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Korean Air Flight 803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1989년 7월 27일
유형조종사 과실
발생 위치리비아 트리폴리
기종DC-10-30
운영사대한항공
기체 등록번호HL7328
출발지서울 김포국제공항
경유지태국 방콕 돈므앙 국제공항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
도착지리비아 트리폴리 국제공항
탑승 인원승객: 182명
승무원: 18명
사망자항공기: 75명
지상: 4명
생존자125명
1. 개요
2. 사고 경위
3. 뒷이야기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KE80301.jpg 파일:attachment/KE80302.jpg
파일:attachment/KE80303.jpg 파일:attachment/KE80304.jpg

1989년 7월 27일 서울발 대한항공 803편 DC-10-30 여객기가 트리폴리 공항에 접근 중 추락한 사고.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 200명 중 75명, 그리고 지상에 있던 4명 등 모두 79명이 숨졌다.


2. 사고 경위[편집]


파일:adfsd.jpg
▲ 사고 6개월 전 이타미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고기의 모습. 사진출처

사고기는 미국맥도넬 더글라스사가 1973년 9월에 제작했고 125번째로 생산하였으며[1] 이듬해인 1974년 11월에 지금은 사라진 태국의 민영 항공사였던 에어 시암(에어 시암 시절 기체 등록부호는 HS-VGE)에 인도되었으며# 1977년 2월 대한항공이 중고로 3,450만 달러에 도입해 운항 중이었던 DC-10-30 여객기(기체 등록부호 HL7328)였다.[2] 사고 이틀 전인 7월 27일 서울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하여 태국 방콕사우디아라비아 제다를 경유하여 리비아 트리폴리까지 운항하는 정기 여객편이었다.

사고기는 트리폴리 국제공항에 착륙하기 위해 접근 중 동쪽 활주로 끝 3.6km 전방에 있는 지상 장애물과 충돌한 뒤 대파되었다. 당시 활주로에는 짙은 안개가 끼어서 시정 거리가 240m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후 블랙박스 분석 등을 통해 원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사고기가 말썽이 많기로 악명 높은 DC-10이어서 기체 결함의 가능성을 의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 조종사가 악천후 속에서 무리하게 착륙을 시도한 것이 사고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당시 조종사는 기착지인 제다로부터 트리폴리 공항의 계기착륙장치가 고장난 상태였다는 항공 공시를 수신한 상태였다. 또 사고 20~17분 전 트리폴리 관제소로부터 시정이 800m에서 50m로 악화되어 있다는 기상정보를 제공받았으며 이에 따라 다른 항공기들은 인근 몰타 등으로 모두 회항한 상태였다. 이때는 시정이 1,600m 이상이 되어야 NDB와 육안에 의지하여 착륙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기 조종사들은 일단 NDB 방식으로 착륙을 강행하되 행여나 ILS가 작동하지 않을까 기대하며 고도 200피트(60.96m)까지 강하해 본 뒤 여의치 않으면 복행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ILS의 작동 여부와 활주로 확인 등에 신경쓴 나머지 계기판을 소홀히 하여 정상적인 강하 속도인 분당 700피트(213.4m)의 3배에 달하는 분당 2,000피트(609.6m)로 급강하하고 있었고 어어 하다가 복행할 기회를 놓친 채 지상물에 충돌해 버린 것이었다.

당시 기내에서는 "안 보입니다. 위험합니다", "좀더 내려가 보자. 그래도 안보이면 돌아가자" 등등의 대화가 오갔으며 사고 7.7초 전에는 GPWS가 작동하였다. 그러나 기장은 이미 무리한 착륙 강행으로 마음을 정하였으며 관성이 붙은 비행기가 재상승하기에는 너무 늦은 것으로 보였다.

