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ichelle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前 Lucky Future Zenith 소속 現 토론토 디파이언트 서브탱커에 대한 내용은 최민혁 문서

최민혁번 문단을
최민혁#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Rubber Soul Album.jpg
Rubber Soul
트랙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Side A
트랙
곡명
재생 시간
1
Drive My Car
2:25
2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2:05
3
You Won't See Me
3:18
4
Nowhere Man
2:40
5
Think for Yourself
2:16
6
The Word
2:41
7
Michelle
2:40
Side B
트랙
곡명
재생 시간
1
What Goes On
2:47
2
Girl
2:30
3
I'm Looking Through You
2:23
4
In My Life
2:24
5
Wait
2:12
6
If I Needed Someone
2:20
7
Run For Your Life
2:18
파일:비틀즈 로고 화이트.svg



Michelle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Michelle


앨범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 1965년 12월 3일
파일:미국 국기.svg 1965년 12월 6일
수록 앨범
녹음실
EMI 스튜디오
장르
포크 록
재생 시간
2:40
작사/작곡
폴 매카트니 (레논-매카트니 명의)
프로듀서
조지 마틴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 개요
2. 상세
3. 가사


1. 개요[편집]


영국의 록밴드 비틀즈의 노래.


2. 상세[편집]


1965년 앨범 Rubber Soul의 7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Yesterday, Here, There and Everywhere 등과 함께 폴의 대표적인 발라드 곡으로[1] 그가 한참 더 어렸을 시절 리버풀에 프랑스식 문화가 인기를 끌었을 때 파티에서 즉석으로 만든 곡이었으며[2] 챗 애킨스의 곡 '트램본'에 감명받아 그의 핑거 피킹 스타일을 모방하여 만든 곡이었으나 오랫동안 미완성 습작으로 남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존 레논이 해당 곡을 듣고 마음에 들어하면서 러버 소울에 이 곡을 수록하는게 어떻겠냐고 제안, 존 레논과 함께 곡을 완성하여 레코딩했다고 한다.

1967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곡으로 수상되었다. 2010년 폴 매카트니가 미셸 오바마 앞에서 부르기도 하였다.#

해당 곡이 브리짓 바르도와의 만남이 잡혀 선물용으로 작곡한 곡이라는 설명이 있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본 앨범 발매년도는 1965년이고 비틀즈가 브리짓 바르도를 만난 건 1968년이다. 더군다나 폴 매카트니는 당시 스코틀랜드에 있었기 때문에 참석할 수 없었고, 조지 해리슨과 링고 스타는 만남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존 레논만이 브리짓 바르도와 만나게 됐는데 너무 긴장한 나머지 약속 시간 전에 LSD를 복용하는 바람에 정작 브리짓 바르도 앞에선 'Hello'말고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고. 그는 얼마 안 있다가 자리를 떴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3. 가사[편집]




Michelle

미셸, 마 벨
Michelle, ma belle
미셸, 내 사랑
These are words that go together well
이것들은 서로 잘 어울리는 말들이야
My Michelle
나의 미셸
미셸, 마 벨
Michelle, ma belle
미셸, 내 사랑
송 르 모 뀌 봉 트레 비앙 엉섬블
Sont les mots qui vont très bien ensemble
이것들은 서로 잘 어울리는 말들이야
트레 비앙 엉섬블
Très bien ensemble
서로 잘 어울리는
I love you, I love you, I love you
널 사랑해, 널 사랑해, 널 사랑해
That's all I want to say
내가 말하고 싶은 건 그게 다야
Until I find a way
내가 다른 방법을 찾을 때까지
I will say the only words I know that you'll understand
나는 내가 아는 말 중에 네가 이해할 말을 할 거야
미셸, 마 벨
Michelle, ma belle
미셸, 내 사랑
송 르 모 뀌 봉 트레 비앙 엉섬블
Sont les mots qui vont très bien ensemble
이것들은 서로 잘 어울리는 말들이야
트레 비앙 엉섬블
Très bien ensemble
서로 잘 어울리는
I need to, I need to, I need to
해야겠어, 해야겠어, 해야겠어
I need to make you see
네가 보게 해야겠어
Oh, what you mean to me
오, 네가 내겐 어떤 존재인지
Until I do I'm hoping you will
내가 그럴 때까지 네가 하길 바래
Know what I mean
내가 뭘 말하는지 알지
I love you
널 사랑해
I want you, I want you, I want you
널 원해, 널 원해, 널 원해
I think you know by now
이제 너도 알 거라 생각해
I'll get to you somehow
난 어떻게든 네게 갈거야
Until I do, I'm telling you
너가 이해할 때까지
so you'll understand
계속 너에게 말할거야
미셸, 마 벨
Michelle, ma belle
미셸, 내 사랑
송 르 모 뀌 봉 트레 비앙 엉섬블
Sont les mots qui vont très bien ensemble
이것들은 서로 잘 어울리는 말들이야
트레 비앙 엉섬블
Très bien ensemble
서로 잘 어울리는
I will say the only words I know that you'll understand
나는 내가 아는 말 중에 네가 이해할 말을 할 거야
My Michelle
나의 미셸

파일:비틀즈 로고 화이트.svg




[1] 후렴구의 I love you x 3 부분은 존 레논의 아이디어라고 한다.[2] 그래서인지 가사에 프랑스어가 삽입되었다. 참고로 곡에 삽입된 프랑스어 구절은 곡에 프랑스어를 꼭 넣고 싶었던 폴 매카트니가 퀴리맨 시절의 멤버 아이반 본의 부인이 프랑스인이라는 사실을 생각해내고 그녀에게 전화를 걸어서 즉석에서 노랫말을 흥얼거리며 곡조에 어울릴 듯한 구절을 부탁하여 탄생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