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천구청

덤프버전 :

||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청
衿川區廳 | Geumcheon-gu Office
파일:attachment/rmacjsrncjd.jpg

주소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73길 70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관할 구역서울특별시 금천구
직원 수0000명
예산5,457억 원 (2021년)
구청장유성훈 (재선)[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부구청장김영성[3급][2]
상급 기관대한민국 정부 행정안전부
서울특별시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역대 구청장
3. 조직
3.1. 직속 기관
3.2. 휘하 주민센터
4. 논란 및 사건 사고
4.1. 소속 직원의 집단 성폭력 사건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 여담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행정 사무를 처리하는 기관이자 그 건물.


2. 역사[편집]


이 항목에서 알 수 있듯이 1963년까진 경기도 시흥군에 속했던 곳이다. 1963년부터 1980년엔 영등포구, 1980년부터 1995년까진 구로구에 속한 곳이었다. 청사가 없어 건물을 임대하다 2008년에 청사를 신축하였으나 2000년대 말에 전국적으로 지자체들의 커튼 월 양식의 신청사 건설 광풍이 불었기 때문에[3] 2010년에 전국적으로 논란이 되어 유리궁전, 호화청사라고 비판받기도 했다.


2.1. 역대 구청장[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80년부터 1995년까지 현재 금천구 지역을 관할했던 지자체장에 대한 내용은 구로구청 문서
2.1번 문단을
구로구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수성명재임 기간정부 및 당적[4]기타
관선 서울특별시 금천구청장[3급]
초대반상균1995년 3월 1일 ~ 25일문민정부,,마포구 부구청장
2대박정길1995년 3월 31일 ~ 6월 30일前 서울시 한강관리사업소장
민선 서울특별시 금천구청장[2급]
3대반상균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5]
前 관선 금천구청장
4대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ta-hash-start=w-d5a7c99a46ed7fb9dfcaac2e3bb5a3e2[[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6]
5대한인수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서울특별시의원[7]
6대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8]
7대차성수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ta-hash-start=w-6ecee9c863a73e2c3ba55b5fc99b1fed[[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9]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10]
8대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11]
9대유성훈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민주통합당 중앙당 사무부총장
10대2022년 7월 1일 ~ 현재[12]


3. 조직[편집]


  • 금천구청장[2급]
    • 비서실
    • 금천행복도시지원단
  • 부구청장[3급]
    • 민원감사담당관
  • 복지가족국
    • 복지정책과
    • 복지지원과
    • 어르신장애인과
    • 여성가족과
    • 아동청년과
  • 기획재정국
    • 기획예산과
    • 홍보디지털과
    • 재무과
    • 세무1과
    • 세무2과
    • 부동산정보과
  • 도시안전국
    • 주택과
    • 안전도시과
    • 도시계획과
    • 건축과
    • 공원녹지과
  • 교통건설국
    • 교통행정과
    • 주차관리과
    • 건설행정과
    • 도로과
    • 치수과
  • 행정문화국
    • 행정지원과
    • 문화체육과
    • 마을자치과
    • 교육지원과
    • 민원여권과
  • 경제환경국
    • 지역경제과
    • 일자리창출과
    • 도시재생과
    • 청소행정과
    • 환경과


3.1. 직속 기관[편집]


  • 금천구보건소
    • 보건의료과
    • 건강증진과
    • 위생과
    • 독산보건분소
    • 박미보건지소


3.2. 휘하 주민센터[편집]


지하주차장이 하나같이 협소하다. 심지어 주자창 출입구도 협소하여 긁히는 경우가 다반사다.
  • 가산동주민센터
  • 독산1동주민센터
  • 독산2동주민센터 : 센터 앞도로가 원래는 일방통행이었는데 최근 양방향으로 변경되면서 극도의 헬 구간이 되었다.
  • 독산3동주민센터 : 지하주차장에 누수가 있는데 방치 중이다.
  • 독산4동주민센터
  • 시흥1동주민센터 : 지하주차장에서 공무원들이 흡연을 한다. 항상 담배 냄새가 나고, 심지어 재떨이까지 마련 되어 있다.
  • 시흥2동주민센터 : 복지타운[13]
  • 시흥3동주민센터
  • 시흥4동주민센터
  • 시흥5동주민센터 : 2022년 신청사가 준공되어 있다. 앞에 알박기 2층 건물[14]이 있다.


4.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4.1. 소속 직원의 집단 성폭력 사건[편집]


조선일보 기사 서울경제 기사 연합뉴스TV 기사

구청 소속 직원 3명이 동료 여직원을 성추행해 경찰에 입건되고, 가해자 3명은 직위해제되었다고 한다.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5.1. 버스[편집]


  • 금천구종합청사.금천구청역
    • 금천01[15], 금천02[16], 금천04, 금천06, 금천07, 금천08
  • 금천구청.금천경찰서


5.2. 도시철도[편집]




6. 여담[편집]





[1] 민선 7·8[3급] A B C 지방부이사관(3급)[2] A B C 지방이사관(2급) 대우[3] 서울에서만 관악구, 금천구, 마포구, 성북구, 용산구가 이 시기에 커튼 월 양식의 신청사를 신축했다.[4]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5] 1995.9. 신당 합류를 위해 탈당,
무소속


1995.9.
ta-hash-start=w-70711f87c34e6c96f141d0d5449fe4fb[[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입당.[6] 2000.1.
ta-hash-start=w-1ef619e8db0fbdda6140ec29412b3ba0[[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흡수 합당.[7] 3대,
ta-hash-start=w-044d34af537d31553bd5f8242d918188[[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무소속

[8] 2010.4. 공천 불복에 의한 탈당으로
무소속

.
[9] 2011.12. 시민통합당과의 합당으로
ta-hash-start=w-5ce9e5e89c326160e2908b5c477ebba6[[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창당
2013.5. 으로 당명 변경
2014.3. 새정치연합과의 합당으로 창당.
[10] 참여정부[11] 2015.12. 으로 당명 변경.[12] 임기는 `26.6.까지, 최대 `30.6.까지 연임 가능.[13] 복합청사[14] 민선 7기 류명기 구의원 소유[15] 빨강 : 벽산 1단지 내부 진입, 파랑 : 벽산 5단지를 지나 산복도로에서 회차[16] 벽산3단지, 안천중학교 방향 동시정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