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성왕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조의 11대 군주에 대한 내용은 권풍우 문서
권풍우번 문단을
권풍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성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라의 왕자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펼치기 · 접기 ]
문무왕 · 김인문 · 김문왕 · 김노차 ·
김인태 · 김지경 · 김인문
추존
흥무왕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추존
개성왕
추존
현성왕
신영왕(김의관)
추존
신영왕
흥평왕(김위문)
추존
흥평왕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애장왕 · 김체명
정교부인의 남편 · 왕자 · 심지
추존
혜강왕
태자
추존
흥렴왕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 펼치기 · 접기 ]

진덕왕조중시죽지
무열왕조중시문충 | 김문왕
문무왕조중시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신문왕조중시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효소왕조중시원선 | 당원 | 순원
성덕왕조중시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효성왕조중시의충 | 신충
경덕왕조중시유정 | 대정
시중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혜공왕조시중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원성왕조시중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소성왕조시중충분
애장왕조시중수승 | 김헌창
현덕왕조시중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흥덕왕조시중김우징 | 윤분 | 김명
희강왕조시중이홍
민애왕조시중헌숭
문성왕조시중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경문왕조시중위진 | 인흥
헌강왕조시중예겸 | 민공
정강왕조시중준흥
효공왕조시중계강 | 효종
경명왕조시중유렴 | 언옹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거서간남해 차차웅유리 이사금탈해 이사금
박남해박유리박일성김알지
탈해 이사금파사 이사금벌휴 이사금내해 이사금
박파사박지마석골정석날음
태손

석조분
내해 이사금내물 마립간진흥왕무열왕
석우로김눌지김동륜김법민
문무왕신문왕성덕왕성덕왕
김정명김이홍김중경김승경
효성왕경덕왕원성왕원성왕
김헌영김건운김인겸김의영
원성왕소성왕헌덕왕
김준옹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흥덕왕신무왕문성왕경문왕
김충공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진성여왕신덕왕경순왕
김요박승영김일






신라 제39대 국왕
소성왕 | 昭聖王
출생
(음력)
760년대말 ~ 770년대 초 추정
신라 금성
사망
(음력)
800년 6월 (향년 30대)
신라 금성
능묘미상
재위기간
(음력)
신라의 태자
795년 1월 ~ 798년 12월 29일 (4년)
제39대 국왕
799년 1월 ~ 800년 6월 (1년 5개월)
[ 펼치기 · 접기 ]

본관경주 김씨
준옹(俊邕)
부모부왕 혜충왕
모후 성목태후 김씨
형제김언승, 김수종, 김충공
왕후계화부인 김씨
자녀태자 김청명
왕자 김체명[1]
왕녀 장화부인
종교불교
시호소성대왕(昭聖大王)
골품진골(真骨)
관등대아찬(大阿飡)
파진찬(波珍飡)
직위시중(侍中)
병부령(兵部令)

[1]신당서》에 나오는 애장왕의 아우 소금첨명(蘇金添明)과 동일인으로 생각된다. 중고한어에서 體明의 발음은 thëi miäng이고, 添明의 발음은 thëm miäng이기 때문. 蘇는 쇠의 음차로 金와 동의어이다.

1. 개요
2. 생애
3. 주요 치적
4. 《삼국사기》 기록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라의 제39대 군주.

열조 원성왕의 손자로 본래 태자였던 김인겸의 아들이다. 김인겸이 부왕보다 단명하는 바람에 조부 원성왕에 이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왕비는 김숙명의 딸로 계화부인(桂花夫人) 또는 계화왕후[1]라고 불린다. 제40대 애장왕과 제42대 흥덕왕의 왕비 장화부인[2]의 아버지였다.


2. 생애[편집]


왕위에 오르기 전에는 789년 대아찬의 직책을 받아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왔다.

791년 1월 아버지 김인겸이 죽고, 791년 10월 시중에 임명되었으나 792년 8월 병으로 사직했다. 이 때부터 몸이 건강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아버지가 죽은 직후이니 상을 치르기 위해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소성왕은 태자로 책봉되기 이전부터 중앙 정치에서 상당한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점은 신라 중대와 비교되는 점이다.

791년 김인겸이 죽은 후 태자 자리는 원성왕의 둘째 아들이자 소성왕의 숙부가 되는 김의영(義英)에게 넘어갔지만 김의영 역시 794년 2월에 죽어, 결국 795년 김준옹이 태자로 책봉되었다. 799년 조부 원성왕이 승하한 이후에 즉위했지만 소성왕 역시 즉위 1년만에 요절했다. 어린 아들이 있었던 것으로 봐서 최소한 20대 이상의 나이였던 듯 싶지만 오래 살지는 못한 듯하다. 생년이 명확하게 밝혀진 동생 흥덕왕이 777년생이고, 소성왕과 흥덕왕 사이에 헌덕왕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760년대 후반~770년대 전반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일찍 죽는 바람에 웃지 못할 일도 벌어졌는데 원성왕이 죽고, 소성왕이 즉위했다는 소식을 들은 당덕종조정위단이라는 인물을 원성왕 조문 겸 소성왕 책봉 사절로 신라에 파견했다. 그런데 위단의 일행이 당나라 수도 장안을 떠나 운주에 이르자 소성왕이 죽고 애장왕이 즉위했다는 소식이 이들에게 들어갔다. 헛걸음을 하게 된 위단 일행은 장안으로 돌아갔다.

