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현우(군인)

덤프버전 :

||


파일:제1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초대
이정석 ||<width=20%> 제2대
백인엽 ||<width=20%> 제3대
오덕준 ||<width=20%> 제4대
최영희 ||<width=20%> 제5대
김병휘 ||
|| 제6대
박기병 || 제7대
이명재 || 제8대
조재미 || 제9대
유양수 || 제10대
이민우 ||
|| 제11대
최민섭 || 제12대
류병현 || 제13대
강원채 || 제14대
이범준 || 제15대
이남구 ||
|| 제16대
김학순 || 제17대
박완식 || 제18대
방덕제 || 제19대
김홍한 || 제20대
이기백 ||
|| 제21대
최문규 || 제22대
여운건 || 제23대
홍순철 || 제24대
민찬기 || 제25대
최권영 ||
|| 제26대
김현태 || 제27대
미상 || 제28대
이종규 || 제29대
이선민 || 제30대
김창호 ||
|| 제31대
김선홍 || 제32대
김영한 || 제33대
김종태 || 제34대
미상 || 제35대
권오성 ||
|| 제36대
이용광 || 제37대
김영식 || 제38대
조국제 || 제39대
최영철 || 제40대
안준석 ||
|| 제41대
전동진 || 제42대
권영현 || 제43대
김경중 || 제44대
강현우 ||
||<-5><bgcolor=#2E319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육군 제15보병사단장
강현우
Kang Hyunwoo
파일:강현우토마토축제.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1994년 ~ 현재
임관육군사관학교 (50기)
현재 계급소장 (대한민국 육군)
현재 보직제15보병사단
주요 보직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처장
제5보병사단장 직무대리
제6군단 참모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작전과장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1팀장
제15보병사단 제39보병연대
육군참모총장 수석전속부관
제52보병사단 작전참모
1. 개요
2. 생애
3. 주요 직위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장군으로 현 보직은 제15보병사단장이다.


2. 생애[편집]


1994년 육군사관학교(50기)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임관하였다.


3. 주요 직위[편집]








4. 여담[편집]



두 직위 출신자의 경향성 비교
보직 경력을 중심으로
기수합동작전과장 출신작전기획과장 출신
46기김홍석 소장강신철 대장
합참 작전기획부장 / 합참 작전부장 / 합참 작전1처장 / 합참 통합방위과장 / 합참 합동작전과장 / 합참 지휘통제1팀장 역임합참 작전본부장 / 청와대 국방비서관 / 합참 전략기획부장 / 1야전군 작전처장 / 국방부 군사보좌관 / 합참 작전기획과장 / 국방부 정책관리담당관 / 연합사 정책과장 역임
47기강호필 중장김봉수 중장
합참 작전부장 / 합참 작전1처장 / 합참 합동작전과장 / 1군단 작전참모 역임국방부 정책기획관 / 연합사 작전처장 / 육군본부 비서실장 / 합참 작전기획과장 / 합참 정책과장 역임
49기이승오 소장최성진 소장
합참 작전부장 / 합참 작전1처장 / 합참 합동작전과장 역임육군본부 개혁실장 / 2작사 작전처장 / 합참 작전기획과장 / 합참 정책과장 / 육군참모차장 정책보좌관 역임
50기강현우 소장김화종 소장
연합사 작전처장 / 합참 합동작전과장 / 합참 지휘통제1팀장 / 육군참모총장 수석전속부관 역임합참 작전1처장 / 합참 비서실장 / 합참 작전기획과장 / 국방부 정책관리담당관 역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2:27:24에 나무위키 강현우(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임은 오혁재 소장.[2] 국군 작전을 총괄하는 합참 합동작전본부의 수석과장으로 육군 대령 중 최고의 작전통이 대물림하는 자리다. 당연히 합참 대령 보직들 중에서 준장 진급률이 높은 편이고 역대 과장은 대부분 고위직으로 진급했다. 이 직위를 역임한 사람들로 정승조(육사 32기-대장 전역), 이홍기(육사 33기-대장 전역), 신현돈(육사 35기-대장 전역), 김종배(육사 36기-중장 전역), 신원식(육사 37기-중장 전역), 김왕경(육사 38기-준장 전역), 장경석(육사 39기-중장 전역), 구홍모(육사 40기-중장 전역), 박철희(육사 41기-준장 전역), 김승겸(육사 42기-현직 대장), 안준석(육사 43기-대장 전역), 김정유(육사 44기-소장 전역), 전동진(육사 45기-대장 전역), 김홍석(육사 46기-현직 소장), 강호필(육사 47기-현직 소장), 이승오(육사 49기-현직 중장), 강현우(육사 50기-현직 소장), 안찬명 (육사 51기-현직 소장), 우석제 (육사 52기-현직 준장)가 있다.[3] 전임자 이승오, 후임자 안찬명[4] 전임자 석용규, 후임자 김종묵[5] 6군단 참모장 재임 중 2021년 10월 이상철 제5보병사단장(소장)의 군사안보지원사령관(중장) 취임으로 공석이 된 제5보병사단직무대리로 임무를 수행하다, 12월 육사 한 기수 선배인 김흥준 준장소장 진급 후 제5보병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이임했다.[6] 전임자 이상철, 후임자 김흥준[7] 최근 트렌드로는 육군 준장 보직 중 합참 작전1처장을 뛰어넘는 최요직으로 부상하였다. 육사 동기 중 최고 작전통이 대물림하는 자리로, 최근 이 보직을 역임한 강건작(45기), 이규준(46기), 김봉수(47기) 장군이 모두 중장, 손광제(48기), 문병삼(49기) 장군이 모두 소장으로 현직에 있다. 그런데 강현우 준장이 연합사 작전처장으로서는 오랜만에 소장 1차 진급에 누락되었다.[8] 전임자 문병삼[9] 전임자 김경중[10] 하기 목록에서 정책과장이라는 직위는 대장급 장교의 비서실에 있는 자리로 이름과 달리 정책기획을 하는 자리라기보단 고위직 수행원에 가깝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