서도 해당 단어에 대해 상표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미리 상표권을 출원하기도 했다. # 2021년 4월 4일, 일렉트로맨은 홈경기 전광판 홈런 시그널로 사용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본격적인 시즌에 들어가자 실제 인형탈 마스코트의 기상천외한 행동이 큰 관심을 이끌어냈다. 응원 중 헬창이라 손이 안 올라간다든가[18] 특유의 나풀나풀 걸음걸이 등으로 나름 컬트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중. 심지어 로이더 아니냐는 드립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19] 2022시즌에는 한 술 더 떠서 상하체를 분리시켜 춤을 추는 기묘한 행동으로 야구팬들을 식겁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올스타전에서 2년 연속 무수히 많은 레전드 움짤을 생성하며 SSG 팬들에게 "어디 내놔도 부끄러운 우리집 개(...)"라는 우스갯소리 평가가 나오게 만들었을 정도... 랜디의 이같은 모습이 경기장 안팎은 물론 인터넷 공간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끌며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2021년 6월 11일부로 랜디의 등번호가 공개되었다. 등번호는 팀명 SSG와 모양이 비슷한 559번으로 결정이 되었다.[20]

랜디를 그린 사람은 일러스트레이터 일싸라고 본인의 인스타에서 밝혔으며, 본인이 SSG 팬이기도 한 이말년이 랜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모두의 마블과의 콜라보로 랜디 캐릭터를 한정 배포했다.


2.4. 유니폼[편집]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SSG 랜더스 유니폼
(2023 시즌)
그린어웨이인천
파일:SSG 랜더스 2023 어센틱 홈 유니폼.jpg파일:SSG 2023 주말 홈 유니폼.jpg파일:랜더스 23 어웨이.jpg파일:랜더스 23 인천군.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SG 랜더스/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홈구장[편집]



한편 SSG 랜더스 창단 이후 신세계그룹이 청라국제도시에 조성중인 스타필드 청라돔구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후 2022년 지방선거에서 유정복 인천시장 후보와 서구청장 등이 청라돔구장의 조기 착공에 대한 공약을 내걸어 빠른 추진에 힘을 받게 되었고, 2022년 6월 29일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이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청라 돔 야구장 신설이 확정되었다고 발표했다. 자세한 내용은 청라 돔 야구장 문서 참조.


3.1. 1군: 인천 SSG 랜더스필드[편집]


파일:2023-event-230401-1124_20230402_011447.jpg
SSG 랜더스
인천 SSG 랜더스필드
(Incheon SSG Landers Field)
개장2002년 2월 25일
첫 경기2002년 4월 9일
한화 이글스 vs SK 와이번스
소재지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618 (문학동)
홈구단SSG 랜더스 (2002~)
구장명문학야구장 (2002년~2015년)
인천SK행복드림구장 (2015년~2020년)
인천 SSG 랜더스필드 (2021년~)
규격좌우펜스 95m
좌우중간 115m
중앙펜스 120m
펜스높이 2.8m
주차규모 4002대
잔디전체 천연잔디(2002년~2011년, 2014년~2018년)[24]
부분 인조잔디(2012년~2014년, 2019년~)[25]
좌석규모23,000석
더그아웃1루(홈) / 3루(원정)
건설사성지건설, 한진중공업

파일:518531_424343_555.jpg
인천 SSG 랜더스필드의 전광판(빅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인천 SSG 랜더스필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2군: 강화 SSG 퓨처스필드[편집]


파일:external/img.sbs.co.kr/30000258034_700.jpg
SSG 랜더스
강화 SSG 퓨처스필드
(Ganghwa SSG Futures Field)
기공2013년 4월 8일
개장2015년 4월 1일
소재지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길상로 242-30
홈구단SSG 랜더스 2군
면적115,386㎡
크기좌우 110m, 중앙 120m[26]
건설비용450억원[27]

파일:강화SSG퓨처스필드.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강화 SSG 퓨처스필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SG 랜더스/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팬[편집]


대표적인 팬 베이스는 역시 연고지인 인천광역시 일대[28]이며, 인천 주변의 부천시, 시흥시[29], 안산시[30], 광명시[31]경기도 서부에 SSG 팬이 밀집되어 있다. 그 밖에도 인천광역시에서 접근이 매우 용이한 서울특별시에도 팬층이 의외로 두텁다. 경인선 라인의 구로구, 영등포구, 금천구만 아니라 [32] 서울 SK 나이츠의 영향으로 송파구, 강동구, 성남시에도 작게나마 팬층이 존재한다.

특이하게 전라북도 일부 지역 일대 연고를 가진 사람들 중 팬층이 존재하는데 과거 해체된 전주 연고의 쌍방울 레이더스 선수단을 승계하였기 때문이다.[33]

최근 들어 부천은 지역 라이벌인 키움 히어로즈과의 팬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부천은 프로야구 초창기부터 수도권 전철 1호선 덕분에 인천으로 가는 교통이 편리했기 때문에[34] 삼청태현 시절부터 인천 연고 구단 팬층이 두터운 곳이었는데,[35] 2013년을 기해 SK의 전성기가 끝나고 넥센 히어로즈가 강팀이 된데 이어, 2016년 더 가까운 곳에 고척 스카이돔이 들어서면서 키움 히어로즈 팬의 비율이 과거에 비해 꽤 높아졌다.[36] 향후 SSG가 부천에서 멀리 떨어진 청라 돔 야구장으로 홈구장을 옮기게 되면 부천 쪽 팬덤이 더 떨어져 나갈 수도 있다.[37]

낮은 TV 시청률이나 상대적으로 적은 온라인 중계 시청자 수 때문에 비인기구단으로 묶이지만 그래도 나름 안정적인 팬 베이스를 구축한 팀이다. SK 왕조로 불리던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성적과 마케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면서 한동안 야구에 대한 관심을 접었던 지역 팬심을 다시 찾을 수 있었고, 때마침 야구 열기가 높아지면서 신규 야구팬들도 많이 끌어들이게 되었다. 시즌 홈 100만 관중도 2012년과 2018년에 두 번이나 달성했고, 역대 최초로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차지한 2022년에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홈 관중 동원 1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SSG 랜더스라는 이름으로 사상 첫 홈 100만 관중 돌파까지 하면서 인기구단으로의 성장에 첫 시작을 알렸다.

