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두근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height=50> (대수미상)
김형일 ||<width=20%> 박정희 ||<width=20%> 한신 ||<width=2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최갑석 ||<width=2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임복진 ||
||<height=50> 안병호 || 조영길 || 정두근 || 오정석 || 권태오 ||
||<height=50> 임국선 || 안병태 || 박삼득 ||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재형 || 이석구 ||
||<height=5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정형희 ||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함희성 || 여운태 || ||
||<-5><bgcolor=#2e319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한림 || 2대
백인엽 || 3대
강영훈 || 4대
김웅수 || 5대
최홍희 ||
|| 6대
김계원 || 7대
정래혁 || 8대
한신 || 9대
김희덕 || 10대
이세호 ||
|| 11대
박원근 || 12대
이소동 || 13대
김용휴 || 14대
이재전 || 15대
신현수 ||
|| 16대
강영식 || 17대
김홍한 || 18대
안필준 || 19대
박명철 || 20대
나병선 ||
|| 21대
임인조 || 22대
김재창 || 23대
최경근 || 24대
이재관 || 25대
서경석 ||
|| 26대
김판규 || 27대
서종표 || 28대
김충배 || 29대
류우식 || 30대
송기석 ||
|| 31대
정두근 || 32대
이홍기 || 33대
서길원 || 34대
김학주 || 35대
이범수 ||
|| 36대
박종진 || 37대
김성진 || 38대
김성일 || 39대
박양동 || 40대
강건작 ||
||<-5><bgcolor=#004ea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5><#334782> 육군제2훈련소장 ||
||<width=20%> 제1대
김종갑 ||<width=20%> 제2대
이성가 ||<width=20%> 제3대
심언봉 ||<width=20%> 제4대
함병선 ||<width=20%> 제5대
백인엽 ||
|| 제6대
양국진 || 제7대
백남권 || 제8대
박병권 || 제9대
한신 || 제10대
임충식 ||
|| 제11대
최홍희 || 제12대
김동빈 || 제13대
장춘권 || 제14대
김상복 || 제15대
김병휘 ||
|| 제16대
김진위 || 제17대
전부일 || 제18대
박남표 || 제19대
김재명 || 제20대
정봉욱 ||
|| 제21대
한무협 || 제22대
김영선 || 제23대
곽응철 || 제24대
이필조 || 제25대
배정도 ||
|| 제26대
이광노 || 제27대
김기석 || 제28대
김원태 || 제29대
김을권 || 제30대
임병화 ||
|| 제31대
김충식 || 제32대
김광석 || 제33대
이기룡 || 제34대
오영우 || 제35대
이태우 ||
|| 제36대
이종완 || 제37대
정화언 || 제38대
정남기 || || ||
||<-5><#334782> 육군훈련소장 ||
|| 제39대
문판생 || 제40대
이광희 || 제41대
김문범 || 제42대
허평환 || 제43대
정두근 ||
|| 제44대
장종대 || 제45대
이태우 || 제46대
박성우 || 제47대
김정호 || 제48대
고성균 ||
|| 제49대
고현수 || 제50대
김규하 || 제51대
서상국 || 제52대
구재서 || 제53대
김인건 ||
|| 제54대
박원호 || 제55대
이용환 || || ||
||<-5><#33478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fff 대한민국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정두근
鄭斗根 | Jeong Dugeun
파일:정두근 장군.jpg
학력대아고등학교 (졸업 / 3회)
영남대학교 (행정학 / 학사)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계획학[1] / 석사[2])
경력상호존중과 배려운동본부 총재
군사 경력
임관육군3사관학교 (7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72년 ~ 2010년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주요 보직제70보병사단 198보병연대장
제11보병사단 13보병연대장
육군3사관학교 생도대장
제32보병사단장
육군훈련소장
제6군단장

1. 개요
2. 생애
3. 군 경력
4. 전역 이후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前군인, 최종 계급은 중장이며, 제6군단장 및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상호존중과 배려 운동본부 창립자다.


2. 생애[편집]


1952년 9월 5일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출생했다. 진주 대아고등학교(3회)를 졸업하고, 1971년 1월 육군3사관학교 7기로 입교, 1972년 12월 졸업과 함께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군 위탁교육으로 영남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행정관리 전공으로 계획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육군대학 및 국방대학원에서 수학했다.


