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지사

덤프버전 :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신현돈
제2대
장현식
제3대
김가전
제4대
이성득
제5대
이요한
제6대
신용우
제7대
김규진
제8대
이하영
제9대
박정근
제10대
이기세
제11대
임춘성
제12대
이용택
제13대
김상술
제14대
이존일
제15대
김인
제16대
이정우
제17대
이환의
제18대
이춘성
제19대
황인성
제20대
김학중
제21대
조철권
제22대
심재홍
제23대
홍석표
제24대
강현욱
제25대
최용복
제26대
강상원
제27대
이강년
제28대
조남조
제29·30대
유종근
제31대
강현욱
제32·33대
김완주
제34·35대
송하진
제36대
김관영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全羅北道知事
Governor of Jeollabuk Province
파일:전라북도 도지사 김관영.jpg
현직김관영 / 제36대 (민선 8기)
취임일2022년 7월 1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 개요
1.1. 전라북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
2. 목록
2.3.1. 관선 1차
2.3.2. 민선 1차
2.3.3. 관선 2차
2.3.4. 민선 2차
3. 역대 선거 결과
4. 역대 정당별 전적
5. 역대 후보별 순위
6. 도정 구호
7. 이야깃거리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전라북도지사전라북도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

1910년까지는 관찰사(觀察使)라고 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전라북도 관찰사는 1908년에 부임한 친일인사 이두황(李斗璜)이며 국권침탈 이후에도 계속해서 전라북도장관을 맡았다.

특히 김완주 - 송하진 전 지사는 둘 모두 재선 전주시장을 바탕으로 재선 도지사가 된 케이스다.[1]

그 외에도 대구광역시장, 경기도지사와 함께 3선은 커녕 선거에 3번 출마한 후보조차 없는 몇 안되는 광역자치단체이다. 송하진 전 지사는 3선 도전을 시사하긴 했으나 경선에서 컷오프되면서 결국 도전하지 못했다.

1.1. 전라북도지사 선거 100% 적중 지역[편집]


1995년 전국동시지방선거 도입 이후 전라북도지사 선거는 지금까지 총 8번 있었다. 이 중 고창군부안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전라북도지사 선거 적중 지역이다.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이라 대체로 민주당계 정당 유력 후보가 완승하는 편이지만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난립할 경우 접전이 펼쳐지기도 한다. 실제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열린우리당민주당 간 경쟁 구도에서 비교적 접전이 일어났는데 이 때 민주당 정균환 후보의 정치적 근거지였던 위 두 지역이 적중 지역에서 탈락했다.

2. 목록[편집]



2.1. 일제강점기[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 장관이두황 (李斗璜)1910년 10월 1일 ~ 1916년 3월 9일[전라북도장관]
2대 장관유혁로 (柳赫魯)1916년 3월 9일 ~ 1916년 3월 27일
3대 장관이진호 (李軫鎬)1916년 3월 28일 ~ 1919년 3월 2일
4대 장관유혁로 (柳赫魯)1919년 3월 2일 ~ 1919년 3월 30일
초대이진호 (李軫鎬)1919년 3월 30일 ~ 1921년 8월 5일[전라북도장관][2]
2대이스미 나카조 (亥角仲蔵)1921년 8월 5일 ~ 1925년 8월 11일
3대아오키 가이조 (青木戒三)1925년 8월 11일 ~ 1926년 3월 8일
4대와타나베 시노부 (渡辺忍)1926년 3월 8일 ~ 1929년 1월 21일
5대하야시 시게키 (林茂樹)1929년 1월 21일 ~ 1929년 12월 11일
6대김서규 (金瑞圭)1929년 12월 11일 ~ 1931년 9월 23일
7대홍승표 (洪承均)1931년 9월 23일 ~ 1932년 9월 27일
8대고원훈 (高元勲)1932년 9월 27일 ~ 1936년 5월 21일
9대김시권 (金時權)1936년 5월 21일 ~ 1937년 4월 1일
10대손영목 (孫永穆)1937년 4월 1일 ~ 1940년 9월 2일
11대이원보 (李源甫)[3]1940년 9월 2일 ~ 1942년 1월 24일
12대김병태 (金秉泰)[4]1942년 1월 24일 ~ 1943년 8월 18일
13대김대우 (金大羽)1943년 8월 18일 ~ 1945년 6월 16일
14대정연기 (鄭然基)[5]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

전라북도지사라는 직함은 1919년 8월에 기존의 전라북도장관을 전라북도지사로 개칭한 것이 최초이다. 여기서는 편의상 전라북도장관을 포함했다.