SK 시절과 다른 잠재적 팬층은 바로 신세계백화점이마트 등 신세계그룹 유통망의 임직원 및 고객층이다. 신세계백화점은 서울에만 해도 소곡동의 명동본점을 포함해서 대한민국 최고 매출을 자랑하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연결된 신세계센트럴시티가 포함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그리고 구로와 서울역의 지하철 1호선 라인인 영등포점의 경우 이 영향으로 인해 팬이 된다. 신세계계열사 직원 또한 그룹 내 이벤트로 소식을 공유한다. 이마트는 대한민국 대형할인마트 시장의 절대강자로 자리매김해 있고, 이마트에 근무하는 임직원들과 이마트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들이 전국 곳곳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랜더스 팬으로 유치할 수 있다. 수도 서울에는 26개의 매장이 있고 야구 연고인 구도 인천에는 이마트가 4개 지점이 있다. 랜더스필드 인근의 연수점을 포함해서 계양점과 검단점 그리고 동인천점이 있다. 경기권 또한 수원과 용인에도 신세계백화점 경기점와 이마트 죽전점이 있으면서 팬덤 유지를 하고 있다. 이마트의 경우 본점이었던 수도 서울의 이마트 성수점과 연고인 구도 인천에 SSG 랜더스 필드에서 가까운 이마트 연수점의 고객들은 바로 팬덤이 된다.

비수도권에도 유통라이벌인 롯데 자이언츠와는 부울경에서도 치열한 경쟁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이미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은 롯데백화점 해운대점을 꽤 앞질렀고 롯데그룹의 부울경 상징과 다름없는 서면에 있는 롯데백화점 부산본점보다 훨씬 우위에 있다. 부산 연고의 이마트 또한 랜더스 야구의 연고인 인천에는 4개가 있으나 부산은 1개 더 많은 5개 지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부산 사직야구장과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멀지 않은 연산동 이마트 연제점과 모기업 숙박시설로 그랜드 조선 부산 인근인 이마트 해운대점이다. 이들은 부산에 있는 롯데마트보다 매출을 더 올리고 있다. 추가로 NC 다이노스 야구 연고지인 창원만 해도 구 창원은 구 마산보다 매출을 더 올리고 있다. 구 마산에는 이마트 마산점이 있지만 접근성이 좋지 못하고 창원NC파크 옆의 롯데마트 마산점으로 인해 고전하고 있으나 창원시 경제를 먹여살리는 구 창원에 있는 창원시청 인근의 이마트 창원점만 해도 NC 다이노스 새 홈 야구장인 창원NC파크 인근의 롯데마트 마산점보다 월등히 뛰어난 매출액을 올리면서 부산과 경남에도 팬덤 유치를 하고 있다.

범삼성가삼성 라이온즈의 연고지인 대구의 경우 롯데는 상대가 되지 않는다. 동대구역에 있는 신세계백화점 대구점과 인근의 이마트 만촌점의 등장과 함께 대구경북은 이미 신세계로 물들이고 있다. 롯데의 경우 대구에서는 매출은 거의 최악이라 보면 된다. 한화 갤러리아가 터전을 잡은 충청에도 광역시인 대전은 신세계백화점 대전 아트 & 사이언스점의 개점과 이마트 둔산점이 있으며 천안아산에도 신세계백화점 천안점과 이마트 천안점과 함께 잠재적인 팬덤을 보유하고 있다.

5.1. 네임드 팬[편집]



5.1.1. 인천 출신[편집]







2016년 문학구장에 초청돼 시구와 특별 공연을 했다. 여러모로 덕력도 비범하고 성공한 덕후도 되었고, 아마 최근 시점에서 제일 잘 알려진 SSG 팬이 아닐까 싶다. 2018년 KBO리그 홈 개막 2연전 마지막 날인 3월 25일 리듬파워가 만들어 공식적으로 쓰이는 응원가를 직접 선보였으며, 세 멤버가 시구를 동시에 하는 코믹한 상황도 연출했다. 1회초가 끝났을 때 SK 응원단상에서 공연도 했다.






















5.1.2. 비인천 출신[편집]

























6. 응원[편집]



6.1. 응원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SG 랜더스/치어리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응원단장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e3466><rowcolor=#ffffff> 초대 ||<bgcolor=#1e3466> 2대 ||<bgcolor=#1e3466> 3대 ||<bgcolor=#ff0000> 4대 ||
||<width=25%> 최기연
(2000) || 박상돈
(2001) ||<width=25%> 김용문
(2002~2005)
||<width=25%> 원명호
(2006~2007)
||
||<bgcolor=#ff0000><rowcolor=#ffffff> 5대 ||<bgcolor=#ff0000> 6대 ||<bgcolor=#ff0000>
7대
||<bgcolor=#ce0e2d> 8대 ||
|| 홍창화
(2008)
|| 박홍구
(2009~2013)
|| 정영석
(2014~2021)
||<bgcolor=#e0ffdb,#073300> 박민수
(2022~ )
||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장내 아나운서
||
[ 펼치기 · 접기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ce0e2d> ||
||<-4> 장내 아나운서 ||
||
초대
||<#ff0000> 2대 ||<#ff0000> 3대 ||
4대
||
||<width=25> 박종민
(2002~2009) ||<width=25%> 전성현
(2010~2012) ||<width=25%> 김우중
(2013~2018) ||<width=25%><bgcolor=#e0ffdb,#073300> 곽수산
(2019~) ||
||<-4><bgcolor=#ce0e2d> ||
||<-4> 탑 아나운서 ||
||<-4>
1대
||
||<-4><bgcolor=#e0ffdb,#073300> 김지훈
(2000~) ||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023 시즌 응원단
||
[ 펼치기 · 접기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ce0e2d> ||
|| 응원단장 ||<-2> 장내 아나운서 ||
||<width=50%> 박민수 ||<width=25%> 곽수산(장내) ||<width=25%> 김지훈(탑) ||
||<-3><bgcolor=#ce0e2d> ||
||<-3> 치어리더 ||
||<-3> 목나경김도아 도정은 배수현 유보영 이리안 이엄지 이주희 ||




2023 시즌 SSG 랜더스 응원단
응원단장박민수
아나운서곽수산(장내), 김지훈(탑)
치어리더김도아, 목나경, 도정은, 배수현
유보영, 이리안, 이엄지, 이주희

응원단장은 2022 시즌부터 정영석이 물러나고 박민수가 신임 응원단장으로 선임 되었으며, 장내 아나운서는 2013 시즌부터 2018 시즌까지 김우중이 맡았다가 2019 시즌부터 곽수산이 맡게 되었다. 탑 아나운서는 SK의 창단 때부터 김지훈이 22년째 맡고 있으며, 네임드 치어리더로는 2023년 현재 20년 넘게 활동 중인 배수현 치어리더가 있다.

