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사고 원인
3. 군 당국의 날조와 희생자 명예훼손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93년 6월 10일 오후 4시 5분 경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4리 육군 다락대 훈련장에서 육군 수도군단 수도포병여단 예하부대인 제967 포병대대에 동원된 경기 인천/부천지역 예비군M114 155mm 곡사포로 실사격 훈련하다가 발생한 폭발 참사. 이 사고로 당시 현역장병 3명과 예비군 17명, 총 20명이 사망했다.[1]

1968년 예비군 창설 이래 예비군 관련 사고 중 최악의 인명피해를 기록한 사건이자 어처구니없는 소문이 따라다녀 지금까지도 종종 회자되며 한국 예비군 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대수술이 이뤄지는 한 계기가 됐다. 희생자 중 대부분은 인천직할시 거주 육군 포병 예비군이었다.

동 사고 직후 권영해 국방부장관이 사과문을 냈고 수도군단장, 수도포병여단장 등 장성급 지휘관이 보직해임으로 옷을 벗었으며 여러 장교들이 구속되고 해당 부대마저 해체됐다. 희생자들의 시신은 국군덕정병원 등 4곳에 안치됐다가 장례를 치르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2. 사고 원인[편집]


사고 당시 군 당국은 예비군들이 버린 담뱃불 때문이라고 보고 조사를 진행했으나 6월 11일 장병용 국방부 특별검열단장은 부상 예비군 등 목격자 4명의 진술 등을 종합하여 "이 사고는 고폭탄 사격을 위해 신관 결합 도중 폭발해 파편이 장약통을 관통 후 연소되어 근처 조명탄 2발까지 연속 폭발하여 일어난 참사이다"라고 밝혔다.[2] 포 사격훈련에는 엄격한 안전훈련이 필수인데 안전교육이 미비한 데다 통제장교는 포병이 아닌 보병 출신이었다. 대대장마저 중령이 아닌 소령으로 한 탓에 동년배인 부대원들을 지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참고 자료)


3. 군 당국의 날조와 희생자 명예훼손[편집]


이 사고에는 유명한 소문이 하나 있는데 그 내용이 실로 어처구니가 없다. 소문들이 그렇듯이 일관된 내용은 없지만 주된 줄거리는 예비군들끼리 "포탄에 충격을 주면 터진다/안 터진다"로 시비가 붙다가 한 명이 오함마로 포탄을 내리쳐 터졌다는 것이다.[3] 버전에 따라서는 예비군들이 을 먹었다든가, 술을 먹은 예비군 한 명이 남들 모르게 포탄에 함마질을 해 터졌다는 등의 내용이 들어가기도 한다. 또는 조교의 지시를 무시하고 지들끼리 포탄을 땅바닥에 놓고 발로 차대면서 굴린 후에 그 포탄을 약실에 장전하고 격발시켰다가 터졌다는 소리도 있다. 이러한 내용은 너무나 널리 퍼져 정설처럼 취급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확인되지 않은 소문에 따르면 이러한 내용이 군의 사고사례로까지 소개된 적이 있다고...[4] 그런데 이 사고사례는 정확히 말하자면 국군이 아니라 러시아군이다.

당연히 예비군들끼리 포탄을 오함마로 가격한 일은 없으며 실제로는 포탄을 추진시키는 화약인 장약에 어떤 이유로 불이 붙어 큰 화재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근처의 포탄이 폭발한 것으로 되어 있다. 관련 기사 도리어 군에서 교육할 때 괜히 예비군들을 겁주고 기를 꺾으려고 헛소문을 퍼뜨린다. 하지만 자신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유언비어고인드립이고 군의 탄약관리능력 및 사고처리에 대한 무능함을 감추기 위한 거짓말이다. 속지 말자. 정훈장교들 중 하나가 위의 구에서 교육 도중에 저 내용을 언급하면 꼭 항의하거나 최소한 민원은 넣어 버리자.


4. 기타[편집]


  • 이러한 포탄들은 니트로글리세린처럼 충격에 민감하지도 않으며 회전판 등의 안전장치가 있어 포구를 통과하며 일정 회전수 이상 포탄이 회전되기 전에는 쉽게 폭발하지 않게끔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기관 등 기폭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경우 그 작동 반응은 결국 "물리적 충격"이고 열에 약한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취급에는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1개 포에 너무 많은 인원이 붙어 있다가 몰살하여, 당시 예비군 훈련용 포가 부족한 게 아닌가 하고 시끄러웠다. 거의 2개 포의 인원이 1개 포에 붙어 있었다고 한다.

  • 현재 예비군 훈련장에서는 실탄 사격을 제외한 모든 폭약, 포탄(수류탄, 크레모아 등)은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훈련용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아직 예비군에 가지 않은 현역, 미필 청년, 청소년들은 지레 겁먹을 필요 없다.


5. 둘러보기[편집]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202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201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 198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53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53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경산 열차 추돌사고

[ 197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제13호 침몰 사고

[ 194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문서가 있는 한국사상 군 사건사고 목록
[ 펼치기 · 접기 ]

고조선~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2010년대
2020년대
A: 육군 관련 사건 | C: 쿠데타 | D: 국방부 및 직할부대 관련 사건 | F: 공군 관련 사건 | I: 외국군 관련 및 연루
N: 해군 및 해병대 관련 사건 | Na: 국가조직 연루 및 개입 | Nk: 북한군 관련 및 연루 | P: 민간인 피해 및 연루 | ?: 사건 경위 불명
관련 문서: 대한민국 국군/사건 사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3:51:00에 나무위키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초 사망자는 19명으로 알려졌으나 사고 일주일 후인 6월 17일 폭발현장 중심부에서 심하게 훼손된 예비군 박 모씨 사체의 신원이 확인됨으로써 이 사고의 사망자는 총 20명으로 늘었다.[2] 영상에 보이는 포탄 앞쪽의 은색 원뿔 모양이 신관이고 뒤쪽의 흰색 원통이 장약이다. 뇌관 조작 없이 이 부분들에 원인불명의 화재가 발생하여 사건이 벌어진 것.[3] 같은 내용에 신관으로 바뀐 버전도 있다. 내려찍으면 신관 안전장치와 상관없이 터지냐 마냐로 싸웠다고.[4] 물론 신관은 포구초속, 회전값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야 작용된다는 교육과 함께... 모부대의 사고사례집에 버젓이 등록되어 있다. 헌병에서 사용하는 포병훈련 안전교육, 예비군훈련 안전교육 등의 자료에서도 빠지지 않고 언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