어떻게 보면 8년 후 같은 회사에서 일어난 참사와 놀랄 만큼 흡사한 패턴이다. 이는 물론 조종사 개인의 잘못도 크지만 근본적으로 당시 대한항공의 기업 풍토에 문제가 많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고기의 조종사는 사고가 나기 10년 전인 1979년에도 방콕에 비가 퍼 붓자 다른 항공기들은 미얀마 등으로 회항했지만 착륙을 강행하여 무사히 착륙시킨 전력이 있었고 '역시 베테랑은 다르다'는 박수를 받았다던데... 그 때 규정을 어겨 가면서까지 착륙을 강행한 그를 징계했더라면 이 참사를 피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언론에서는 당시 군 출신이 대부분이었던 대한항공 조종사들이 민항기를 조종하면서도 군인 정신을 못 버렸다고 꼬집기도 했다. 군인이라면 당연히 임무가 자신의 안위보다 우선이어야겠지만 민항기 조종사들은 아무리 적은 위험이라도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거기에 803편 사고가 일어나기 8일 전 유나이티드 항공 232편 사고가 터진 탓에 DC-10의 대한 거부감이 더더욱 클 수밖에 없었다.


3. 뒷이야기[편집]


  • 803편의 승객과 승무원 199명 중 10명(리비아인 7명, 일본인 3명)을 제외하면 모두 한국인이었으며 대부분 현지에서 일하던 근로자들이었다.

  • 사고 기체의 조종사들은 귀국 후 업무상과실치사상 및 항공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 기소되었다. 제1심에서 김호준 기장금고 2년의 실형을 선고받았고 최재홍 부기장과 현규환 항공 기관사도 각각 집행유예 등 유죄를 선고받았으며 고등법원과 대법원을 거쳐 확정되었다. 이는 상당히 이례적인 일인데 왜냐하면 사고를 유발한 조종사들은 대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형법에 따른 처벌이 이루어지는 일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이 사고의 경우는 적지 않은 사상자를 냈음에도 조종사들이 생존했기 때문에 처벌을 받게 된 드문 사례이다.

  • 김윤규 전 현대아산 부회장(당시 현대건설 전무)이 리비아 발전소 건설 관련으로 전력청 장관을 만나는 출장을 가기 위해 사고기에 탑승했다가 생존했으나 한쪽 눈 주위 근육이 떨리는 후유증을 앓게 되었다. 당시 사고기에 현대건설 직원들도 타고 있었는데 김 전무가 "현대, 뛰어내려!"라고 외쳐서 직원들이 탈출했고 그 덕에 상당수가 생존할 수 있었다. 여담으로 정몽헌 회장이 2003년 8월 자살하면서 남긴 유서에 "당신 너무 자주하는 윙크 버릇을 고치세요"라는 말이 이를 두고 한 농담이었다고 한다.

  • 객실 승무원 출신으로 임원까지 승진한 걸로 유명한 이택금 전 대한항공 상무도 당시 사고기에 승무 중이었다. 당시 의무 실장으로 구조 작업에 참가한 사람에 따르면, 그녀 역시 부상을 당해 치료를 받아야 함에도 승객들과 부하 직원들에게 치료 순서를 양보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그녀는 평생 가장 잊지 못할 일로 이 사고를 꼽았으며 이후 비행 업무에 복귀하기까지 8개월이 걸렸다. 그나마도 이 사고에서 생존한 승무원 중에서는 가장 빠른 복귀였으며 끝내 복귀하지 못한 승무원도 상당수였다고 한다.


  • 탑승자 중 생존자인 이용수가 2019년 현장르포 특종세상에 출연해서 당시 이야기를 짤막하게 전했다.


4. 관련 문서[편집]


한국 조종사들의 전형적인 착륙 고집이나 권위주의(고압적 상하관계)가 영향을 끼친 사고.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202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201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 198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53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53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경산 열차 추돌사고

[ 197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제13호 침몰 사고

[ 194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8:47:06에 나무위키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리얼 넘버는 47887.[2] 「DC-10」어떤 기종인가(1989년 7월 28일자 매일경제신문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