KBO 구단 중 역대 최초로 최강 또는 무적이라는 구호 대신 연고지를 내세운 구호응원을 한 응원단이다. SK 창단 때부터 "인천 SK"라는 구호를 사용했으며 이는 SSG로 넘어와서도 "인천 SSG"로 유지되고 있다. 여담으로 국내 프로야구단 중 최초로 남자 응원단을 구성했던 적이 있는데 2018년에 선보인 보이그룹 "레드 몬스터"다. 6명의 멤버로 구성되었고 금요일을 포함한 SK의 모든 주말 경기에 투입됐으나 다만 남성팬은 물론 여성팬들에게도 별다른 호응과 반응을 끌어내지 못해 1년만에 사라지게 됐다.[44]


6.2. 응원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SG 랜더스/응원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쓱튜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SG랜더스(유튜브 채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라이벌전[편집]


두산 베어스와 라이벌로 여겨진다. 통산 성적은 열세에 있지만, 2007년과 2008년에는 한국시리즈, 2009년에는 플레이오프에서 3연속으로 맞붙어 치열한 승부를 펼친 끝에 모두 승리했고, 2018년에는 14.5 게임차를 극복하고 한국시리즈에서 두산을 꺾어 업셋 우승을 가져왔으며, 2019년에는 반대로 정규시즌이 35게임 남은 상황에서 두산에게 9게임차를 뒤집히며 정규 시즌 우승을 내 주고 한국시리즈 직행에 실패하는KBO 포스트시즌 역사에 이름을 남길만한 대결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 아래 언급된 두 가지 라이벌전도 치열한 편이다.


7.1. 경인 시리즈[편집]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1 {{{#ffffff 'SSG Landers'}}} }}}
두산 베어스
{{{+1 {{{#ffffff 'DOOSAN Bear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경인 시리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항구 시리즈[편집]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SSG 랜더스
{{{+1 {{{#ffffff 'SSG Landers'}}} }}}
롯데 자이언츠
{{{+1 {{{#ffffff 'LOTTE Giants'}}}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항구 시리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수인선 시리즈[편집]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파일:kt wiz 엠블럼.svg
SSG 랜더스
{{{+1 {{{#ffffff 'SSG Landers'}}} }}}
KT 위즈
{{{+1 {{{#ffffff 'kt wiz'}}}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수인선 시리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역대 선수 및 인물[편집]



8.1. 영구 결번[편집]


파일:KBO 40주년 특집 박경완 일러스트.jp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파일:SSG 랜더스 국문 텍스트 로고.svg
영구 결번
||
[ 펼치기 · 접기 ]

파일:ssg_pkw26_white.png
박경완
(2014.04.05.)
선수명 하단 일자: 은퇴식 및 영구 결번식 진행일




파일:2014040523100141190_5-vert.jpg

현재 SSG의 영구 결번으로는 2003년부터 SK에서 뛰었던 박경완의 등번호 26번이 유일한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인천 SSG 랜더스필드 빅보드 하단에 야구공 모양의 영구 결번 기념 조형물이 있다.[45][46]

현 시점에서 영구 결번 후보로는 2005년 SK에서 데뷔해 현재까지 원 클럽 플레이어로 뛰고 있는 내야수 최정, 그리고 2007년 SK에서 데뷔해 2020년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로 진출한 뒤 2021년까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활약한 후 다시 SSG 랜더스로 복귀한 투수 김광현이 있다. 두 선수 모두 소속팀인 SSG를 5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각각 SSG의 프랜차이즈 타자와 투수를 대표하는 선수다.

그 외 선수로는 성실함의 대명사 외야수 김강민이 2022 한국시리즈에서의 활약 이후 영구 결번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2022년 한국시리즈에서 엄청난 임팩트[47]를 보여주고 시리즈 MVP[48]로 선정되면서 김강민에게 영결을 줘도 될 것 같다는 여론이 크게 증가했다.


8.1.1. No.26 박경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박경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포도대장
파일:external/www.sksports.net/20100512142856_1.jpg
SSG 랜더스 No.26
박경완
(朴勍完 / Park Kyung-oan)
프로입단1991년 신고선수 (쌍방울 레이더스)
역대 소속팀파일:PKPuIYF.png 쌍방울 레이더스 (1991~1997)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 현대 유니콘스 (1998~2002)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0~2005).svg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SK 와이번스 (2003~2013)
영구 결번식2014년 4월 5일 문학 한화전

역대 기록
경기타수타율출루율장타율OPS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삼진wRC+WAR[49]
2043[50]5946.249.367.458.825148027115314[51]995913751140[52]160512267.63


8.2. 프랜차이즈 플레이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SSG 랜더스/스타 플레이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3. 역대 구단주[편집]


파일:정용진_신세계그룹 부회장(2021).jpg
SSG 랜더스 구단주 No.100
정용진
鄭溶鎭|Chung Yongjin

역대이름재임기간(시즌)그룹 내 직책비고
초대정용진2021~- 신세계그룹 부회장


8.4. 역대 사장[편집]


파일:민경삼.jpg
SSG 랜더스 사장
민경삼
閔庚三|Min Kyeongsam

역대이름재임기간(시즌)그룹/구단 내 이전 직책비고
초대민경삼2021~- 前 SK 와이번스 단장SK 와이번스 고용 승계


8.5. 역대 단장[편집]



파일:김성용.jpg
SSG 랜더스 단장
김성용
金星容 | Kim Seong-yong

역대이름재임기간(시즌)그룹/구단 내 이전 직책비고
초대류선규2021~2022- 前 SK 와이번스 운영 그룹장SK 와이번스 고용 승계
2대김성용2023~前 SSG 랜더스 R&D 센터장


8.6. 역대 감독[편집]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SSG 랜더스 감독
공석
VACANT JOB

