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나미노 요코

덤프버전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미나미노 요코/음반
,
,
,
,
,
,





파일:nanno logo.png


[ SINGLE ]
파일:[1985.6.23] Hazukashi Sugite (恥ずかしすぎて).jpg
파일:[1985.11.2] Sayonara no Memai (さよならのめまい).jpg
파일:[1986.3.21] Kanashimi Monument (悲しみモニュメント).jpg
파일:[1986.7.2] Kaze no Madrigal (風のマドリガル).jpg

싱글 1집

1985. 6. 23

싱글 2집

1985. 11. 2

싱글 3집

1986. 3. 21

싱글 4집

1986. 7. 2
파일:[1986.10.10] Approach (接近).png
파일:[1987.01.10] Rakuen no Door (楽園のDoor).png
파일:[1987.04.01] Hanashi Kaketa Katta (話しかけたかった).png
파일:[1987.07.01] Pandora no Ko0ibito (パンドラの恋人).png

싱글 5집

1986. 10. 1

싱글 6집

1987. 1. 10

싱글 7집

1987. 4. 1

싱글 8집

1987. 7. 1
파일:[1987.09.23] Aki no Indication (秋のIndication).png
파일:[1987.12.02] Haikarasan ga Oru (はいからさんが通る).png
파일:[1988.02.26] Toiki de Net (吐息でネット).png
파일:[1988.06.18] Anata wo Aishitai (あなたを愛したい).png

싱글 9집

1987. 9. 23

싱글 10집

1987. 12. 2

싱글 11집

1988. 2. 26

싱글 12집

1988. 6. 18
파일:[1988.10.08] Aki Kara mo, Soba ni Ite (秋からも、そばにいて).jpg
파일:[1989.02.15] Namida wa Doko e Itta no (涙はどこへいったの).png
파일:[1989.06.21] Trouble Maker (トラブル・メーカー).png
파일:[1989.11.02] Film no Mukougawa (フィルムの向こう側).png

싱글 13집

1988. 10. 8

싱글 14집

1989. 2. 15

싱글 15집

1989. 6. 21

싱글 16집

1989. 11. 2
파일:[1990.06.01] Double Game (ダブルゲーム).png
파일:[1990.7.1] Henna no!! (へんなの!!).png
파일:[1990.8.1] Mimi wo Tsumashite Goran (耳をすましてごらん).png
파일:[1990.11.21] KISS Shite Loneliness (KISSしてロンリネス).jpg

싱글 17집

1990. 6. 1

싱글 18집

1990. 7. 1

싱글 19집

1990. 8. 1

싱글 20집

1990. 11. 21
파일:[1991.6.8] Natsu no Obakasan (夏のおバカさん).png
파일:はいからさんが通る 吐息でネット.png

싱글 21집

1991. 6. 8

싱글 22집

2005. 7. 27
[ ALBUM ]
파일:[1986.04.21] Gelato (ジェラート).png
파일:[1986.11.01] VIRGINAL.png
파일:[1987.05.02] BLOOM.png
파일:[1987.11.01] GARLAND.png

정규 1집

1986. 4. 21

정규 2집

1986. 11. 1

정규 3집

1987. 5. 2

정규 4집

1987. 11. 1
파일:[1988.07.15] GLOBAL.png
파일:[1988.12.14] SNOWFLAKES.png
파일:[1989.07.12] GAUCHE.png
파일:[1989.12.1] Dear Christmas.png

정규 5집

1988. 7. 15

정규 6집

1988. 12. 14

정규 7집

1989. 7. 12

정규 8집

1989. 12. 1
파일:[1990.6.23] Gather.png
파일:[1991.6.8] Natsu no Obakasan (夏のおバカさん).png

정규 9집

1990. 6. 23

정규 10집

1991. 7. 21
[ OTHER ]
파일:NANNO Singles.png
파일:YOKO'S FAVORITES.png
파일:NANNO SONGLESS.png
파일:NANNO Singles II.png
NANNO Singles

베스트 앨범

1988. 3. 21
YOKO'S FAVORITES

베스트 앨범

1988. 7. 21
NANNO SONGLESS

베스트 앨범

1990. 7. 15
NANNO Singles II

베스트 앨범

1991. 1. 1
파일:Diamond Smile-.jpg
파일:Pearl Tears.png
파일:Affairs of Yesterday.png
파일:GOLDEN J-POP THE BEST 南野陽子.png
Diamond Smile

베스트 앨범

1992. 3. 25
Pearl Tears

베스트 앨범

1992. 3. 25
Affairs of Yesterday

베스트 앨범

1992. 6. 21
GOLDEN J-POP THE BEST 南野陽子

베스트 앨범

1998. 8. 21
파일:2000 BEST 南野陽子.png
파일:DREAM PRICE 1000 南野陽子楽園のDoor.png
파일:GOLDEN☆BEST 南野陽子 NANNO SINGLES 3 + MY FAVORITE.png
파일:NANNO・25th Anniversary.png
2000 BEST 南野陽子