2.2. 미군정[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갤로글 (R. F. Galloghy)1945년 9월 2일 ~ 1945년 10월 11일[6]
2대가포불지[7]1945년 10월 12일 ~ 1945년 12월 19일
3대갤로글 (R. F. Galloghy)1945년 12월 20일 ~ ?[8]
4대윌리엄? ~ ?[9]
5대에거? ~ 1946년 4월 3일
6대정일사 (鄭一史)1946년 4월 4일 ~ 1947년 6월 28일
7대박종만 (朴鍾萬)1947년 6월 29일 ~ 1947년 7월 8일
8대1947년 7월 9일 ~ 1948년 9월 9일[10]

2.3. 대한민국[편집]



2.3.1. 관선 1차[편집]


대수이름임기정부비고
관선 (임명직)
초대신현돈 (申鉉燉)1948년 9월 10일 ~ 1949년 8월 16일이승만 정부
2대장현식 (張賢植)1949년 8월 17일 ~ 1949년 12월 14일
3대김가전 (金可田)1949년 12월 15일 ~ 1951년 10월 5일
4대이성득 (李聖得)1951년 10월 29일 ~ 1952년 9월 16일
5대이요한 (李要漢)1952년 9월 17일 ~ 1955년 9월 1일
6대신용우 (申鏞宇)1955년 9월 2일 ~ 1956년 9월 23일
7대김규진 (金圭鎭)1956년 9월 24일 ~ 1957년 3월 10일
8대이하영 (李夏榮)1957년 3월 11일 ~ 1959년 5월 12일
9대박정근 (朴定根)1959년 5월 13일 ~ 1960년 5월 11일
10대이기세 (李琦世)1960년 5월 12일 ~ 1960년 6월 26일허정 내각
11대임춘성 (林春城)1960년 6월 27일 ~ 1960년 10월 6일
12대이용택 (李龍澤)1960년 10월 17일 ~ 1960년 12월 28일장면 내각

2.3.2. 민선 1차[편집]


대수이름임기당적[11]출신지비고
민선 (선출직)
13대김상술 (金相戌)1960년 12월 29일 ~ 1961년 5월 23일

전북 정읍

2.3.3. 관선 2차[편집]


대수이름임기정부비고
관선 (임명직)
14대이존일 (李存一)1961년 5월 24일 ~ 1961년 8월 24일국가재건최고회의
15대김인 (金仁)1961년 8월 25일 ~ 1963년 12월 16일
16대이정우 (李玎雨)1963년 12월 19일 ~ 1968년 2월 21일박정희 정부
17대이환의 (李桓儀)1968년 2월 22일 ~ 1971년 6월 12일
18대이춘성 (李春城)1971년 6월 22일 ~ 1973년 10월 22일
19대황인성 (黃寅性)1973년 10월 23일 ~ 1978년 12월 25일
20대김학중 (金學重)1978년 12월 26일 ~ 1980년 7월 17일
21대조철권 (趙喆權)1980년 7월 18일 ~ 1983년 10월 14일최규하 정부
22대심재홍 (沈載弘)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8일전두환 정부
23대홍석표 (洪錫杓)1986년 8월 29일 ~ 1988년 5월 19일
24대강현욱 (姜賢旭)1988년 5월 20일 ~ 1990년 6월 20일노태우 정부
25대최용복 (崔鎔福)1990년 6월 21일 ~ 1992년 4월 21일
26대강상원 (姜相源)1992년 4월 22일 ~ 1993년 3월 3일
27대이강년 (李康年)1993년 3월 4일 ~ 1994년 9월 23일김영삼 정부
28대조남조 (趙南照)1994년 9월 24일 ~ 1995년 6월 30일

2.3.4. 민선 2차[편집]


