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소공배수

덤프버전 :

정수론
Number Theory


[ 펼치기 · 접기 ]
공리
페아노 공리계 · 정렬 원리 · 수학적 귀납법 · 아르키메데스 성질
산술
나눗셈
약수·배수
배수 · 약수(소인수) · 소인수분해(목록 · 알고리즘) · 공배수 · 공약수 ·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
약수들의 합에 따른 수의 분류
완전수 · 부족수 · 과잉수 · 친화수 · 사교수 · 혼약수 · 반완전수 · 불가촉 수 · 괴짜수
정리
베주 항등식 · 산술의 기본정리 · 나눗셈 정리
기타
유클리드 호제법 · 서로소
디오판토스 방정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피타고라스 세 쌍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모듈러 연산
잉여역수 · 2차 잉여 · 기약잉여계 · 완전잉여계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합동식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윌슨의 정리
소수론
수의 분류
소수 · 합성수 · 메르센 소수 · 쌍둥이 소수(사촌 소수 · 섹시 소수) · 페르마 소수 · 레퓨닛 수
분야
대수적 정수론(대수적 정수론/심화) · 해석적 정수론
산술함수
뫼비우스 함수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소수생성다항식
정리
그린 타오 정리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디리클레 정리 · 소피 제르맹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골드바흐 추측(미해결)(천의 정리) · 폴리냑 추측(미해결) · 소수 정리
기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윌런스의 공식





1. 개요
2. 찾는 법
3. 성질
4. 증명
5. n 이하의 모든 자연수의 최소공배수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least common multiple, LCM

초등학교 5학년 때 약수(divisor or factor)와 배수(multiple)를 배운 뒤에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or greatest common factor) 와 함께 배우게 되는 내용. 공배수(common multiple)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수, 혹은 그 이상의 수들의 공통인 배수라는 뜻이다.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는 당연히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것. 두 수 [math(a,b)]의 최소공배수를 기호로 [math(\text{lcm}\left(a,b\right))] 혹은 [math(\text{LCM}\left(a,b\right))]로 표기하며,[1] 더욱 줄이면 [math(\left[a,\,b\right])]로 표기하기도 한다.[2]

간혹 최공배수로 잘못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최대공배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공배수는 한없이 커지므로, 가장 큰 숫자를 정의할 수 없기 때문. 마찬가지로 최공약수 또한 어떤 수 집합이든 무조건 1이므로 의미가 없다.


2. 찾는 법[편집]


예시로 두 수 10, 12의 공배수를 찾고 싶다고 하자. 먼저 두 수의 배수를 쭉 나열한다.

10: 10, 20, 30, 40, 50, 60, 70, ...
12: 12, 24, 36, 48, 60, 72, ...

여기서 위아랫줄 동시에 나타나는 수가 바로 공배수이다. 최소공배수는 앞서 설명했듯이 공배수 중 가장 작은 것. 이 예시의 경우에는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같은 방법으로 세 수 이상의 최소공배수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숫자를 나열하는 방법으로 최소공배수를 찾는게 힘들다면? 이 때는 소인수분해를 이용해서 최소공배수를 찾는다. 10과 12를 각각 소인수분해하면,

[math(10=2\cdot5)]
[math(12=2^2\cdot3)]

이제 중복되는 소인수는 차수가 큰 횟수만큼, 그리고 나머지 소인수를 모두 곱해주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이다. 위 예시에서는 2를 두 번,[3] 3을 한 번, 그리고 5를 한 번 곱한 값, 즉 60이 최소공배수가 된다. 특히, 숫자가 서로소이면, 그냥 아무런 생각도 하지않고 두 수를 곱해주기만 하면 그 값이 최소공배수가 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봤듯이 최소공배수는 대수학적으로는 그 성질을 다루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특수함수에 속한다.

최대공약수 [math(\gcd)]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최대공약수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math(\mathrm{lcm}(a,\,b) = \dfrac{|ab|}{\gcd(a,\,b)})]


단, 최대공약수도 최소공배수도 모를 경우 순환논법이 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세 수 이상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함수를 계속 취해주면 된다.

세 수 [math(a,\,b,\,c)]에 대해서

[math(\mathrm{lcm}(a,\, b,\, c) = \mathrm{lcm}(\mathrm{lcm}(a,\, b),\, c) \equiv \dfrac{| abc |}{\gcd\left( \frac{| ab |}{\gcd(a,\,b)},\, c \right)})]

이 성립한다.


3. 성질[편집]


두 정수 [math(a,b)]에 대하여,
  1. [math(\text{lcm}\left(a,b\right)\mid ab)]
  2. [math(\text{lcm}\left(a,b\right)\gcd\left(a,b\right)=ab)]
  3. [math(a\mid \text{lcm}\left(a,b\right))]
  4. [math(b\mid \text{lcm}\left(a,b\right))]
최대공약수는 성질이 많은데 얘는... 그나마 있는 하나도 최대공약수가 끼어있다.


4. 증명[편집]


1. [math(\gcd\left(a,b\right)=G)]라 하자. 그럼 적당한 정수 [math(m)], [math(n)]에 대해 [math(a=Gm,b=Gn)], ([math(m,n)]은 서로소)가 성립한다. 이때, lcm[math(\left(a,b\right)=Gmn)]이다. 따라서, [math(\text{lcm}\left(a,b\right)=Gmn\mid G^2mn=ab)]

2. [math(\gcd\left(a,b\right)=G)]라 하자. 그럼 적당한 정수 [math(m,n)]에 대해 [math(a=Gm)], [math(b=Gn)], ([math(m,n)]은 서로소)가 성립한다. 이때, [math(\text{lcm}\left(a,b\right)=Gmn)]이다. 따라서, [math(\text{lcm}\left(a,b\right)\gcd\left(a,b\right)=G^{2}mn=ab)]


5. n 이하의 모든 자연수의 최소공배수[편집]


n
n 이하의 모든 자연수의 최소공배수
3
6
4
12
5, 6
60
7
420
8
840
9, 10
2,520
11, 12
27,720
13~15
360,360
16
720,720
17, 18
12,252,240
19~22
232,792,560
23, 24
5,354,228,880
25, 26
26,771,144,400
27, 28
80,313,433,200
29, 30
2,329,089,562,800
31
72,201,776,446,800
32~36
144,403,552,893,600
37~40
5,342,931,457,063,200


6. 관련 문서[편집]





[1] [math(\text{lcm})]은 least common multiple의 줄임말[2] 다만 [math(\left[a,\,b\right])]은 폐구간 표현과 겹치므로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3] 2는 중복되는 소인수인데, 12쪽의 2가 차수가 크므로 그 차수만큼(2번) 곱해준다. 콩까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