베스트 앨범

2000. 6. 21
DREAM PRICE 1000
南野陽子/楽園のDoor

베스트 앨범

2002. 10. 9
GOLDEN☆BEST 南野陽子
NANNO SINGLES 3
MY FAVORITE

베스트 앨범

2003. 7. 16
NANNO 25th Anniversary

베스트 앨범

2010. 11. 11
파일:ReFined-Songs Collection〜NANNO 25th Anniversary.png
파일:ゴールデン ☆ アイドル 南野陽子 30th Anniversary.png
파일:KNOCK!! KNOCK!! KNOCK!!.png
파일:『Four Seasons NANNO Selection』.png
ReFined Songs Collection
NANNO 25th Anniversary

베스트 앨범

2011. 2. 9
ゴールデン☆アイドル
南野陽子 30th Anniversary

베스트 앨범

2015. 12. 9
Blooming Girls

KNOCK!! KNOCK!! KNOCK!!

싱글 1집

2012. 6. 13
Four Seasons NANNO Selection

베스트 앨범

2021. 12. 8



미나미노 요코의 수상이력
[ 펼치기 · 접기 ]

엘란도르상 신인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6년이케우치 준코, 이시하라 유지로, 카와구치 히로시, 쿠사나기 고지로, 시라카와 유미, 스기타 히로코, 타카쿠라 켄
1957년단 레이코, 에하라 신지로, 키타자와 노리코, 나카다이 타츠야, 시라카와 유미, 모리 미키, 츠구바 히사코, 카와사키 케이조
1958년아사오카 루리코, 카노 준코, 아사오카 루리코, 쿠와노 미유키, 오오조라 마유미, 사토 마코토, 치노 카쿠코
1959년혼고 코지로, 호시 테루미, 미즈키 조, 나카타니 이치로, 나츠키 요스케, 시미즈 마유미, 야마모토 토요조

196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60년아카기 케이이치로, 후지마키 준, 호시 유리코, 카와구치 토모코, 마츠카타 히로키, 미카미 신이치로, 요시다 테루오
1961년이와시타 시마, 카야마 유조, 미타 요시코, 타미야 지로, 야마자키 츠토무, 요시나가 사유리
1962년바이쇼 치에코, 하마 미에, 하마다 미츠오, 스가타 미치코, 치바 신이치, 야마모토 케이
1963년이즈미 마사코, 카가 마리코, 키타오오지 킨야, 나카가와 유키, 나카오 미에, 타카다 미와, 타카하시 코지
1964년후지무라 시호, 혼마 치요코, 마츠모토 하쿠오, 카토 고, 카야마 요시코, 마츠바라 치에코, 요시무라 지츠코
1965년에나미 쿄코, 후지 스미코, 나이토 요코, 오가와 마유미, 타케와키 무가, 와타리 테츠야
1966년구리주카 아사히, 구로사와 토시오, 오오하라 레이코, 야마구치 타카시, 야마모토 요코, 오오쿠스 미치요
1967년아즈사 에이코, 쿠리하라 코마키, 나카야마 진, 오가와 토모코, 사카이 와카코, 스기 료타로
1968년이쿠타 에츠코, 미네기시 토오루, 나카야마 마리, 오카 미츠코, 타카하시 에츠시, 타니 하야토
1969년아츠미 마리, 오키 마사야, 오자키 나나, 타이치 키와코, 타카하시 노리코, 타치바나 마스미

197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0년하라다 다이지로, 모리타 겐사쿠, 나츠 준코, 오카다 유스케, 오카모토 노부토, 사카이 마사아키, 사토 오리에, 타케하라 에이코, 우메다 토모코, 와타세 츠네히코, 야나미 에이코
1971년미개최
1972년이케 레이코, 콘도 마사오미, 사카키바라 루미, 타카하시 케이코, 미후네 시로, 야마구치 카린, 요시자와 쿄코
1973년우츠노미야 마사요, 스기모토 미키, 시가키 타로, 마츠자카 케이코, 무라노 타케노리, 야마모토 센, 타나카 마리, 후지오카 히로시, 혼다 미치코, 마키 히로코
1974년아사다 미요코, 코즈에 히토미, 시마다 요코, 세키네 세츠코, 니시나 아키코, 하기와라 켄이치, 미우라 토모카즈, 모모이 카오리, 다이몬 마사아키, 타카하시 요코, 나카지마 유타카
1975년아키요시 쿠미코, 쿠사카리 마사오, 이케가미 키미코, 단 후미, 시호미 에츠코, 나카무라 마사토시, 하기오 미도리
1976년히가시 테루미, 오카다 나나, 오오타케 시노부, 다나카 겐, 카타히라 나기사, 네즈 진파치, 미츠바야시 쿄코, 카츠노 히로시, 사오토메 아이, 타키가와 유미
1977년아사지 요코, 이와키 코이치, 에토 준, 하라다 미에코, 마야 쿄코
1978년아라이 하루미, 아사노 유코, 이노우에 준이치, 시미즈 켄타로, 나츠키 요코, 타케시타 케이코, 타케다 테츠야, 나가시마 에이코
1979년쿠니히로 토미유키, 나가시마 토시유키, 후지 마리코, 모리시타 아이코, 유리 치카코