SSG 랜더스 역대 감독
역대이름재임 기간(시즌)전적승률비고
초대[55]김원형2021~2023432전 230승 21무 181패0.5602022 KBO 리그 통합우승 V5
역대 최초 와이어 투 와이어 감독
역대 2번째 단일팀 선수-감독 우승[56]



8.7. 역대 주장[편집]



파일:오태곤 2023 프로필.png
SSG 랜더스 No.37
C
오태곤
吳太坤 / Oh Taegon

SSG 랜더스 역대 주장
기간이름포지션시즌 중 임시주장
2021년이재원포수한유섬(7~8월)
2022년한유섬외야수
2023년오태곤(6월)
오태곤외야수시즌 중 기존 주장 한유섬에서 정식 주장으로 변경(23.08.01)


8.8.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편집]


SSG 랜더스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
연도이름상대팀홈 개막전 선발투수[57]
2021년르위키롯데 (문학)-
2022년폰트NC (창원)폰트 (vs KIA)
2023년김광현KIA (문학)-


8.9. 역대 선수단[편집]







파일:SSG 랜더스 등번호.jpg


9. 역대 기록[편집]



9.1. 팀 성적[편집]


우승
­준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SK 와이번스 역대 성적
구단명연도정규시즌 순위포스트 시즌최종 순위경기수승률
SK2000매직 4위/4팀진출 실패8위133443860.338
20017위/8팀진출 실패7위133602710.458
20026위/8팀진출 실패6위133613690.469
20034위/8팀KS에서 3-4로 준우승 (VS 현대)준우승133663640.508
20045위/8팀진출 실패5위133618640.488
20053위/8팀준PO에서 2-3으로 탈락 (VS 한화)3위126706500.583
20066위/8팀진출 실패6위126601650.480
20071위/8팀KS에서 4-2로 우승 (VS 두산)우승126735480.603
20081위/8팀KS에서 4-1로 우승 (VS 두산)우승126830430.659
20092위/8팀KS에서 3-4로 준우승 (VS KIA)준우승133806470.602
20101위/8팀KS에서 4-0으로 우승 (VS 삼성)우승[한대]133842470.632
20113위/8팀KS에서 1-4로 준우승 (VS 삼성)준우승133713590.546
20122위/8팀KS에서 2-4로 준우승 (VS 삼성)준우승133713590.546
20136위/9팀진출 실패6위128623630.496
20145위/9팀진출 실패5위128612650.484
20155위/10팀WC에서 0-1로 탈락 (VS 넥센)5위144692730.486
20166위/10팀진출 실패6위144690750.479
20175위/10팀WC에서 0-1로 탈락 (VS NC)5위144751680.524
20182위/10팀KS에서 4-2로 우승 (VS 두산)우승144781650.545
20192위/10팀PO에서 0-3으로 탈락 (VS 키움)3위144881550.615
20209위/10팀진출 실패9위144511920.357
KBO 통산 21시즌12회 진출V4282114375613280.520
SSG 랜더스 역대 성적
구단명연도정규시즌 순위포스트 시즌최종순위경기수승률
SSG20216위/10팀진출 실패6위1446614640.508
20221위/10팀KS에서 4-2로 우승 (VS 키움)우승144884520.629
20233위/10팀준PO에서 0-3으로 탈락 (VS NC)144763650.539
KBO 통산 3시즌2회 진출V5432230211810.560


9.2. 개인 성적[편집]


팀 역사상 최고의 통산 성적과 단일 시즌 최고의 기록을 정리한 문단이다.


9.2.1. 통산[편집]


SSG 랜더스 역대 개인 성적(통산 기록)
[ 펼치기 · 접기 ]

SSG 랜더스 투수 기록
부문이름기록팀 소속 시즌
등판경기정우람600경기2004~2015
선발등판김광현334경기2007~2019
2022~
완투이승호11완투2000~2011
2016
완봉김광현3완봉2007~2019
2022~
이승호2000~2011
2016
평균자책점[1]김광현3.202007~2019
2022~
승리김광현158승2007~2019
2022~
패전김광현88패2007~2019
2022~
세이브정대현99세이브2001~2011
홀드정우람128홀드2004~2015
이닝김광현2015.1이닝2007~2019
2022~
탈삼진김광현1728개2007~2019
2022~
실점김광현814실점2007~2019
2022~
자책점김광현716자책점2002~2019
2022~
피안타김광현1881개2007~2019
2022~
피홈런김광현164개2007~2019
2022~
볼넷김광현761개2007~2019
2022~
사구박종훈158개2010~

SSG 랜더스 타자 기록
부문이름기록팀 소속 시즌
출장경기최정2164경기2005~
타율[출장]이진영0.3042000~2008
출루율[출장]최정0.3902005~
장타율[출장]최정0.5282005~
타석최정8888타석2005~
타수최정7424타수2005~
안타최정2133안타2005~
2루타최정394개2005~
3루타조동화30개2000~2018
홈런최정458개2005~
타점최정1454타점2005~
득점최정1368득점2005~
도루정근우269도루2005~2013
볼넷최정982볼넷2005~
사구최정328개[2]2005~
삼진최정1658개2005~
병살타이재원160개2006~
[1] 1000이닝 이상[출장] A B C 3000타석 이상[2] 전 세계 통산 역대 1위


9.2.2. 단일 시즌[편집]


SSG 랜더스 역대 개인 성적(단일 시즌)
[ 펼치기 · 접기 ]

SSG 랜더스 투수 기록(단일 시즌)
부문이름기록해당 시즌
등판경기정우람85경기[1]2008
선발등판페르난도 에르난데스34경기2001
완투이승호6완투2001
완봉페르난도 에르난데스2완봉2001
채병용2002
이승호2003
신승현2005
QS김광현24경기2019
평균자책점김광현2.132022
승리케니 레이번17승2007
김광현2010
2019
앙헬 산체스2019
패전리카르도 핀토15패2020
블론세이브정대현7세이브2008
김태훈2021
노경은2023
세이브서진용42세이브2023
홀드박희수34홀드2012
이닝페르난도 에르난데스233⅔이닝2001
탈삼진페르난도 에르난데스215개2001
실점리카르도 핀토121실점2020
자책점리카르도 핀토111자책점2020
피안타메릴 켈리205개2016
피홈런김기덕27개2000
이승호2001
채병용2014
볼넷페르난도 에르난데스134개2001
사구박종훈25개2017

SSG 랜더스 타자 기록(단일 시즌)
부문이름기록해당 시즌
출장경기정의윤144경기2016
김성현2019
최지훈2022
타율정근우0.3502009
출루율김재현0.4452005
장타율최정0.6842017
타석최지훈640타석2022
타수정의윤576타수2016
안타정의윤179안타2016
2루타최정33개2012
박정권2014
한유섬2022
3루타이진영8개2002
노수광2018
최지훈2023
홈런최정46개2017
타점한유섬115타점2018
득점최정106득점2016
도루정근우53도루2009
볼넷추신수103개2021
사구박경완27개2010
삼진한유섬137개2022
병살타이재원22개2015
[1] 04년 LG 트윈스 류택현과 타이.


