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인

덤프버전 :

동남아시아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오스트로네시아족
[ 펼치기 · 접기 ]

민족
대만 원주민부눈족 | 아미족 | 아타얄족 | 파이완족
말레이-폴리네시아인말레이계다약 | 따오족 | 마두라인 | 마카사르인 | 말라가시인 | 말레이인 | 모로인 | 미낭카바우 | 바탁 | 반자르인 | 반튼인 | 발리인 | 부기스인 | 부퉁인 | 비콜인 | 비사야인 | 사마 바자우 | 사삭인 | 순다인 | 숨바와인 | 아체인 | 오랑 라우트 | 일로칸인 | 자바인 | 찌아찌아인 | 참족 | 카다잔두순 | 카팜팡인 | 타갈로그인 | 테툼인
멜라네시아인*니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인 | 카낙인 | 피지인
미크로네시아인나우루인 | 마샬인 | 차모로인 | 추크인 | 카핑인 | 캐롤라인인 | 키리바시인 | 팔라우인
폴리네시아인니우에인 | 라파 누이인 | 마르키즈인 | 마오리족 | 사모아인 | 아누타족 | 타히티인 | 토켈라우인 | 통가인 | 투발루인 | 하와이 원주민
국가 및 지역
독립국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파일:괌 기.svg | 파일:태국 국기.svg 대 빠따니 |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 |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왈리스 푸투나 | 파일:이스터 섬 기.svg 이스터 섬 | 파일:코코스 제도 기.svg 코코스 제도 |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 파일:토켈라우 기.svg 토켈라우 |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언어 및 문화
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
신화말레이 신화 | 멜라네시아 신화 | 미크로네시아 신화 | 폴리네시아 신화
첨자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쓰는 멜라네시아인에 한함



크라다이계 민족
[ 펼치기 · 접기 ]

민족
크라흘로족 | 라치족 | 라하족 | 보앙족
캄수이동족 | 수족 | 무로족 | 모남족
따이북따이북부 좡족 | 포의족 | 사엑족 | 냐우족 | 요이족
중앙따이남부 좡족 | 따이족(베트남) | 눙족
남서따이타이인 | 라오인(이싼족)| 샨족 | 태족 | 아홈족 | 북타이족 | 적타이족 | 백타이족 | 흑타이족 | 산짜이족
기타 크라다이여족 | 표인 | 임고인 | 가무인 | 채산요인
국가 및 지역
독립국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파일:중국 국기.svg 광시 좡족 자치구 | 파일:샨주기.svg 샨주 | 파일:태국 국기.svg 이싼 | 파일:태국 국기.svg 란나
언어 및 문화
언어크라다이어족
신화타이 신화
사상범타이주의





중국티베트계 민족
[ 펼치기 · 접기 ]

민족
한족(한족)강서인 | 강소인 | 객가 | 광동인 (마카오인 | 홍콩인) | 산동인 | 사천인 | 산서인 | 오월인 | 하북인 | 호남인 | 후이족 (둥간족)
민인민남인 (복건인 | 조주인 | 해남인 | 뇌주인) | 민동인 | 민북인 | 보선인 | 소장인
백족
티베트버마서 티베트버마티베트인 (캄파 | 암도와 | 부탄인 | 셰르파 | 발티인 | 라다크인 | 시킴인 | 까체족) | 네와르인 | 키라티인 | 마가르족 | 문파족 | 샤르촙인 | 타망족 | 샹슝족
중앙 티베트버마나가 | 친족 | 쿠키인 | 퓨족 † | 미조인 | 트리푸리족 | 메이테이족 | 경파족 | 음루족 | 가로족 | 보로족 | 착족
동 티베트버마버마족 | 카렌족 (카렌니) | 라카인족 | 강족 | 보미족 | 하니족 | 아카족 | 탕구트 † | 라후족 | 이족 | 율속족 | 나시족 | 모쒀족 | 아창족 | 노족 | 기낙족 | 독룡족 | 토가족 | 목아인 | 얼수족 | 리주족
기타 티베트버마레프차족 | 타니족 (니시족 | 아디족 | 납파족) | 롭족 | 백마인 | 저족
국가 및 지역
독립국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파일:Seal_of_Nagaland.svg.png 나갈랜드 | 파일:라다크.png 라다크 | 파일:마니푸르.png 마니푸르 | 파일:미조람.png 미조람 | 파일:시킴.png 시킴 | 파일:아루나찰프라데시.png 아루나찰프라데시 | 파일:트리푸라.png 트리푸라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특별행정구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특별행정구 | 파일:중국 국기.svg 닝샤 후이족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티베트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칭하이성 | 파일:중국 국기.svg 쓰촨성 서부 | 파일:길기트 발티스탄 주기.png 발티스탄 | 파일:라카인주 주기.svg 라카인 주 | 파일:카친주 주기.svg 카친 주 | 파일:친주 주기.svg 친 주 | 파일:카야주 주기.svg 카야 주 | 파일:카인주 주기.svg 카인 주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치타공 주
사회문화
언어중국티베트어족
신화중국 신화 | 티베트 신화
외교, 사상중화사상 | 중화민족론 |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독립운동




1. 개요
2. 상세
3. 외양


1. 개요[편집]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 반도, 필리핀, 인도네시아동남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집단이다. 국가 단위로는 미얀마인, 태국인, 베트남인, 라오스인, 캄보디아인, 말레이시아인, 브루나이인, 인도네시아인, 필리핀인, 싱가포르인, 동티모르인 등이 있다. 동남아시아는 역사적으로 국가 체계가 뒤늦게 형성된 곳이 많고, 심지어 외부 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형성된 곳도 있다 보니, 같은 국가 안에서도 적지 않은 수의 다양한 민족이 존재한다.