3. 군 경력[편집]










사단장 시절, 윗선으로부터 상호 존중과 배려 운동을 그만두라는 압박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병사들의 인권증진을 위하여 상존배운동을 계속 추진했었다. 그래서 당시 군단 내 직할부대들에서는 전화를 받을 때마다 "상호 존중과 배려를 실천화합시다. 0중대 (계급) 누가입니다~"라는 것을 해야 했고, 상호 존중과 배려를 강조했다. 이는 그의 대장 진급에 발목을 잡는 결과를 낳았다.

보통 대장급 정기 인사에서 비육사 출신 중장 중 한 명을 육사 출신 다수와 함께 대장으로 진급시키는데, 이때는 정두근 장군이 가장 유력한 후보였다.[6] 정 장군은 사실상 '상존배 운동을 그만두면 대장으로 진급된다'라는 제의까지 우회적으로 받았다고 한다.[7] 하지만 정두근 장군은 상존배운동을 멈추지 않았고, 이로 인한 인사보복 조치로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전보되어 무려 2년이 넘는 기간을 재직했다.[8]

결국 대장 진급은 8군단장 임기 중이던 이철휘 중장에게 돌아갔으며, 결국 자신의 대장 진급과 장병 인권을 향한 노력을 맞바꾼 셈이다.

역으로 말하면 병영문화 개선에는 병사 개개인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지휘관의 노력과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정두근 장군이 증명한 셈이다.[9]

2010년 12월 28일, 장병들의 인권증진을 위해 온 힘을 다 쏟았다는 이유로 육사 출신 장군들의 음해에 시달리던 정두근 장군은 전역식에서 임석 상관[10] 조차 없이 전역하였다.

4. 전역 이후[편집]


상호존중과 배려 운동본부를 창립해 초대 총재로서 우리 사회의 올바른 가치관과 미덕을 가꾸는 일에 매진하였다. 군내 장병 인권 문제가 대두될 때마다, 각종 방송과 인터넷 신문매체 등에서 앞다투어 정 총재에게 군 인권의 미래에 대해 인터뷰를 요청하는데, 이는 그가 군 시절 보여준 장병 인권 향상을 위한 노력이 지금에 이르러서야 시대를 앞서간 깨어있는 지휘관의 모습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이후 2018년 3월 29일, 총재직을 박호군 前과학기술부 장관에게 이임하고 명예총재가 되었다. 현재 이 자리는 다시 장경석 예비역 중장이 맡고 있는 상태.

그를 지휘관과 상관으로 모셨던 이, 사회운동가로서 그의 모습을 보아온 이 등 그를 겪어본 많은 이들은 그를 장병 인권 향상과 복지 증진에 온 힘을 다 써온, 이 시대에 보기 드문 참군인으로 평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8:59:40에 나무위키 정두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행정관리 전공[2] 석사 학위 논문 : 軍組織의 指導性에 關한 硏究(군조직의 지도성에 관한 연구, 1986).[3] 비육사 대령의 최고 요직[4] 사단장 취임 직후부터 부조리의 온상을 목격하고 상호 존중과 배려운동을 처음 도입하여 사단내 사건사고를 혁신적으로 줄였다.[5] 훈련병을 대상으로 인분 사건이 발생을 계기로 육군훈련소를 제2의 창설이라고 불릴 만큼 혁신함. 사단장 시절 병영 문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성과를 거둔 정 장군을 육군훈련소 분위기를 쇄신할 수 있는 적임자로 보고 육군훈련소장으로 임명한 것.[6] 군단장 재임 시, 상호 존중과 배려 운동의 결과 부대 내 각종 형사처벌 및 영창 발생률 감소, 지휘검열 우수부대로 육군참모총장 표창을 받는 등 각종 성과를 내고 있었다.[7] 남재준 참모총장이 제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써 있었는데, 정두근 중장의 군단장 재임기를 감안하면 시기가 맞지 않는다. 당시 편한 군대가 아닌 강한 군대를 지향하면서 병들에게 비토를 받던 이상희 국방장관이 가장 유력하다.[8] 부지휘관은 보통 전역 대기 혹은 다른 보직으로 옮기기 전에 6달~1년간 거치는 보직[9] 실제로 조현오 경찰청장은 경찰청장 재임기 본인이 앞장서 전의경 내무 부조리를 척결하였고, 그 결과 의경 지원률이 상승하게 되었다. 조 청장의 여러 논란 때문에 그를 비판하는 사람도 조 청장의 전의경 내무 부조리 척결 업적은 인정할 정도.[10] 당시 제2작전사령관(임석상관)은 그를 꺾고 진급한 이철휘 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