9.3. 구단 1호 기록[편집]





10. 은퇴식[편집]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역대 은퇴식
[ 펼치기 · 접기 ]
파일:가을사나이.jpg
미스터 옥토버 박정권
2004년 SK 와이번스 입단[1], 2021년 10월 2일 은퇴식[2][3]
파일:2008채병용.jpg
버팀목 채병용
2001년 SK 와이번스 입단, 2021년 10월 3일 은퇴식[4]
파일:로맥 세레모니.jpg
로맥아더 제이미 로맥
2017년 SK 와이번스 입단[5], 2021년 11월 3일 은퇴식[6][7]
파일:SSG 김태훈 21시즌.jpg
불펜대장 김태훈
2009년 SK 와이번스 입단, 2023년 10월 17일 은퇴식
[1] 2000년 신인드래프트 2차 9라운드에서 쌍방울 레이더스에 지명받았고 동국대 진학 후 쌍방울의 지명권을 인수한 SK에 입단했다.[2] 쌍방울 레이더스에 지명받았지만 그해 팀이 해체돼 지명권이 SK로 넘어가면서 프로 경력은 SK에서만 보냈으며, 은퇴식도 SSG에서 치르게 되는 특이한 케이스가 되었다.[3] 처음에는 2021년 8월 28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로 인해 KBO 리그도 무관중 경기가 진행되면서 미루고 미뤄지다 2021년 마지막 주말 홈경기에서 무관중으로 은퇴식을 치르게 되었다.[4] 박정권과는 하루차이로 은퇴식이 진행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로 인해 KBO 리그도 무관중 경기가 진행되면서 무관중 은퇴식으로 진행되었다.[5] 대니 워스의 대체 용병.[6] 역대 외국인 선수 최초 은퇴식이다.[7] 코로나19로 인하여 랜더스필드 외야 치킨 카페에서 27명의 현장 팬들과 온라인 팬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건네는 은퇴 기념 행사를 진행하였고, 그의 헌신을 기억하는 의미로 로맥의 등번호 '27번'은 팀 주축 외국인 타자를 상징하는 번호로 남겨 외국인 선수에게 전달되고 있다.
커리어 내내 SK에서 뛰고 은퇴한 박정권, 채병용은 SSG 인수 이후 은퇴식을 치렀다. 원래는 불펜 에이스로 활약했던 박희수도 21시즌에 은퇴식을 치를 예정이었으나 상무 피닉스 야구단의 코치로 부임하면서 취소가 되었다.[58] 이후 김재현과 함께 선수단끼리만 따로 은퇴 행사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으로 SSG 랜더스의 유니폼을 입고 뛰어본 선수 중 첫 은퇴 행사는 구단 역사상 최고의 외국인 타자인 제이미 로맥이고 첫 공식 은퇴식은 2018년 한국시리즈 우승의 주역 중 한명인 김태훈이다.

11. 역대 캐치프레이즈[편집]



11.1. 정규 시즌[편집]


파일:랜더스캐치프라이즈.jpg
SSG 랜더스 캐치프레이즈
NO LIMITS, AMAZING LANDERS


11.2. 포스트시즌[편집]


파일:SSG 랜더스 2022년 한국시리즈 캐치프레이즈.jpg
SSG 랜더스 2022년 한국시리즈 슬로건
IT'S LANDING TIME

파일:SSG 랜더스 2023 포스트시즌 캐치프레이즈.jpg
SSG 랜더스 2023년 포스트시즌 슬로건
ANOTHER AMAZING LANDING

12. 역대 우승 지면광고[편집]


SSG 랜더스의 역대 우승 지면광고
파일:SK 와이번스 2007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jpg
파일:SK 와이번스 2008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jpg
2007년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2008년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
파일:SK 와이번스 2010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jpg
파일:SK 와이번스 2018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 광고.jpg
2010년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2018년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
파일:SSG 랜더스 2022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png
파일:SSG 랜더스 2022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jpg
2022년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
파일:SSG 랜더스 2022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2.jpg
2022년 한국시리즈 우승 지면광고


13. 지역연고 학교[편집]


인천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구단으로서, 지역 내에 4개의 고등학교 야구부가 있다.

과거 1차지명이 있던 시절에는 경기도 지역의 일부인 성남시 야탑고등학교, 구리시 인창고등학교, 파주시 율곡고등학교, 동두천시 신흥고등학교, 부천시 진영고등학교, 광명시 경기항공고등학교, 화성시 비봉고등학교까지 SSG가 우선 지명권을 가진 적이 있었다.[59]

14.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5. 이야깃거리[편집]






















16. 둘러보기[편집]










