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재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5><#334782> 육군제2훈련소장 ||
||<width=20%> 제1대
김종갑 ||<width=20%> 제2대
이성가 ||<width=20%> 제3대
심언봉 ||<width=20%> 제4대
함병선 ||<width=20%> 제5대
백인엽 ||
|| 제6대
양국진 || 제7대
백남권 || 제8대
박병권 || 제9대
한신 || 제10대
임충식 ||
|| 제11대
최홍희 || 제12대
김동빈 || 제13대
장춘권 || 제14대
김상복 || 제15대
김병휘 ||
|| 제16대
김진위 || 제17대
전부일 || 제18대
박남표 || 제19대
김재명 || 제20대
정봉욱 ||
|| 제21대
한무협 || 제22대
김영선 || 제23대
곽응철 || 제24대
이필조 || 제25대
배정도 ||
|| 제26대
이광노 || 제27대
김기석 || 제28대
김원태 || 제29대
김을권 || 제30대
임병화 ||
|| 제31대
김충식 || 제32대
김광석 || 제33대
이기룡 || 제34대
오영우 || 제35대
이태우 ||
|| 제36대
이종완 || 제37대
정화언 || 제38대
정남기 || || ||
||<-5><#334782> 육군훈련소장 ||
|| 제39대
문판생 || 제40대
이광희 || 제41대
김문범 || 제42대
허평환 || 제43대
정두근 ||
|| 제44대
장종대 || 제45대
이태우 || 제46대
박성우 || 제47대
김정호 || 제48대
고성균 ||
|| 제49대
고현수 || 제50대
김규하 || 제51대
서상국 || 제52대
구재서 || 제53대
김인건 ||
|| 제54대
박원호 || 제55대
이용환 || || ||
||<-5><#33478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구재서
Koo Jaeseo
파일:구재서0.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기간1986년 ~ 2019년
임관육군사관학교 (42기)
최종 계급소장
최종 보직육군훈련소장
주요 보직육군본부 정책실장
지상군 페스티벌 단장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육군본부 비서실장
육군본부 정책실 정책기획과장
제32보병사단 제97보병연대
제2작전사령부 행정실장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군인. 최종 계급은 소장, 최종 보직은 육군훈련소장이다.


2. 생애[편집]


충남 서천군 문산면 은곡리 출신으로 1982년 천안북일고등학교(4회)를 졸업한 후 육사 42기로 입교하여 1986년 졸업과 함께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제2작전사령부 행정실장, 제32보병사단 제97보병연대장[2], 대한민국 육군본부 정책실 정책기획과장, 제28보병사단 부사단장, 준장 시절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3], 지상군 페스티벌단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정책실장 등을 역임하고 2016년에 소장 진급을 하여 같은 해 12월 육군훈련소장에 취임하여 2년 10개월간 임무를 수행하다가[4] 2019년 10월 전역하였다.


3. 여담[편집]





[1] 먼저 진급한 천안북일고-육사 출신 장성은 이문환 장군(북일 1회 졸업, 육사 39기, 보병), 이정근 장군(북일 2회 졸업, 육사41기, 보병), 강대남 장군(북일 3회 졸업, 육사 41기, 공병)이 있다.[2] 97연대의 관할구역에 그의 고향인 서천군이 포함되어있다.[3] 2013년에 발생한 육군사관학교 생도 성폭행사건으로 인해 보직해임된 적이 있다. 당시 교장이었던 박남수 중장(육사 35기)도 옷을 벗었으며 고성균 소장(육사 38기)이 신임 교장으로 부임하여 수습하였다.[4] 사실 이례적인 경우이다. 보통 소장 1차 보직은 사단장으로 발령받으며, 육군훈련소장을 1차 보직으로 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준장 시절 육사 생도대장을 하다가 지휘책임을 물어 경질되었는데, 이 때문에 정상적인 진급은 어려웠다. 그래서 능력을 인정하여 소장으로 진급은 시키되, 더 이상의 진급이 어려운 육군훈련소장으로 배치된 것으로 보인다.[5] 같은 충남 서천군 출신인데 비인면 성내리가 고향이다.[6] 보통 입대 전에 전자시계를 사서 입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8:29:57에 나무위키 구재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