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뉴멕시코 대학교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학 연구 협회 로고.svg
[ 북동부 ]
[ 남부 ]
[ 중서부 ]
[ 서부 ]


[ 북동부 ]
[ 남부 ]

지역사립대학공립대학
남부 대서양
델라웨어없음파일:University_of_Delaware_Seal.svg.png 델라웨어 대학교
메릴랜드파일:JHU 아이콘.png 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메릴랜드 대학교 · 파일: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로고.png 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워싱턴 D.C.파일:조지 워싱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 워싱턴 대학교 · 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타운 대학교없음
버지니아없음파일:버지니아 대학교 문장.svg 버지니아 대학교 · 파일: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휘장.svg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 파일:Virginia_Tech_seal.svg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파일:ODUseal.jpg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 파일:조지 메이슨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 메이슨 대학교
웨스트버지니아없음파일:웨스트 버지니아 대학교 로고.svg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파일:듀크 대학교 아이콘.png 듀크 대학교파일:UNC 채플힐 아이콘.png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NC_State_Seal.svg.png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없음파일: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eal.png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 파일:Clemson_University_Seal.svg 클렘슨 대학교
조지아파일:에모리 대학교 아이콘.png 에모리 대학교파일:Georgia_Tech_seal.svg 조지아 공과대학교 · 파일:조지아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아 대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eorgia_State_University_Official_Seal.png 조지아 주립대학교
플로리다파일:University_of_Miami_seal.svg 마이애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South_Florida_seal.svg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로고.svg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_Internation_University_seal.svg 플로리다 인터내셔널 대학교 · 파일:플로리다 대학교 심볼.svg 플로리다 대학교 · 파일:Florida State University Seal.png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동남 중앙
켄터키없음파일:루이빌 대학교 로고.svg 루이빌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Kentucky_seal.svg 켄터키 대학교
테네시파일:밴더빌트 대학교 아이콘.png 밴더빌트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emphis_seal.svg 멤피스 대학교 · 파일:테네시 대학교 로고.png 테네시 대학교
앨라배마없음파일:오번 대학교 아이콘.png 오번 대학교 · 파일:University_of_Alabama_seal.svg.png 앨라배마 대학교 · 파일:uab _ university-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버밍햄 · 파일:UAH-seal.png 앨라배마 대학교 헌츠빌
미시시피없음파일:University_of_Mississippi_seal.svg.png 미시시피 대학교 · 파일:미시시피 주립대학교 로고.svg 미시시피 주립대학교 · 파일: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문장.png 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서남 중앙
아칸소없음파일:아칸소 대학교 로고.svg 아칸소 대학교
루이지애나파일:툴레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툴레인 대학교파일:루이지애나 휘장.svg 루이지애나 대학교 라파옛 · 파일:Louisiana-State-University-LSU-Seal.png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오클라호마없음파일:오클라호마 대학교 로고.png 오클라호마 대학교 · 파일:Oklahoma_State_University_seal.svg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텍사스파일:라이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라이스 대학교 · 파일:베일러 대학교 로고.svg 베일러 대학교파일:노스 텍사스 대학교 로고.png 노스 텍사스 대학교 · 파일:텍사스 A&M 아이콘.png 텍사스 A&M 대학교 · 파일:Texas_Tech_University_seal.svg 텍사스 공과대학교 · 파일: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이콘.png 텍사스 대학교 · 파일:UT Dallas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2px-UofTsystem_seal.svg.png 텍사스 대학교 샌안토니오 · 파일: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Seal.png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 파일: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문장.png 텍사스 대학교 엘패소 · 파일:University_of_Houston_seal.svg 휴스턴 대학교

[ 중서부 ]
[ 서부 ]