2. 상세[편집]


피부색으로 인종 구분을 하는 것은 근대에 주먹구구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정치·사회적인 구분에 가까웠고, 과학적인 분류가 아니었다. 그리고 비하의 의도가 섞인 개념이기도 했다. 동남아시아인은 한때 갈인으로 분류된 적이 있었고, 갈인에는 서아시아인북아프리카인이 포함되기도 했다. 또한 태평양 흑인이라는 분류도 있어서 동남아시아인이 태평양 흑인으로 분류된 적도 있었다. 황인이라는 용어도 마찬가지여서 황인에는 아메리카 원주민, 폴리네시아인, 중앙아시아인, 남아시아인, 터키인, 핀란드인, 아제르바이잔인 등이 포함될 때도 있었다. 현대 학계에서는 인종 관련해서 갈인, 태평양 흑인, 황인이라는 용어는 더는 사용하지 않는다. 기준이 없고 실체가 없기 때문이다.

유전자검사 결과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인은 중국 강남에서 이주해온 동아시아인동남아시아 원주민의 혼혈이다.#[1]

동남아시아 지역의 토착 인종은 오스트랄로이드이다. 동남아시아인에 대한 외양적 스테레오타입은 대부분 이들의 특징에서 비롯한다.

동남아시아인은 하나의 인종이 아니고 한 나라 내에서도 여러 인종이 섞여있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자바인뉴기니인,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인오랑 아슬리, 필리핀의 필리핀인네그리토 등이 있다. 또한 미얀마인태국인인도차이나 반도(특히 북부 지역)의 민족들은 중국 최남부 지역에서 이주한 집단이 오스트랄로이드계 토착민과 융합하여 탄생한 것이다. 그리고 말레이 반도·제도의 민족들은 인도차이나 반도와 남아시아·서아시아 등지에서 유입된 집단과 오스트랄로이드 토착민이 융합하여 탄생했다.

동남아시아에서 상류층은 화교(중국계)가 다수를 차지한다. 나라에 따라선 정치적 영향력도 강하고[2], 경제는 동남아시아 전반적으로 화교의 입김이 매우 크다. 다만 이렇다보니 토착민과 화교간 갈등이 벌어지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중국인과 함께 많이 볼 수 있는 체류 외국인들이다. 주로 노동자유학생, 국제결혼 등으로 온다.


3. 외양[편집]


와 체구가 작다는 인식이 있다. 이는 유전적 요인도 있고[3], 이에 더해 성장기에 필요한 단백질, 탄수화물 등 영양 섭취 미비나 생활 체육 미비 등의 환경적 요인도 있을 수 있다. 인종별 신장을 알아보기 위해 주로 인용되는 자료가 미국 중산층 집안에 태어난 직후 입양된 아이들의 인종별 평균 신체 조사인데, 해당 조사에서 동남아 출신 입양인이 유난히 신체적으로 왜소하게 나오는 것이 유전적인 요인 역시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대체로 화교, 동아시아계가 아닌 일반적인 동남아시아인은 붉은 갈색빛에서 어두운 빛을 띠는 피부색에 진한 이목구미에 작은 키를 지녔다. 펑퍼짐한 들창코가 많고, 입술이 두껍다는 식의 인식도 있는데, 보통 동남아시아인에 대한 외양적 인식은 대부분 토착 인종인 오스트랄로이드말레이인의 특징에서 기인한 것이다. 다만 이런 묘사가 자칫 잘못하면 일각에선 인종차별적 언행으로 비칠 수도 있다.

토착민들의 피부색과 달리 동남아에서 연예계는 주로 밝은 피부를 가진 화교/혼혈계+상류층이 절대 주류다.

인도차이나 반도 북부 지역의 거주민은 화교의 영향 외에도 과거 중국 남부에서 밀려온 이들이 터를 잡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때문에 외양적으로 동아시아인과 비슷한 사람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반대로 말하면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동남아시아인의 스테레오타입적인 외모가 강해진다. 예를 들어 베트남은 북부의 킨족이 토착 세력인 참족 등을 정복하면서 남하하여 이들과 혼혈된 국가이다.



[1]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등 주로 인도차이나반도에서 동아시아인의 형질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모발도 직모가 가장 많다.) 볼 수 있다. 반면,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동티모르, 말레이시아 등 도서 지역은 오스트랄로이드의 형질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모발이 흑인정도로 곱슬인 경우도 드물지 않을 정도다.)[2] 지도자급만 따져도 필리핀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베니그노 아키노를 비롯한 아키노 가문, 로드리고 두테르테 등이 화교 가문 출신이고, 탁신 친나왓, 잉락 친나왓 등이 중국계 출신이다. 다만 모든 동남아 지역의 나라가 다 그런 건 아니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 같은 경우엔 화교들이 대대적인 탄압을 받은 바 있다. 브루나이말레이시아도 정치적으로 화교 세력이 큰 위세를 떨치진 못하고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정치를 제외한 다른 분야에서는 화교들의 활동이 크게 두드러지는 편이다.[3] 동남아의 인종은 네그리토와 중국 남부에서 이동한 것으로 밝혀진 오스트로네시아인 그리고 주로 중국 남부에서 이동한 일부 화교가 섞인 형태인데, 네그리토와 오스트로네시아인, 그리고 중국인들이 키가 작은 편이다.[4] 베트남 북부, 태국 치앙마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