[1] 전신인 SK 와이번스의 창단일로 프랜차이즈 개시일.[2] KBO에서 인정한 공식 창단일. 하지만 대체 창단으로 보지 않아 LG 트윈스KIA 타이거즈 예와 같이 전신 구단의 기록은 이어진다.[3] 역시 LG나 KIA 등의 사례처럼 구단명이 변해도 역사를 승계하던 것과 마찬가지로 SK의 역사까지 승계한다.[4] 도시 연고로는 인천광역시, 광역 연고로는 김포시, 부천시, 시흥시, 광명시, 안산시 등 인천과 인접한 수도권 서부 지역을 kt wiz와 함께 맡고 있다. 팬 기반 또한 경기도가 주축인 kt wiz 및 서울 서부가 주축인 키움 히어로즈와 살짝 겹친다. 전신 구단 SK의 모든 권리를 승계했기 때문에 2000년부터 사용한 것으로 기록한다.[5] 다만 앞선 5개 구단의 역사가 하나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삼미-청보-태평양-현대까지의 역사는 별도로 나뉘어져 있으며 SSG는 SK의 역사만 승계한다.[6] 행성이나 우주의 다른 단단한 물질에 착륙하기 위해 고안된 우주 탐사정. 출처[7] 캐나다 국회의사당 소재지라서 지어진 이름이지만 senator의 다른 의미 중 하나인 원로원을 공식 로고로 쓴다.[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Athletics를 축약한 A's 로고를 쓰고 있으며,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구단로고에서도 O's 표기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본프로야구에서는 아포스트로피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과거 오릭스 버팔로즈가 비슷한 형태로 Bs 로고를 2018년 시즌까지 쓴 적이 있다.[9] 정용진 구단주의 인스타그램에 자주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가 스타워즈 시리즈의 대표 등장인물인 다스 베이더다.[10] 이럴 경우, Jets{제츠}란 팀명을 쓸 수도 있지만 이미 북미쪽에 해당 팀명을 사용하는 두 팀이 있어서 희귀성이 없다는 점도 있다.[11] 스타필드 '새로운 쇼핑의 별', SSG 랜더스 '세상에 없는 프로야구단'[12] 2019년 신세계백화점 인천터미널점이 날아가면서 2년 동안 인천에서는 공백상태로 지내왔다. 21년 SSG 랜더스를 시작으로 야구계는 물론 인천에서의 영향력도 다시 넓히려는 행보가 보이는데 2024년 스타필드 청라가 예정되어 있고, 송도에도 최소 백화점에서 최대 스타필드급 복합쇼핑몰이 들어설 부지가 있다.[13] 실제 비교해보면 폰트가 매우 비슷하다.[14] 대한민국 생활 문화 속에서 개라는 동물이 갖고 있는 특유의 어감과 일부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개를 마스코트로 삼는 것을 주저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15] 2000년대 중반 아스날 안티팬층에서 시작된 개스날이란 멸칭이 그대로 이어져 아스날은 한국 커뮤니티에서 개집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곤 한다. 실제로는 랜디와 대응하는 아스날의 진짜 인형탈 마스코트는 공룡인 거너사우루스다.[16] 실제로 스타필드는 매장 내에 자체 애완동물 전문숍인 몰리스펫샵을 두는 등 애완동물의 출입이 가능한 대형 매장이며, 이에 따라 인천 SSG 랜더스필드도 마찬가지로 애완동물의 출입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랜더스필드 내 그린존의 명칭에도 '몰리스 그린존'이라고 명명된 것을 볼 때 애완동물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여담으로 SK 시절에도 그린존에서 '와이번스 도그데이'라는 이벤트를 매년 시행했고 2008년 '볼 도그' 미르의 도입, 강화 퓨처스 파크에서 키우는 풍산개 '강비' 가족을 적극 홍보하는 등 개를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써먹은 전례가 있다.[17] 실제로 SSG로서의 첫 시즌인 2021년부터 초복(7월 11일)에 대놓고 한화 이글스와 경기가 편성되어 있었는데 이날 경기는 SSG가 2:8로 이겼다.[18] 머리 부분의 탈만 쓰고 벗는 다른 구단 마스코트의 인형탈과 달리 랜디 인형탈은 머리와 우락부락한 상체가 통째로 이어져 있다. 이 때문에 양팔이 서로 닿지 않아 박수를 치지 못한다.[19] 생김새가 묘하게 김재환을 닮은 점도 로이더 드립에 한 몫 했다.[20] G를 소문자로 쓰면 g여서 g와 비슷한 9를 쓴 것 같다.[21]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 당시 인천문학경기장 전체가 보안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프로야구 경기가 열릴 수 없었다. 이에 따라 2002년 5~6월 홈경기 중 일부를 숭의야구장에서 치른 적이 있다. 시범경기까지 범위를 넓히면 2004년 3월에 이벤트성 고별 경기를 치른 것이 마지막이다.[22] 인천·경기 지역 연고팀인 SK는 과거 인천 야구팀이었던 현대 유니콘스에 이어서 제2구장으로 수원 야구장을 두게 되었지만, 현대가 SK에 아무런 대가도 지불하지 않고 무단으로 수원 야구장을 사용하게 되면서 2008년까지 사용하지 못했다. 이후 현대가 해체되면서 창단 8년만에 제 2구장을 돌려받게 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지금은 kt wiz가 있으니 더더욱 제2홈구장으로 쓸 이유가 없다.[23] 구 문학야구장, 인천SK행복드림구장.[24] 2015년까지 파울 존 부근 워닝트랙은 인조잔디[25] 홈플레이트 뒤편과 내야 파울지역 전체 한정. 겨울 훈련 시에도 잔디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홈플레이트 뒷편 일부를 인조잔디로 교체했다.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혼용하는 국내 첫 사례. 2014년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인조잔디를 걷어내고 천연잔디를 깔았지만 2018년 시즌 종료 후 내야 그라운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다시 인조잔디를 깔았다.[26] 좌우길이가 95m인 문학보다도 길다.[27] 토지 구입비 250억원+공사비 200억원[28] 다만 수도권의 여타 도시들이 그러하듯 토박이의 수가 적은 특성으로 타구단의 원정팬들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특히 충청도 출신이 많은 편에 속하는데 실제로 문학에서 KIA 팬 다음으로 원정 응원석을 많이 채우는 사람들이 바로 한화 팬들이다. 