University of New Mexico
뉴멕시코 대학교

파일:뉴멕시코 대학교 로고.png

대학 정보
모토라틴어Lux Hominum Vita
영어Light the Life of Man
한국어빛은 인류의 생명이니라
설립 연도1889년 2월 28일 (135주년)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소재뉴멕시코주, 앨버커키
(Albuquerque, New Mexico, United States)
분류주립대학
총장가넷 스토크스 (Garnett S. Stokes)
발전기금$442.5 million (2021년)
합격률96.3% (2020년)
재학생학부19,010명 (2019년 가을)
대학원6,431명 (2019년 가을)
교직원6,899명 (2019년 가을)
상징마스코트늑대 (Lobo Louie & Lobo Lucy)
색상
{{{#000,#white
[ 펼치기 · 접기 ]
Cherry (#B90A2B)

Silver (#A7A8AA)

}}}
링크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학 언론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뉴멕시코 대학교 소개 영상
파일:university-of-new-mexico.jpg
캠퍼스 사진

1. 개요
2. 학부
3. 역사
4. 스포츠
4.1. 미식축구
4.1.1. 전설의 감독
4.1.2. 전설의 선수
4.2. 농구
4.2.1. 전설의 감독
4.2.2. 전설의 선수
4.3. 주요 라이벌
5. 주요 인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02_SDI_UNM-SmithPlaza_MarionBrenner-12.jpg
뉴멕시코 대학교

미국 뉴멕시코앨버커키에 위치한 카네기 분류 기준 R1[1]에 속한 플래그쉽 주립대학.[2] 약칭 UNM.

뉴멕시코가 주로 승격되기 이전인 1889년에 세워졌으며 뉴멕시코에서 가장 오래 된 대학이다.

2021년 기준 25000명 이상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75% 가량의 재학생들이 장학금을 받고 있다. UNM에서 매년 7100만 달러 가량의 장학금 펀딩을 조성하고 있다. 지역 특성 상 히스패닉아메리카 원주민 학생[3]의 구성이 많으며 전미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은 캠퍼스 중 하나로 평가 받는다. 2000명 가량의 정규직 교원이 근무하며 임시직까지 포함하면 2500명 이상의 교원을 보유한다.

2022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랭킹에 따르면 미국 내 대학원 프로그램들 중 가정의학 7위, 임상법률교육 8위, 핵공학 14위, 1차진료 16위, 전기공학 63위, 컴퓨터공학 69위, 화학공학 77위, 물리학 77위로 평가받는다. 또한 군인 친화적인 학교로 유명하다.[4]

인근의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샌디아 국립연구소, 미 공군 연구소와의 협동 연구가 많으며 해당 기관에 많은 학생들이 인턴, 포닥, 연구원 등으로 진출한다.

MATLAB이 개발된 곳이다.


2. 학부[편집]


현재 앤더슨 경영스쿨, 문리과대학, 교육대학, 예술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 건축·설계스쿨, 공과스쿨, 로스쿨, 의학스쿨, 행정스쿨, 유니버시티칼리지의 12개 대학·스쿨에서 다양한 학부·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215개 이상의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94개의 학사, 71개의 석사 37개의 박사 과정 학위를 포함한다. 다른 R1 기관들에 비하여 학생들의 교육에 상당히 중점을 두는 학풍을 가진다.

의학과 법학, 사진학, 예술, 약학 프로그램이 우수하다. 또한 전반적 공학 프로그램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 원자력공학, 전기공학, 컴퓨터공학, 화학공학, 환경공학, 토목공학, 생명 공학 대학원 과정이 우수하다.

UNM Health Sciences Center는 뉴멕시코 주에서 유일한 Trauma 1 등급 병원에 해당하며 40개 이상의 학위 및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3. 역사[편집]


1889년 2월 28일 뉴멕시코 영토 입법부(Territorial Legislature)에 의해 설립되었다. 첫 수업은 산타페에 있는 구 주 의사당 건물에서 35명의 학생과 2명의 교수진으로 시작되었다. 1893년 북쪽 메사 지역으로 이전했다.

20세기 초 Malcolm Ebright 총장 시절 급속도로 성장했다. 1910년까지 UNM은 1,000명 이상의 학생과 50명의 교수진을 보유했다.

