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림 이사금

덤프버전 :





신라 제15대 국왕
기림 이사금 | 基臨 尼師今
출생
(음력)
연대 미상
사로국 서라벌
사망
(음력)
310년 6월
사로국 서라벌
능묘미상
재위기간
(음력)
제15대 이사금
298년 12월 ~ 310년 6월 (12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석씨
기림(基臨) / 기립(基立)
부모부친 석걸숙
왕호기림 이사금(基臨 尼師今)
기립 이사금(基立 尼師今)


1. 개요
2. 업적
3. 《삼국사기》 기록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라의 제15대 군주. 칭호는 이사금.

제14대 유례 이사금부터 석씨 왕실의 마지막 왕이었던 제16대 흘해 이사금까지 세 명의 자세한 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제13대 미추 이사금 이후에는 김씨가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높고, 이후 석씨 왕실이 무너지며, 김씨가 왕실을 차지하는 과정에서 석씨 왕실의 계보가 실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기림 이사금은 제11대 조분 이사금의 아들, 손자, 증손자라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나이 차이로 보아 아들일 가능성은 적고, 일반적으로 《삼국유사》가 석걸숙을 누락한 것으로 본다.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는 설을 따르면 아버지는 이찬걸숙인데 《삼국사기》에는 석걸숙이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는 주장도 함께 싣고 있다.


2. 업적[편집]


300년 정월 와 화친하고, 비열홀에 순행해 노인과 빈민들을 위문하며 식량을 하사했다. 비열홀이 현재 비정되고 있는 함경남도 안변군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들고 있는데 경상도 지역도 제패하지 못한 3~4세기 신라의 상태에서 그 정도 북쪽까지 올라갈 능력이 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무튼 기록상으로는 지금의 강원도 춘천시 근방인 우두주에 이르러 태백산을 바라보며 제사를 지냈고, 그 해 음력 3월 낙랑대방 두 나라가 항복해왔다고 한다. 다만 낙랑과 대방이 이 시기에 항복해왔다는 기록은 다소 믿기 어렵다. 신빙성을 찾아보겠다고 생각하고 봐도 낙랑과 대방의 항복 기사는 진짜 항복이 아니라 고구려에 대응하기 위한 수교 요청일 가능성이 높은데[1] 바로 직전에 고구려와 맞대고 있는 지역인 비열홀에 순행했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신라가 비열홀까지 갔을 가능성도 드물어서 기사 자체에 의문이 들기도 한다.

307년, 탈해 이사금(제4대)이 '계림'으로 바꿨던 국호를 다시 '신라'로 되돌렸다. 신라로 확정한 것은 후대의 지증왕(제22대)때의 일이다. 서라벌음차인 신라, 사로, 사라 등이 왔다갔다하고 있었고 국호를 확정했다는 언급은 지증왕대에 나온다.

기림 이사금의 행적은 동시대의 다른 신라 왕들과 비교해봐도 기이하며, 위와 같이 시기적으로 모순된 기록이 자주 나타나는 것 때문에[2] 미추 이사금(제13대), 유례 이사금(제14대)과 더불어 후대의 기록이 앞당겨졌다는 설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기림 이사금이 충주 고구려비(480년 건립 추정)에 나오는 매금 (忌)와 동일인일 가능성이 있다.

북사》와 《수서》에 기록된 다소 뜬금없는 신라 건국 신화와 연관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 기록에 따르면 신라는 조위의 장수 관구검과의 비류수 전투에서 패배한 동천왕을 따라 옥저로 이동한 고구려의 유민이 훗날 동천왕이 고구려로 돌아갈 때 돌아가지 않고 남아 세운 나라로, 백제 사람을 왕으로 세웠으며 한 / 예 / 옥저 / 불내에 걸쳐 있다가 바다를 건너와 신라를 건국했다고 전한다.


3. 《삼국사기》 기록[편집]


삼국사기(三國史紀)
[ 본기(本紀) ]

1권 「신라 1권 (新羅 一)」2권 「신라 2권 (新羅 二)」
박혁거세 · 박남해 · 박유리 · 석탈해 · 박파사 · 박지마 · 박일성박아달라 · 석벌휴 · 석내해 · 석조분 · 석첨해 · 김미추 · 석유례 · 석기림 · 석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4권 「신라 4권 (新羅 四)」5권 「신라 5권 (新羅 五)」
김내물 · 김실성 · 김눌지 · 김자비 · 김소지김지대로 · 김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8권 「신라 8권 (新羅 八)」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고주몽 · 고유리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27권 「백제 5권 (百濟 五)」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부여의자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열전(列傳) ]

41-43권 「열전 1-3권」44권 「열전 4권」
김유신 ,김원술 · 김윤중 · 김윤문 · 김암,을지문덕 · 거칠부 · 거도 · 이사부 · 김인문 ,김양도, · 김양 ,김흔, · 흑치상지 · 장보고 · 정년 · 사다함
45권 「열전 5권」46권 「열전 6권」
을파소 · 김후직 · 녹진 · 밀우 · 유유 · 명림답부 · 석우로 · 박제상 · 귀산 · 온달강수 · 최치원 · 설총 · 최승우 · 최원위 · 김대문
47권 「열전 7권」
해론 · 소나 · 취도 · 눌최 · 설계두 · 김영윤 · 관창 · 김흠운 · 열기 · 비녕자 · 죽죽 · 필부 · 계백
48권 「열전 8권」
향덕 · 성각 · 실혜 · 물계자 · 백결선생 · 검군 · 김생 · 솔거 · 지은 · 설씨 · 도미 · 필부
49권 「열전 9권」50권 「열전 10권」
창조리 · 연개소문궁예 · 견훤




《삼국사기》 <기림 이사금 본기>
一年冬十二月 기림 이사금이 즉위하다
二年春一月 장흔을 이찬으로 삼다
二年春二月 시조묘에 제사지내다
三年春一月 왜국과 강화를 맺다
三年春二月 비열홀에 순행하다
三年春三月 태백산에 망제를 지내고, 낙랑과 대방 두 나라가 항복해 오다
三年 봄과 여름에 가물다
七年秋八月 지진이 일어나 샘물이 솟아오르다
七年秋九月 서울에 지진이 일어나다
十年 나라 이름을 다시 신라라 하다
十三年夏五月 죄수들을 사면하다
十三年夏六月 왕이 죽다


4.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3:23:06에 나무위키 기림 이사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비슷한 사례로 중국 측 사서에 몇 번이고, 현도군에 귀속을 청하는 고구려가 있다. 이것 또한 현대적인 관점의 항복이 아닌 적대적인 관계를 청산하고, 정상적인 외교 강화를 맺은 것으로 본다.[2] 조분 이사금(제11대)의 아들인지, 손자인지, 증손자인지 기록마다 전부 다른 것도 이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