다만 인천에서 절대적인 지지를 받는 구단인건 확실하다.[29] 수인분당선서해선 개통으로 접근성이 나아졌다.[30] 김광현의 고향이며 시흥시와 마찬가지로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야구장과의 접근이 수월해졌다.[31] 수도권 전철 7호선으로 인천과 연결된다.[32] 다만 이 쪽은 구로구에 홈구장이 있는 키움 히어로즈와 팬덤 기반이 겹친다.[33] 창단 당시 선수들과 코칭스태프들을 쌍방울 출신으로 데리고 왔다. 감독직을 맡았던 적이 있는 김원형 감독 또한 쌍방울에서 선수로 활약했었다.[34] 인천 도원야구장이 1호선 도원역 바로 앞에 있었다.[35] 2012년 10월에 7호선이 인천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되면서 중동, 상동에서의 접근성도 높아졌다.[36] 부천역을 기준으로 고척 스카이돔이 있는 구일역까지는 14분이 걸리고, 인천 SSG 랜더스필드가 있는 문학경기장역까지는 특급을 타도 30분 정도 걸린다. 인천과 가장 가까운 송내역을 기준으로 해도 구일역까지는 18분, 문학경기장역까지는 21분이 소요된다.[37] 다만 7호선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될 예정이고 청라 돔 야구장 앞에도 역이 생기기 때문에 부천지역 SSG 팬들의 교통 편의성은 여전히 괜찮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부천의 중심부인 중동 쪽은 바로 7호선을 탈 수 있고 북쪽 오정구와 남쪽 소사구는 서해선을 통해 7호선을 탈 수 있다.[38] 한국시리즈의 시구자는 KBO에서 직접 선정.[39] 예를 들면 "86 Tiger, No KIA Just 와이번스, 치고 또 달려 이 분위기를 달궈, 잔챙이들 긴장해둬 바짝, 발빠른 근성 내 flow는 언제나 두발짝, 다시 또 들어선 타석 터지는 문학 함성, 홈런보다 더 값진 번트로 흐름을 탔어" 같은 가사[40] 민경삼은 1963년 2월 24일생이며, 민경욱은 1963년 6월 17일생이다.[41] 황교안과 함께 21대 총선 부정선거 음모론을 제기했다.[42]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학익고등학교를 졸업했다.[43] 9회말 2아웃, 고등어, 해피송, 슈퍼맨의 '오늘도 달리고달리고달리고달리고' 부분에서 따온 도루 응원가 등. 의외겠지만, "왼쪽~ 오른쪽~ 워어어~ 투! 혼! S! K!" 이 응원가도 노라조의 '꿀 한 통 설탕 한 스푼' 이란 노래에서 따왔다.[44] 그나마 멤버 중 박윤솔은 레드 몬스터 활동 종료 후 소년24프로듀스 X 101 등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했고 그룹 NIK의 멤버로 아이돌 데뷔에 성공했다.[45] 야간 경기에는 조명이 들어온다.[46] 여담으로 박경완의 영구 결번은 SK 시절로 한정하면 처음이자 마지막 SK의 영구 결번으로 남게되었다.[47] KS 5차전에서 끝내기 홈런으로 경기를 마무리 하는데, 역대 한국시리즈 최초 대타 끝내기 홈런이었다.[48] 역대 한국시리즈 최고령 MVP[49] 스탯티즈 기준[50] 은퇴 당시 통산 4위.[51] 은퇴 당시 통산 8위.[52] 은퇴 당시 통산 3위.[53] SK 와이번스 소속 기간. 전체 커리어 경력은 1991 - 2013[54] 2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일무이한 기록이다.[55] SK-SSG 8대[56] 현역 시절 2007, 2008 통합 우승, 감독 재임기 2022 통합 우승, 역대 최초는 前 두산 베어스 김태형. [57] 시즌 첫 경기가 원정일 때만 기록.[한대] 한대 클럽 챔피언십 우승[58] 애당초 2020시즌 종료 후 구단에서는 은퇴식과 더불어 코치 연수까지 제안했지만 현역 연장 의지가 강했던 박희수가 거절했었다. 이후 팀을 구하지 못하고 은퇴 선언을 하자 팀에서는 구단 내부 규정에 따라 박희수도 은퇴식 대상자였기 때문에 은퇴식을 마련해 줄 예정이었는데 상무 피닉스 야구단의 투수 코치로 부임하게 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시즌 종료 후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로 보직을 옮기면서 더더욱 가능성은 없어졌고 그나마 제약이 적은 선수단 끼리의 행사만 챙기는 것으로 마무리했다.[59] 경기도 지역의 지명권은 수원시 연고 팀인 kt wiz와 분할해서 보유했다. 수원의 두 학교(유신고, 장안고)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들 중 성남 야탑고구리 인창고를 지명 대상 학교로 택했고, 신규 창단 팀들은 적절히 갈라서 1차지명 대상에 넣었다.[60] 1980년대 말은 민주화의 바람을 타고 여러 업종에서 노사분규와 파업이 끊임없이 일어났던 때였고 MBC 역시 이 흐름에 자유로울 수 없었다. MBC는 정권 교체 이후 공영방송사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야구단을 매각했다. 다만, MBC 자체로는 야구단 매각 이후에도 현재까지도 야구 중계에 매우 적극적이며 청룡 시절 많은 경기를 직접 중계한 덕분에 KBO 리그 초창기 영상들을 유산으로 많이 남겨놨다.[61] 태평양화학은 199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인 구조조정을 시작하여 태평양증권 등 비화장품 계열사들을 정리했고 한국시리즈 준우승팀이지만 갑작스럽게 처분 발표를 했다곤 해도 이미 태평양 역시 매각 대상이었다. 다만, 태평양화학으로서는 나름 남는 장사는 했는데, 1987년 청보식품으로부터 구단을 50억에 매입하여 1995년 현대그룹에 470억으로 매각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도 괜찮은 장사였던 셈.[62] 핸드볼의 경우 SK 슈가글라이더즈 운영 및 SK핸드볼경기장 명명권 등으로 한국 핸드볼계를 적극 후원하고 있고, 펜싱의 경우 2012 런던 올림픽의 쾌거에 SK의 지원이 뒷받침이 됐다.[63] 그나마 MBC 청룡태평양 돌핀스1983년1994년 준우승 기록이 있었다.[64] 구단이 중도 해체된 현대 유니콘스를 제외한 원년 5개 구단 중에서 2023년까지 제대로 된 올드 유니폼 데이 이벤트를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던 팀이 LG다. 2010년 6월 구단 통산 누적 홈 관중 2000만명 돌파를 기념해 MBC 청룡 스타일의 유니폼을 만들긴 했으나 모자와 유니폼 상의 색깔만 파란색으로 맞췄을 뿐이었다. 