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충공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갈문왕
사요 갈문왕허루 갈문왕마제 갈문왕일지 갈문왕
지소례 갈문왕아도 갈문왕세신 갈문왕구도 갈문왕
이칠 갈문왕내음 갈문왕복승 갈문왕만천 갈문왕
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소지 마립간법흥왕
파호 갈문왕습보 갈문왕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입종 갈문왕
진평왕선덕여왕
진정 갈문왕진안 갈문왕문흥 갈문왕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추존 국왕
세조왕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문흥왕흥무왕
비 왕족
개성왕현성왕신영왕흥평왕
명덕왕혜충왕
태자
익성왕선강왕
태자 / 갈문왕
혜강왕성덕왕의공왕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선성왕흥렴왕성무왕성희왕
의흥왕신흥왕
비정통 국왕
김인문
괴뢰왕
김헌창
장안왕
김범문
장안왕위 요구자
박언창
후사벌왕








선강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라의 왕자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펼치기 · 접기 ]
문무왕 · 김인문 · 김문왕 · 김노차 ·
김인태 · 김지경 · 김인문
추존
흥무왕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추존
개성왕
추존
현성왕
신영왕(김의관)
추존
신영왕
흥평왕(김위문)
추존
흥평왕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애장왕 · 김체명
정교부인의 남편 · 왕자 · 심지
추존
혜강왕
태자
추존
흥렴왕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
박남해박유리박일성김알지
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
박파사박지마석골정석날음
태손

석조분
내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진흥왕무열왕
석우로김눌지김동륜김법민
문무왕신문왕성덕왕성덕왕
김정명김이홍김중경김승경
효성왕경덕왕원성왕원성왕
김헌영김건운김인겸김의영
원성왕소성왕헌덕왕
김준옹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흥덕왕신무왕문성왕경문왕
김충공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진성여왕신덕왕경순왕
김요박승영김일





[ 펼치기 · 접기 ]

진덕왕조중시죽지
무열왕조중시문충 | 김문왕
문무왕조중시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신문왕조중시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효소왕조중시원선 | 당원 | 순원
성덕왕조중시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효성왕조중시의충 | 신충
경덕왕조중시유정 | 대정
시중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혜공왕조시중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원성왕조시중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소성왕조시중충분
애장왕조시중수승 | 김헌창
현덕왕조시중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흥덕왕조시중김우징 | 윤분 | 김명
희강왕조시중이홍
민애왕조시중헌숭
문성왕조시중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경문왕조시중위진 | 인흥
헌강왕조시중예겸 | 민공
정강왕조시중준흥
효공왕조시중계강 | 효종
경명왕조시중유렴 | 언옹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신라 제31대 상대등
신라의 갈문왕 | 흥덕왕의 태자
신라 추존 국왕
선강왕 | 宣康王
출생
(음력)
연대 미상[1]
신라
사망
(음력)
822년 4월(?)[2] / 835년 추정
신라
재임기간
(음력)
제31대 상대등
822년 1월 ~ 822년 4월 (4개월)
재위기간
(음력)
신라의 태자[3]
연대 미상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김씨
충공(忠恭) / 충효(忠孝) / 중공(重恭 / 仲恭)
부친김인겸
형제김준옹, 김언승, 김수종, 김제륭(?)
자녀아들 김명
문목부인[1], 정교부인[2], 조명부인[3]
시호선강태자(宣康太子)
선강대왕(宣康大王)
별호충공 갈문왕(忠恭 葛文王)
골품진골(真骨)
직위상대등(上大等)
태자(太子)
갈문왕(葛文王)

[1] 희강왕의 왕비.[2] 김균정의 부인, 신무왕의 어머니/장모(?) [3] 김균정의 부인, 헌안왕의 어머니
1. 개요
2. 신라 하대 왕위 쟁탈전의 중심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라의 상대등이자 추존 국왕.

혜충태자 김인겸의 4남이며, 민애왕, 문목부인, 정교부인, 조명부인 4남매의 아버지이다. 아내는 여동생[4]귀보부인이다.

봉암사지증대사탑비에 의하면 시호는 선강태자(宣康太子)이며, 흥덕왕(제42대)이 즉위하자 태자로서 감무를 보았다고 했다. 다만 822년 사망설을 생각하면 그것은 아니게 된다. 만약 835년 사망설이 맞다면 그는 흥덕왕 다음 왕위 계승자로 있었다는 것이 말이 된다. 무엇이 되든 형인 흥덕왕보다도 일찍 사망한 것으로 보이며, 흥덕왕 사후 그의 아들인 김명을 배제하고 김제륭김균정 사이에서 왕위 쟁탈전이 벌어졌는데, 최종적으로 김제륭이 희강왕(제43대)으로 등극했다.

삼국사기》 <본기>에는 제41대 헌덕왕 13년인 821년에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듬해인 822년 김헌창의 난을 진압하는데 참여하는 것은 물론 <녹진 열전>에서 822년 상대등에 임명된 것으로 나온다. 《삼국사절요》에서는 난이 끝난 822년 4월, 사망했다고 했는데 이는 상대등에 임명된 직후 병을 앓았다는 설명과 일치하므로 이게 옳은 것으로 보인다. 녹진의 말을 듣고 시름시름 앓던 병을 떨쳐내긴 했으나 결국 회광반조였던 모양.


2. 신라 하대 왕위 쟁탈전의 중심[편집]


특이점이라면 이 김충공의 자손들이 신라 하대 왕위 쟁탈전의 중심을 이룬다는 점에 있다. 세 딸들이 김예영의 자손이 되는 희강왕과 김균정의 부인들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김인겸계 왕실이 김예영계와 손을 잡으면서 혼인을 통해 돈독한 관계를 맺고자 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래서 김예영의 장남 김헌정의 아들인 희강왕 김제륭이 혜충태자 김인겸의 양자가 되어 들어오게 되고, 희강왕에게 김충공의 딸 한 명이, 그리고 김예영의 차남인 김균정에게는 김충공의 딸 두 명이 동시에 시집을 가면서 두 집안의 관계를 돈독히 하고자 했을 것이다. 물론 왕위라는 것 하나에 그게 다 어그러저버린 것이지만...

또한 김충공의 아들 김명도 역시 이 왕위 쟁탈전에 끼어들어가서 기어코 왕위에 오르지만(제44대 민애왕) 얼마 못 가 죽임을 당하게 되면서 그의 직계는 사실상 끊기게 된다.


3.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1] 바로 위의 형인 흥덕왕이 777년생이므로 김충공 또한 그로부터 멀지 않은 시점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아들인 민애왕 김명이 817년생이므로 40대에 아들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2]삼국사기》에는 821년에 사망했다고 적혀 있지만 《삼국사절요》에는 1년 뒤인 822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연호의 원년을 언제로 잡느냐로 인해 1년 정도 사건이 차이나는 일은 비일비재했다.[3]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의 기록.[4] 당연하겠지만 이복일 가능성이 크다. 신라 왕실 및 고려 초 왕실의 경우 이런 일은 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