대수이름임기당적[12]출신지비고
민선 (선출직)
29대유종근 (柳宗根)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전북 정읍[13]
30대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ta-hash-start=w-cc23301d29ab16eab705b35856f3c415[[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4]
31대강현욱 (姜賢旭)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ta-hash-start=w-77161bf6b433fd5a7d8f2b6da38384d9[[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전북 군산[15]
32대김완주 (金完柱)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ta-hash-start=w-324ceee24a671ea9383a804c12866b49[[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전북 임실[16]
33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ta-hash-start=w-9369fc6bdcd8cd62e72a5e9448d4684b[[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17]
34대송하진 (宋河珍)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전북 김제[18]
35대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36대김관영 (金寬永)2022년 7월 1일 ~ 현재전북 군산
전북특별자치도지사 민선 (선출직)
36대김관영 (金寬永)2023년 1월 18일 ~예정전북 군산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역대 민선 전라북도지사
19601995199820022006
민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김상술유종근강현욱김완주
2010201420182022
민주당
더불어민주당
김완주송하진김관영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역대 민선 전북특별자치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60년1위:

김상술 41.20%

2위:
ta-hash-start=w-292b424e4dc9f3caa7150167c9928b23[[파일:신민당1960글자.png
임춘성 40.10%
1995년1위:

유종근 67.15%

2위:
ta-hash-start=w-ea7436bc091539714e3f2f5d209aca1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강현욱 32.84%
1998년1위:
ta-hash-start=w-c7cca85fb808ff22d4196d92a56b94a0[[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유종근 100%
[주의]
2002년1위:
ta-hash-start=w-5df2d2db45e6cc67e36a0e490ea5a67a[[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현욱 74.56%

2위:
무소속

손주항 17.12%
2006년1위:
ta-hash-start=w-55f660a16ab15295bb82448c0c75dbac[[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김완주 48.08%

2위:
ta-hash-start=w-ce3a4d33ebe84e70d79304519c54d9f0[[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정균환 36.53%
2010년1위:
ta-hash-start=w-57bbcd58a5a7b7e430faf8bbc7932b27[[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김완주 68.67%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운천 18.20%
2014년1위:
ta-hash-start=w-5f36004274ee26ed7edb89f3b4967e8c[[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송하진 69.23%

2위:
ta-hash-start=w-61aed3c9c3852854775b4986615901e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철곤 20.45%
3위:
ta-hash-start=w-5424eee00c1ab222f20cea406d120812[[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광석 10.31%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하진 70.57%

2위:
ta-hash-start=w-ba55c5c7f48491e1370ea8f921d99f62[[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정엽 19.11%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관영 82.11%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배숙 17.88%

[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광역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3.1. 1960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영(李基永)15,2635위
3.45%낙선
2이완구(李完求)15,4244위
3.48%낙선
3이중학(李重學)15,1516위
3.43%낙선
4김봉두(金奉斗)15,1097위
3.40%낙선
5김상술(金相述)185,3841위
41.20%당선
6임춘성(林春成)180,0122위
40.10%낙선
7정진호(鄭鎭浩)22,8123위
5.10%낙선
선거인 수1,105,513투표율
42.19%
투표 수466,526
무효표 수-

3.2. 1995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현욱(姜賢旭)319,4522위
32.84%낙선
2유종근(柳鍾根)653,2951위
67.15%당선
선거인 수1,360,350투표율
73.65%
투표 수1,001,959
무효표 수29,212

민주당 유종근 후보가 모든 시군에서 승리를 거두며 더블 스코어 차이로 압승을 거두었지만, 민주자유당 강현욱 후보도 30%대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특히 군산시에서는 무려 49%를 득표했고, 특히 군산시 갑(舊 군산시)에서는 승리했다. 그리고 이듬해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소속으로 군산시 을 지역구에 출마해 당선되는 기염을 토했다.

3.3. 1998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휘장(1997-2009)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유종근(柳鍾根)758,1411위[주의]
100%당선
선거인 수1,400,419투표율
57.78%
투표 수809,167
무효표 수51,026

3.4. 2002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휘장(1997-2009)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나경균(羅庚均)63,6613위
8.30%낙선
2강현욱(姜賢旭)571,6501위
74.56%당선
3손주항(孫周恒)131,3202위
17.12%낙선
선거인 수1,431,722투표율
54.98%
투표 수787,135
무효표 수20,504

3.5. 2006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완주(金完柱)389,4361위
48.08%당선
2문용주(文庸柱)62,9223위
7.76%낙선
3정균환(鄭均桓)295,8912위
36.53%낙선
4염경석(廉京石)61,6724위
7.61%낙선
선거인 수1,429,632투표율
57.87%
투표 수827,387
무효표 수17,466

17개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유일하게 열린우리당 후보가 당선된 곳이다. 반면 민주당은 전라북도지사 탈환에 실패해 한화갑 전 대표이 두고두고 아쉬워했다고 한다. # 그래도 정균환 후보가 나름 선방했지만.

