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광양시나주시목포시순천시여수시
광양 · 중마 · 섬진강휴게소 · 용지 · 광영 · 진상 · 도촌 · 제철주택단지 · 제철소 · 태인교나주 · 빛가람 · 영산포 · 동강 · 동창 · 다시목포순천 · 곡천 · 주암 · 송광사여수 · 여천
강진군고흥군곡성군구례군담양군
강진 · 마량 · 성전 · 도암고흥 · 과역 · 녹동 · 나로도 · 도화 · 동강 · 점암곡성 · 옥과 · 석곡구례담양 · 금성
무안군보성군신안군영광군영암군
무안 · 남악 · 망운 · 청게 · 해제 · 현경보성 · 벌교지도 · 지도서부영광 · 법성포 · 홍농영암 · 신북 · 학산 삼호
완도군장성군장흥군진도군함평군
완도 · 고금 · 당목 · 원동장성 ·백양사장흥 · 관산 · 대덕 · 회진진도 ·녹진함평 · 문장 · 함사거리


해남군화순군
해남 · 남창 · 산정 · 송호 · 땅끝 · 남리 · 오공 · 우수영 · 월송화순 · 능주 · 동복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북 · 경남 · 제주



파일:DSC04192.jpg

1. 개요
2. 노선
2.2. 시외버스
2.3. 시내버스
3. 정류소



1. 개요[편집]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은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남풍리에 있는 버스터미널이다. 다른 타 시, 군 으로 갈 수 있으나 도시에 비해서 노선이 적다. 직통으로 가는 버스가 없으며 다 들려서 가야 한다.[1]


2. 노선[편집]


고속버스 노선은 없다.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2.1. 전환시외[편집]


수도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서울일 2회금호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장흥발 서울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서울(호남)4:40₩ 26,400
₩ 34,300(우등)
운행시각표10:35, 16:35
금호고속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지만 차량에 티머니 E-Pass가 장착되어 수동으로 검표하지 않는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일 2회 뿐이라 유스퀘어에서 환승하거나 나주역, 광주송정역에서 기차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2.2. 시외버스[편집]


파일:20230126_193328.jpg
호남권 방면 : 광주[2], 나주[3], 목포[4], 강진[5], 장흥, 진도, 완도, 해남


2.3. 시내버스[편집]


파일:20230126_193145.jpg

2023년 7월 1일부로 강진교통의 작천/병영방면 농어촌버스가 운행을 중단, 2023년 10월 2일부로 나주교통의 나주/영산포방면 시내버스가 운행을 중단하였다.

3. 정류소[편집]


  • 신북시외버스정류장(광주 방면)
  • 학산 독천터미널(목포 방면)
  • 삼호시외버스정류장(목포 방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22:06:26에 나무위키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도권 방향은 시외버스나 농어촌버스로 나주역이나 광주송정역으로 가서 기차를 이용해도 괜찮고, 이외 수도권을 포함한 다른 목적지는 광주 유스퀘어에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나주역으로 갈 때에는 시외버스를 타고 영산포에서 내려 999, 999-1, 701, 7004, 1160, 160(나주역 경유편)번 등을 이용하면 된다. 다른 지선 노선 중에서도 나주역을 경유하는 노선은 많지만 농어촌버스처럼 운행하는 특성상 하차하는 승객이 없으면 그냥 터미널만 찍고 나가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노선들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광주송정역의 경우에는 영산포나주에서 내려서 160번을 타는 것이 좋다. 진월동이나 유스퀘어에 내려서 광주송정역까지 가는 것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2] 진월동 정류소 경유[3] 영산포 포함[4] 군서, 독천, 삼호 경유. 1일 3회로, 농어촌버스를 타도록 하자.[5] 마량, 성전, 옴천, 병영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