왕릉의 위치는 비정되는 신라왕릉이 없지만, 이근직 교수는 현재 경주시 내남면에 있는 경덕왕릉이 실제 소성왕의 능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근직 교수의 비정에 따르면 내남면의 경덕왕릉이 실제 소성왕릉이고, 김유신장군묘로 알려진 무덤이 실제 경덕왕릉이며, 무열왕릉 맞은편의 각간묘가 실제 김유신장군묘라고 추정했다. 그래야 《삼국사기》에서 언급한 위치, 각 임금이 살았던 시기와 왕릉 양식의 변화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3. 주요 치적[편집]


재위 기간이 짧지만 소성왕은 국학의 학생들에게 거로현(오늘날의 경상남도 진주시 지역)을 녹읍으로 하사했다. 국학 학생들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해 준 셈으로 오늘날로 치면 국학 학생들에게 국가장학금을 수여한 것인데 조부 원성왕 대에 유명무실해진 국학을 진흥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국학 대신 당나라나 해외유학가는 학생들이 많아져서 이후에 도로아미타불이 되었다.

소성왕 때는 특이한 생물을 발견한 기사도 있는데 한 번은 9척이나 되는 인삼이 발견되었다. 당시의 1척은 오늘날의 1척보다 짧지만 그걸 감안해도 엄청 큰 인삼인 것은 사실이었다. 이를 기이하게 여긴 소성왕은 당덕종에게 인삼을 선물했지만 덕종의 반응은 "이거 인삼 아닌데?"라며 인삼을 받지 않았다.

소성왕 2년 5월에는 우두주(오늘날의 강원도 춘천시 일대) 도독으로부터 이런 보고가 올라왔다.

기이한 짐승이 있는데, 소 같으면서 몸은 길고 높으며 꼬리 길이가 3척 정도에 털이 없고 코가 길었습니다. 현성천(峴城川)에서 오식양(烏食壤) 방향으로 갔습니다.

ㅡ 《삼국사기》권 10 <신라본기> 소성왕 2년 5월 기사

기록을 보면 짐승의 정체는 코끼리를 말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코끼리가 왜 신라에 나타났는지는 의문이지만 남중국이나 이슬람과의 교역 흔적을 보여주는 기록이라고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해석대로라면 장사하러 온 외국 상인이 신라에 데리고 왔다가 놓친 코끼리일 수도 있겠다.

4. 《삼국사기》 기록[편집]


삼국사기(三國史紀)
[ 본기(本紀) ]

1권 「신라 1권 (新羅 一)」2권 「신라 2권 (新羅 二)」
박혁거세 · 박남해 · 박유리 · 석탈해 · 박파사 · 박지마 · 박일성박아달라 · 석벌휴 · 석내해 · 석조분 · 석첨해 · 김미추 · 석유례 · 석기림 · 석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4권 「신라 4권 (新羅 四)」5권 「신라 5권 (新羅 五)」
김내물 · 김실성 · 김눌지 · 김자비 · 김소지김지대로 · 김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8권 「신라 8권 (新羅 八)」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고주몽 · 고유리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27권 「백제 5권 (百濟 五)」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부여의자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열전(列傳) ]

41-43권 「열전 1-3권」44권 「열전 4권」
김유신 ,김원술 · 김윤중 · 김윤문 · 김암,을지문덕 · 거칠부 · 거도 · 이사부 · 김인문 ,김양도, · 김양 ,김흔, · 흑치상지 · 장보고 · 정년 · 사다함
45권 「열전 5권」46권 「열전 6권」
을파소 · 김후직 · 녹진 · 밀우 · 유유 · 명림답부 · 석우로 · 박제상 · 귀산 · 온달강수 · 최치원 · 설총 · 최승우 · 최원위 · 김대문
47권 「열전 7권」
해론 · 소나 · 취도 · 눌최 · 설계두 · 김영윤 · 관창 · 김흠운 · 열기 · 비녕자 · 죽죽 · 필부 · 계백
48권 「열전 8권」
향덕 · 성각 · 실혜 · 물계자 · 백결선생 · 검군 · 김생 · 솔거 · 지은 · 설씨 · 도미 · 필부
49권 「열전 9권」50권 「열전 10권」
창조리 · 연개소문궁예 · 견훤





二年春一月 소성왕이 즉위하다
二年春三月 청주 거로현을 국학생의 녹읍으로 삼다
二年春三月 냉정현령 염철이 흰 사슴을 바치다
二年夏五月 아버지를 혜충대왕으로 추봉하다
二年夏五月 기이한 짐승이 나타나다
二年秋七月 9척의 인삼을 당에 진봉하였으나, 당에서 받지 않다
二年秋八月 어머니를 성목태후로 추봉하다
二年秋八月 한산주에서 흰 까마귀를 바치다
三年春一月 왕후를 봉하고 충분을 시중으로 삼다
三年夏四月 폭풍으로 궁궐이 피해를 입다
三年夏六月 왕자를 태자로 봉하다
一年夏六月 왕이 붕어하다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선도성모문열왕은열왕감문왕문의왕장무왕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청평군박민세조 알지왕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일지왕태조 성한왕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김아도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마제왕
아도왕세신왕이칠왕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내음왕석우로광명부인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김미사흔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동륜왕聖25
진지왕
김만명
마야부인 김행의聖26
진평왕
진정왕진안왕만천왕문흥왕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비담聖28
진덕왕
김알천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무열왕의 딸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김사소효상태자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혜충왕헌평태자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익성왕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眞48
경문왕
혜성왕문성왕태자문성왕의 딸
박정화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흥렴왕선성왕의흥왕
朴53
신덕왕
김의성김계아眞52
효공왕
김억렴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박언침마의태자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왕조 보기]
■ [朴] 밀양 박씨 왕조
■ [昔] 경주 석씨 왕조
■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 추존 국왕 및 왕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3:24:59에 나무위키 소성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후 대왕후(大王后)로 추존.[2] 시호는 정목왕후(定穆王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