당연하게도 청룡 시절부터 응원하던 올드팬들은 "성의가 없다"며 매우 아쉬워했다.[65] KIA 프런트는 2009년 한국시리즈에서 통산 10번째 우승을 차지하기 이전까지, 특히 KIA 시대 초창기였던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의도적으로 해태의 색채를 지우고자 노력했다. KIA는 '타이거즈'라는 팀명, 광주광역시라는 연고지, 옛 해태 선수단과 프런트만 이어받았을 뿐 '해태와 KIA는 아예 별개의 팀'이라고 규정했다가 팬들로부터 엄청난 질타를 받았다. 인수 당시에는 해태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빨간색 원정 유니폼 채택을 줄기차게 거부하다 2005년에서야 일부 수렴했고 2002년에는 괴물 신인으로 꼽혔던 김진우가 KIA 유니폼을 입자 구단 1호 영구결번이었던 선동열의 등번호 18번을 조용히 결번에서 해제한 뒤 김진우에게 달아주려다 광주 팬들에게 호되게 욕을 먹은 뒤 41번이라는 등번호를 달아주는 등 해태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갖가지 일들을 벌였다.[66] 인천을 배경으로 벌어진 역사적 사건 중 가장 유명한 인천 상륙작전도 연상할 수 있으나 구단 차원에서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다만 신세계그룹의 실질적 오너인 정용진 부회장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야구단 홍보 동영상에서는 구단의 명칭인 랜더스를 소개하는 대목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반격, 인천 상륙작전"이라고 언급하며 이 작전도 구단 명칭의 유래 중 하나라고 소개하고 있고, 실제로 인천 상륙작전 기념일에 밀리터리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치르는 행사를 하기도 했다.[67] 길 건너에 구월동 로데오거리가 있고 바로 옆의 옛 농수산물도매시장도 '구월동 농산물시장'으로 불리다보니 백화점과 터미널도 구월동에 있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백화점과 터미널 부지는 애초부터 미추홀구 관교동에 있었다.[68] 개점 당시 서울 이외 수도권 지역에 처음으로 출점한 신세계백화점. 신세계그룹 차원에서도 지상파 TV를 통해 개점 CF를 내보낼 정도로 상당히 신경을 썼던 매장이었으며 전국 신세계백화점 점포 중 매출 톱5 안에 들어올 정도의 우량매장이었다. 2011년에는 기존 백화점 본관 옆에 신관까지 신축할 정도였다. 참고로 현재도 전국 롯데백화점 점포 중 매출 4위에 랭크될 정도의 우량매장이다.[69] 당초 인천광역시는 신세계그룹에게 부지매입을 먼저 제안했으나 신세계그룹은 가격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 '인천 최대 번화가 입지, 기반을 우리가 다 키워줬는데 설마 다른데 팔겠어?'란 생각으로 수수방관하며 기다렸고, 인천시가 다른 유통업체에게도 매입을 타진하자 이에 롯데쇼핑이 덜컥 부지매입을 결정해 버려 부지는 롯데쇼핑으로 넘어갔다.[70] 신세계그룹 측이 부지 매각 과정의 부당성을 따지기 위해 인천광역시와 롯데를 상대로 법정 소송까지 나섰지만 대법원까지 가는 오랜 공방 끝에 결국 신세계그룹 측이 패소하고 말았다.[71] 여담으로 지하철로 딱 1정거장 거리에 홈구장인 문학구장이 있고 백화점 지하에 이마트가 있어서 야구장에 오는 관중들이 먹거리를 사오기 편했다. 물론 현재도 그 자리에 마트가 있기는 하다. 주인이 바뀌었을 뿐이다.[72] 한순간의 안일한 생각으로 우량 지점을 어이없이 잃게 된 신세계 측은 스타필드 청라와 신세계백화점 송도점을 준비중에 있다. 또 롯데백화점 인천점에서 멀지 않은 구월동 아시아드선수촌아파트 인근의 이마트 소유 부지(지번주소 : 구월동 1549)에도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출점 계획을 세우고 있다.[73] /에스에스지/. 영어의 경우 3음절/ɛs.ɛs.dʒi/로 해당이 없다.[74] 다만, 몇몇 팬은 SSG를 발음하기가 어려워 아예 그룹 명을 차용해 신세계 랜더스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도 몇 명 있다.[75] /에스케이/, 영어는 역시 2음절로 해당이 없다. /ɛs.ke/[76] 그 중에서 특히 이거[77] 무엇보다 현재 이마트 매장에서도 저작권 문제로 인해 이 노래가 안 나오고 있다.[78] 사실 그럴 만도 한 것이, 현대가 인천을 떠나고 SK가 새로 인천에 입성하던 2000년대 초반 지역 팬들로부터 심각한 수준의 냉대를 받았던 기억이 있기에 구단 차원에서 팬 서비스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했다. 2007년에 SK의 감독으로 부임한 김성근은 팬 서비스를 거부하면 벌금을 부과한다는 선수단 내규까지 만들었고 이만수는 수석코치 시절 팬티만 입고 야구장 한바퀴를 뛰었으며 V4를 이끌었던 트레이 힐만은 팬들을 위해 직접 분장까지 했을 정도다.[79] 가장 대표적인 선수가 박종훈이다. 선발투수들은 보통 자신의 선발 등판일에는 출근길에 팬을 만나도 사인을 하지 않는 것이 일종의 불문율이지만 박종훈은 출근길에 만난 팬에게 사인은 물론 사진 촬영까지 흔쾌히 다 해준다. 김상수와 더불어 KBO 리그의 연쇄사인마로 꼽히는 팬 서비스 모범 선수다.[80] 유사한 사례로는 10년 단위 세대별로 한 번 이상 준우승을 차지한 팀도 있다. 전통의 강호 삼성 라이온즈가 여기에 속하는데 달구벌의 저주에 시달렸던 1980년대와 1990년대는 말할 것도 없이 준우승을 많이 했고 2002년 첫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 이후에도 2004년에 준우승을 했다. 2010년대에 와서는 2010년과 2015년에 준우승을 했다. 반대로 롯데 자이언츠의 경우 유일하게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모두 한번 이상씩 최하위를 했다.[81] 제7구단 한화 이글스(1985~), 제8구단 쌍방울 레이더스(1990~1999), 해체된 현대 유니콘스의 공백을 채운 키움 히어로즈(2008~), 제9구단 NC 다이노스(2011~), 제10구단 kt wiz(2013~)[82] 다른 확장 구단은 모두 1회 우승이거나 우승 경험이 아예 없다. 한화, NC, kt가 각각 1회 우승을 했고 키움은 우승 경험이 없으며 쌍방울도 우승 경험 없이 해체됐다.[83] 2010년, 2018년, 2022년 3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