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륜태자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갈문왕
사요 갈문왕허루 갈문왕마제 갈문왕일지 갈문왕
지소례 갈문왕아도 갈문왕세신 갈문왕구도 갈문왕
이칠 갈문왕내음 갈문왕복승 갈문왕만천 갈문왕
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법흥왕
파호 갈문왕습보 갈문왕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입종 갈문왕
진평왕선덕여왕
진정 갈문왕진안 갈문왕문흥 갈문왕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추존 국왕
세조왕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문흥왕흥무왕
비 왕족
개성왕현성왕신영왕흥평왕
명덕왕혜충왕
태자
익성왕선강왕
태자 / 갈문왕
혜강왕성덕왕의공왕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선성왕흥렴왕성무왕성희왕
의흥왕신흥왕
비정통 국왕
김인문
괴뢰왕
김헌창
장안왕
김범문
장안왕위 요구자
박언창
후사벌왕








동륜태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
박남해박유리박일성김알지
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
박파사박지마석골정석날음
태손

석조분
내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진흥왕무열왕
석우로김눌지김동륜김법민
문무왕신문왕성덕왕성덕왕
김정명김이홍김중경김승경
효성왕경덕왕원성왕원성왕
김헌영김건운김인겸김의영
원성왕소성왕헌덕왕
김준옹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흥덕왕신무왕문성왕경문왕
김충공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진성여왕신덕왕경순왕
김요박승영김일










신라의 태자
동륜태자 | 銅輪太子
출생
(음력)
550년 전후[1]
신라 금성
사망
(음력)
572년 3월
신라 금성
능묘미상
재위기간
(음력)
신라의 태자
566년 ~ 572년 3월 (6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김씨
동륜(銅輪)
법명전륜(轉輪)
부모부왕 진흥왕
모후 사도부인
형제자매동생 김사륜, 김구륜
배우자만호부인 김씨
자녀아들 김백정, 김백반, 김국반
종교불교
별호동륜대왕(銅輪大王)
동륜태자(銅輪太子)[1]
작위왕태자(王太子)
골품성골(聖骨)

[1] 삼국유사 왕력편에서의 명칭.
1. 개요
2. 생애
3. 같이보기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라왕족. 신라 24대 왕 진흥왕사도태후의 장남이자 25대 진지왕의 형, 26대 진평왕의 아버지.

이름은 4명의 전륜성왕 중 하나인 동륜왕을 염두에 두고 지은 이름이다. 마찬가지로 동생 김사륜(진지왕)의 사는 순우리말 를 음차한 것, 즉 동륜왕 다음인 철륜왕을 의미한다. 이 시기 신라는 불교에서 왕족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가 흔했다.


2. 생애[편집]


진흥왕이 신라의 영토를 확장해 포석을 닦아두고 장남으로서 태자에 책봉되어 탄탄대로를 걷는가 싶었지만 572년, 아버지보다 먼저 요절해버렸다. 사망 당시 많아봐야 20대 초반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 진흥왕은 아직 겨우 38세였는데, 말년에 불교에 심취해 머리를 깎고 승복을 입은 것이나 진흥왕 본인도 몇년 못 가 요절[2]한 것도 태자를 너무 빨리 보낸 충격 탓일지도 모른다.

고모 만호부인과의 사이에서 이미 김백정, 김백반, 김국반 세 아들이 있었지만 너무 어려서인지 결국 진흥왕의 차남 사륜이 왕위에 올랐는데 그가 바로 진지왕이다. 하지만 색만 밝히고 방탕하게 횡음했기에 5년만에 폐위당하고, 결국 동륜태자의 아들 김백정이 진평왕으로 즉위하게 된다. 왕위가 동륜태자의 동생에게 잠시 갔다가 다시 동륜태자 계열로 돌아온 셈.

위서일 확률이 높은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위 사망 과정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이 적혀있는데, 아버지 진흥왕의 후궁 보명궁주와 눈이 맞아 몰래 보명궁을 들락거렸는데 담을 넘는 중 그만 에게 물려서(...) 크게 다쳐 얼마 뒤 죽었다고 한다.

골품제에서 성골의 기준이 동륜태자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 실제로 골품제에 대해서는 6세기 이후에 대한 기록부터 적혀있고 동륜태자의 자손인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까지가 성골, 동생인 사륜의 후손인 태종 무열왕을 비롯한 다른 왕족들은 진골이니만큼 유력한 가설로 지목되고 있다.

3. 같이보기[편집]




4.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1:31:14에 나무위키 동륜태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버지 진흥왕(534년 출생)의 생년을 역산[2] 동륜태자가 죽고 4년 뒤인 576년에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