UNM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계속 성장하여 학위 과정과 시설을 확장했다. 1964년 주에서 최초로 의과대학을 개설했다.

오늘날 UNM은 25,000명 이상의 학생이 재학 중인 대규모 종합 대학교다. 미국과 캐나다의 65개 선도 연구 대학으로 구성된 미국 대학 연구 협회의 회원이자 카네기 분류 기준 최상위 연구 기관인 R1으로 평가된다.

UNM은 뉴멕시코의 주요 경제 엔진이다. 10,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매년 10억 달러 이상의 경제 활동을 창출한다. UNM은 또한 다양한 박물관, 극장 및 기타 문화 시설을 갖춘 주에서 중요한 문화 중심지이다.



4. 스포츠[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_Mexico_Lobos_Primary_Mark.png
뉴멕시코 로보스
New Mexico Lobos

4.1. 미식축구[편집]


파일:external/www.younmconnect.com/UNM_Stadium_panorama.jpg
홈 구장인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통칭 브랜치 필드).

4.1.1. 전설의 감독[편집]


파일:external/f13ca1589a4ef376473ff0a233e6a95bfb62a193be89cf6af735df25583be00f.jpg
본교 역사상 최장기 재임 감독인 로키 롱 감독 (1999~2009 재임. 현재 본교 수비 코디네이터 겸 라인배커 코치로 재직 중.) - 라스베가스 볼 2회 진출 (2002, 03), 에메랄드 볼(현 포스터 팜즈 볼) 진출 (2004), 뉴멕시코 볼 우승 (2007)

4.1.2. 전설의 선수[편집]


파일:external/assets.sbnation.com/Paul_Smith.jpg
1970년대 덴버 브롱코스의 주전 수비엔드 폴 스미스

파일:external/usercontent2.hubimg.com/1172433_f260.jpg
테런스 마티스

파일:external/www.deliciousmusings.com/130526205350-brian-urlacher-single-image-cut.jpg
브라이언 얼라커

파일:external/laprp.com/471a243b9fa46.jpg
로빈 콜

4.2. 농구[편집]


파일:external/www.virtualalbuquerque.com/ThePit2.jpg
홈 구장인 더 피트.

4.2.1. 전설의 감독[편집]


파일:external/www.mvc-sports.com/BobKing.jpg
14대 감독 밥 킹 (1962~1972 재임. 2004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진출 (1968)

파일:external/goldenrankings.com/NormEllenbergerUNM.jpg
15대 감독 놈 엘렌버거 (1972~1979 재임. 2015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2회 진출 (1974, 78)

파일:external/www.abqjournal.com/d01_jd_14july_bliss5-250x300.jpg
18대 감독 데이브 블리스 (1988~1999 재임.) - NCAA 토너먼트 32강 진출 4회 (1996~99)

파일:external/espn.go.com/ncb_a_alford_gb1_600.jpg
21대 감독 스티브 알포드 (2007~2013 재임. 현재 네바다 대학교의 감독으로 재직중.) - NCAA 토너먼트 32강 진출 2회 (2010, 12)

4.2.2. 전설의 선수[편집]


파일:external/i.cdn.turner.com/Daniels-Mel-action.jpg-FK9H
멜 다니엘스

파일:external/i.cdn.turner.com/140321_wizards_fnl_01_250.png
마이클 쿠퍼

파일:external/static.guim.co.uk/Luc-Longley-005.jpg
룩 롱리

파일:external/media.thehoopdoctors.com/granger.jpg
대니 그레인저

4.3. 주요 라이벌[편집]




5. 주요 인물[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6:42:26에 나무위키 뉴멕시코 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매우 활발한 연구활동[2] 뉴멕시코 주에서 유일한 R1 대학이다.[3] 푸에블로, 나바호 족들이 대표적이다.[4] 이 지역 자체가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군사작전이 진행됐던 지역이며 미 공군 기지가 앨버커키에 위치하여 공항을 공유한다.[5] 교수. 196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산타페에서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