3.6. 2010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운천(鄭雲天)151,0642위
18.20%낙선
2김완주(金完柱)569,9801위
68.67%당선
5하연호(河然鎬)52,3313위
6.30%낙선
7염경석(廉京石)35,5654위
4.28%낙선
8김대식(金大植)20,9905위
2.52%낙선
선거인 수1,442,805투표율
59.34%
투표 수856,111
무효표 수26,181

민주당 김완주 후보가 텃밭에서 압도적으로 당선되었으나, 한나라당 정운천 후보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래 15년 만에,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래 처음으로 선거비 전액 보전 하한선을 넘기는 저력을 과시했다.

3.7. 2014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철곤(朴鐵坤)177,1722위
20.45%낙선
2송하진(宋河珍)599,6541위
69.23%당선
3이광석(李光石)89,3373위
10.31%낙선
선거인 수1,503,242투표율
59.87%
투표 수900,029
무효표 수26,181

예상대로 새정치민주연합 송하진 후보가 69.23%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새누리당 박철곤 후보는 비록 패배하였지만, 20.45%의 득표율을 얻으면서 만만치 않은 저력을 과시했다.[19]

3.8. 2018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송하진(宋河珍)682,0421위
70.57%당선
2신재봉(愼宰奉)26,3744위
2.72%낙선
4임정엽(林呈燁)184,7282위
19.11%낙선
5권태홍(權泰弘)52,4963위
5.43%낙선
6이광석(李光石)20,8275위
2.15%낙선
선거인 수1,527,729투표율
65.23%
투표 수996,504
무효표 수30,037

친노계>동교동계 성향을 보이며 광주광역시·전라남도와 차별화됐던 2006년때와는 정반대로 지금은 거꾸로 제일 민주평화당의 총 득표수가 많은 지역으로 등극했다. 되돌아보면 1995년에도 DJ 중심 민주당으로부터의 가장 두드러지는 이탈을, 2002년에는 반대로 지금처럼 가장 높은 결집을 보여준 적이 있다.

정리하자면 (어디까지나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1995:(상도동계/여당) 2002:(동교동계/여당) 2006:(친노계/여당) 2018:(동교동계/야당)인 셈이다. 호남 민심의 속사정, 임정엽 후보가 민선 완주군수를 지낸 인물 경쟁력 측면으로 해석할 수 있다.

3.9. 2022년[편집]


{+1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관영(金寬永)591,5101위
82.11%당선
2조배숙(趙培淑)128,8282위
17.88%낙선
선거인 수1,532,133투표율
48.64%
투표 수745,354
무효표 수25,016

바른미래당 출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민주평화당 출신 국민의힘 후보의 결전이 벌어졌다. 비록 더불어민주당 김관영 후보가 5배 격차로 낙승하였지만, 국민의힘 조배숙 후보도 15% 이상 넘은 득표율을 내서 나름 선전한 성과를 거두었다. 다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누리당 박철곤 후보의 득표율에는 미치지 못했다.

한편 김관영 후보는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유일하게 80%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호남 지역에서 유일하게 전라북도지사 후보에만 제3정당 후보가 없었기 때문.[20]

4. 역대 정당별 전적[편집]


민주당계 정당보수 정당제3후보[21]
1회유종근강현욱-
당선 67.15%낙선 32.84%
2회유종근--
당선 100%
3회강현욱나경균손주항[22]
당선 74.56%낙선 8.30%낙선 17.12%
4회김완주문용주정균환[23]
당선 48.08%낙선 7.76%낙선 36.53%
5회김완주정운천하연호[24]
당선 68.67%낙선 18.20%낙선 6.30%
6회송하진박철곤이광석[25]
당선 69.23%낙선 20.45%낙선 10.31%
7회송하진신재봉임정엽[26]
당선 70.57%낙선 2.72%낙선 19.11%
8회김관영조배숙-
당선 82.11%낙선 17.88%

5. 역대 후보별 순위[편집]


  • 사퇴, 사망, 등록 무효 후보 제외.
1위2위3위4위5위
1회유종근강현욱
2회유종근
3회강현욱손주항나경균
4회김완주정균환문용주염경석
5회김완주정운천하연호염경석김대식
6회송하진박철곤이광석
7회송하진임정엽권태홍신재봉이광석
8회김관영조배숙

6. 도정 구호[편집]


