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참사
발생일2000년 10월 27일 18시 50분 ~ 19시 경
발생 위치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대론리
88올림픽고속도로 옥포방향 약 114km 남장수IC 인근

유형추월 과정에서 생긴 추돌
원인트럭 운전 기사의 무리한 추월
인명피해사망21명[1]
부상7명
재산 피해-

1. 개요
1.1. 들어가기 전에 : 왕복 2차로 고속도로의 악명
2. 사고 경위
3. 사고 원인
4. 사고 여파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국민일보 기사

당시 MBC 뉴스보도 1, 당시 MBC 뉴스보도 2

당시 KBS 뉴스보도 1, 당시 KBS 뉴스보도 2, 당시 KBS 뉴스보도 3, 당시 KBS 뉴스보도 4

2000년 10월 27일 18시 50분 ~ 19시경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대론리 88올림픽고속도로 대구방향 약 114km 지점 남장수 나들목 인근에서 광주 방향으로 주행 중이던 대형 트럭[2]이 앞지르기를 하다가 쏠림 현상으로 반대 방향인 대구 방향 차로 침범 후 반대 방향 차로를 주행 중이던 버스[3]와 추돌한 후 버스를 뒤따르던 승용차가 버스에 충돌해 버스 기사, 승객, 트럭 운전 기사, 버스를 뒤따르던 승용차 운전자를 포함해 2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한 대참사이다. 참고로 차량 3대 모두 운전자가 사망하였다.

트럭과 추돌한 버스는 지리산 인근 지역[4]에서 출발해 대구광역시로 가던 유림관광 소속 대우 BH 관광버스로, 단풍 관광을 다녀오던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신원교회의 신도들로 알려졌다.


1.1. 들어가기 전에 : 왕복 2차로 고속도로의 악명[편집]


2000년에는 88올림픽고속도로의 확장공사 계획이 잡혀 있지 않았다. 이 시기의 영동고속도로는 횡계 - 강릉 구간을 제외하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고 횡계 - 강릉 구간은 왕복 4차로 확장에 이설하는 형태로 확장 공사 중이었다. 영동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동해고속도로도 이와 연계해서 왕복 4차로 확장 및 이설 계획이 잡혀있었지만 88올림픽고속도로는 왕복 2차로 고속도로 특유의 문제가 있는데도 확장공사 계획이 잡혀 있지 않았다.

이 사고가 발생하기 2개월 전에도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성기대교 구간에서 대구 방향으로 가던 통학버스와 탑차가 충돌해 탑차 운전자와 전남대학교 학생 1명이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고 한다.


2. 사고 경위[편집]


2000년 10월 27일, 건설용 철제 빔을 싣던 대형 트럭이 88올림픽고속도로 광주방향으로 운행 중 남장수 나들목 구간을 지나기 전 앞서가던 차량을 추월하기 위해 중앙선을 침범 후 원래 차로로 복귀하는 순간 쏠림 현상으로 다시 중앙선을 침범해 대구방향으로 주행 중이던 관광버스와 충돌하고 관광버스를 뒤따르던 승용차도 정면 충돌하였다. 이후 트럭은 궁동천변으로 추락하여 앞모습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관광버스 역시 트럭과 마찬가지로 궁동천변으로 추락하여 뒷모습만 남긴 채 파괴되었다.

트럭에 실려있던 건설용 철제빔 하나의 무게가 수백kg에 20여 개였는데 이로 인한 충격으로 버스 좌석이 버스 밖으로 튀어나왔고 승객 상당수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 버스 밖으로 튀어나온 사망자도 있었다.


3. 사고 원인[편집]


사고 원인은 쌍용 SY트럭 기사가 곡선 구간에서 무리한 추월을 하다 쏠림현상으로 반대 방향인 대구방향 차로 침범 후 반대 방향 차로를 주행 중이던 대우 BH버스와 추돌 후 추락[5]했으며 추돌한 버스를 뒤따르던 승용차도 버스와 충돌했다. 도로 상태가 왕복 2차로 고속도로라서 중앙분리대 없는 고속도로에서 맞은편 차량이 없을 경우 추월 시도를 하다 맞은 편 차량과 충돌하기 쉬운 사고가 일어나는 환경이면서 곡선 구간에서 무리한 추월을 한 것이 사고 원인이다.


4. 사고 여파[편집]


이 사고 이후 언론사에서 88올림픽고속도로의 문제점과 관련된 언론보도를 하면서 전구간이 왕복 4~6차로로 확장되어 광주대구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바뀔 때까지 88올림픽고속도로를 죽음의 도로, 살인도로, 마의 도로, 44(死死)내림픽저속도로로 부를 정도였다. 2006년 시종점과 가까운 구간인 고서JC~담양 구간, 동고령IC(확장 이전 성산IC)~옥포JC 구간을 왕복 4~6차로로 확장개통한 후에도 확장공사가 되지 않자 88올림픽고속도로가 지나는 지역민들이 모여 만든 88올림픽고속도로의 개선을 촉구하는 단체에서는 2007년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할 정도였다. 88올림픽고속도로의 개선을 촉구하는 단체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한 이후인 2008년에 확장 및 선형개량이 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 대한 왕복 4차로 확장 및 개량공사가 착공되었으며 2015년 12월에 왕복 4~6차로의 확장공사가 완공되었다.


5. 둘러보기[편집]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202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201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 198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53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53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경산 열차 추돌사고

[ 197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제13호 침몰 사고

[ 194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1] SY트럭 운전기사, BH버스 운전기사, 무쏘 운전자 포함[2] KBS, MBC의 영상에서 알 수 있듯이 회색과 주홍색 데칼을 보면 쌍용 SY트럭임을 알 수 있다.[3] KBS, MBC의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버스 뒷면의 모습, 각진 계기판의 모습으로 보아 각진 대우 BH임을 확인할 수 있다.[4] 전라북도 남원시 또는 전라남도 구례군으로 추정[5] 버스도 트럭과 추돌 후 추락하여 뒷모습만 멀쩡했고 앞모습은 처참하게 박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