김학중풍요로운 전북건설
조철권살기좋은 전북건설
심재홍약진하는 새 전북
홍석표300만의 전진 대전북 건설
강현욱서해안 시대의 새전북 건설
최용복살기좋고 활기찬 새전북 건설
강상원밝은 미래 활기찬 대전북
이강년새시대 다함께 새전북 창조
조남조화합으로 새전북 건설
유종근세계로 뻗어가는 전북건설
강현욱강한전북 일등도민
김완주하나되어 전북을 바꿉시다
송하진한국 속의 한국, 생동하는 전라북도
아름다운 山河 웅비하는 생명의 삶터, 천년 전북!
김관영함께 혁신, 함께 성공, 새로운 전북

7. 이야깃거리[편집]


  • 김완주 전 지사와 송하진 전 지사는 민선 전주시장 출신인데, 두 사람 모두 재선 전주시장 출신의 재선 전라북도지사라는 행보가 똑같다. 그런데 비슷하게 도청소재지 청주시가 도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충청북도는 아직까지 청주시장 출신의 충청북도지사가 나오지 않았다.
  • 역대 민선 전북지사 6명이 모두 전북에서 나고 자란 인물들이지만 정작 전주시 출신 지사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정읍시군산시 출신이 각각 2명, 김제시임실군 출신이 각각 1명씩 배출됐다.

8. 관련 문서[편집]




[1] 둘 모두 5급 공채 출신인데 상대적으로 한직으로 여겨지는 광역단체장일수록 직업 정치인 출신보다는 관료 출신이 많은 편이다. 보통 재선~4선의 국회의원들이 광역자치단체장에 도전하는 편인데 직업 정치인들에게는 해당 선수 정도되면 시류에 따라 국회의원을 계속 역임하다가 중앙에서 힘을 쓸 수 있는 당 대표, 원내대표장관 등을 노려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공채 출신은 기관장 역할을 할 수 있는 고위공무원 영전을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아 한직이라 하더라도 단체장 자체가 기관장인 고위공무원인만큼 이에 만족한다. 때문에 현직 단체장일수록 관료 비중이 높은 편이다.[전라북도장관] A B [2] 1919년 8월부터 도지사.[3] 창씨명 리노이에 겐포(李家源甫)로 활동함.[4] 창씨명 가네무라 야스오(金村泰男)로 활동함.[5] 창씨명 구사모토 젠키(草本然基)로 활동함.[6] 현역 미 육군 중령.[7] 당시 동아일보에 가포불지 중좌라는 표기로 등장.[8] 재취임.[9] 현역 미 육군 중령.[10] 정부 수립 후 인선 지연으로 유임.[11] 선거 당시 당적.[12] 선거 당시 당적.[13] 1995.

탈당.
1995.
ta-hash-start=w-2c5201a7391fedbc40c3cc6aa057a029[[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입당.[14] 2000.1.20.
ta-hash-start=w-b398807ae3446a3fc2aface42e1c1af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15] 2004.3.11.
ta-hash-start=w-c5f04b97fb0ab32011d099108469e3e5[[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탈당.
2004.
ta-hash-start=w-708f29ec20d162afd5d0f6e9506c3933[[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입당.[16] 2007.8.5.
ta-hash-start=w-000958fdaefe0dd06f5d7c4e4a5f28d1[[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흡수 합당.
2008.2.17.
ta-hash-start=w-157f786e2424ac9ee32681d0c9e18540[[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신설 합당.
2008.7.6.
ta-hash-start=w-fbb43b2b2560e178cd84f7eaf9709740[[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
[17] 2011.12.23.
ta-hash-start=w-580d3198bc15705382f47156ce749d07[[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으로 신설 합당.
2013.5.4.
ta-hash-start=w-92779382430cc8bb21fdfee6e1f5953b[[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
2014.3.26.
ta-hash-start=w-c5a4e7e6882845ea7bb4d9462868219b[[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으로 당명 변경.
[18] 2015.12.28. 으로 당명 변경.[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19] 고향인 진안군 백운면에서 송하진을 더블스코어로 따돌렸고 상전면에서는 무승부를 거뒀다.[20] 광주광역시는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전라남도는 진보당 후보가 출마했다.[21] 3% 이상 득표자만 기재.[22] 중도 성향 후보.[23] 민주당계 정당 후보.[24] 진보 정당 후보.[25] 진보 정당 후보.[26] 민주당계 정당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