198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80년쿠마가이 마미, 코테가와 유코, 시바타 쿄헤이, 마츠다이라 켄, 미야우치 준
1981년카네다 켄이치, 칸자키 아이, 키시모토 카요코, 타키타 사카에, 히구치 카나코
1982년카가 다케시, 사나다 히로유키, 다나카 유코, 나츠메 마사코, 후루오야 마사토
1983년카자마 모리오, 콘노 미사코, 나카이 키이치, 나토리 유코, 류 다이스케
1984년사토 코이치, 토키토 사부로, 나카이 키에, 하라다 토모요, 야쿠쇼 코지
1985년이시하라 마리코, 에노키 타카아키, 와타나베 토루, 후지타니 미와코
1986년키쿠치 모모코, 킷카와 코지, 사와구치 야스코, 야나기사와 신고
1987년사이토 유키, 진나이 타카노리, 나카야마 미호, 야스다 나루미, 와타나베 켄
1988년고쿠쇼 사유리, 토미타 야스코, 고토 쿠미코, 미나미노 요코, 나카무라 토오루
1989년아소 유미, 오가타 나오토, 타카시마 마사히로, 미카미 히로시, 와카무라 마유미

199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90년이모리 미유키, 스즈키 호나미, 미나미 카호, 모토키 마사히로, 야나기바 토시로
1991년쿠도 유키, 타카시마 마사노부, 나카지마 토모코, 노무라 히로노부, 마키세 리호
1992년이시다 히카리, 센도 노부코, 와쿠이 에미, 나가세 마사토시, 요시오카 히데타카, 다나카 미노루
1993년카토 마사야, 시미즈 미사, 아카이 히데카즈, 유키 나에, 카라사와 토시아키
1994년사쿠라이 사치코, 와시오 이사코, 스미다 유키, 츠츠이 미치타카, 하기와라 마사토, 무라타 타케히로
1995년야마구치 토모코, 스즈키 안즈, 하다 미치코, 키시타니 고로, 토요카와 에츠시, 기무라 타쿠야
1996년토키와 타카코(대상), 츠루타 마유, 잇시키 사에, 나가사와 토시야, 타카하시 카츠노리, 시이나 킷페이
1997년마츠 다카코(대상), 이이지마 나오코, 세토 아사카, 카미카와 타카야, 니시무라 마사히코
1998년칸노 미호(대상), 키무라 요시노, 다나카 미사토, 아사노 타다노부, 우치노 세이요
1999년마츠시마 나나코(대상), 카시와바라 타카시, 카네코 켄, 사카이 미키, 후카다 쿄코

200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1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20년대 수상자




골든 애로상
파일:GoldenArrow.png
그래프상
1986년 1987년 1988년
혼다 미나코미나미노 요코아사카 유이

역대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파일:20210222_223227.jpg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1986년 1987년 1988년
나카무라 토오루
와시오 시사코
미나미노 요코
타카시마 마사히로
미야자와 리에
오토코구미
카타오카 츠루타로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
파일:japan-academy-prize.png
신인배우상
제10회
(1987년)
제11회
(1988년)
제12회
(1989년)
사이토 유키 외 5인
(눈의 단장 -정열-)
미나미노 요코 외 5인
(스케반 데카)
미야자와 리에 외 5인
(우리들의 7일 전쟁)


미나미노 요코
(みなみ( (よう( | Yoko Minamino
파일:南野 陽子.png
출생1967년 6월 23일 (56세)
효고현 이타미시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신체162cm, B형
직업배우(1984년~ )
가수(1985년~1991년)
가족아버지[1], 남동생(1968년생), 남편(2011년~ )
학력호리코시 고등학교 (졸업)
소속사K DASH (ケイダッシュ)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연예계 활동
2.1. 데뷔 이전
2.2. 데뷔 초
2.3. 데뷔 이후
3. 디스코그래피
4. 이야깃거리
5. 출연 작품
5.1. 드라마
5.2. 영화
5.3. 라디오
5.4. 수상



1. 개요[편집]


파일:南野 陽子.jpg

“「純だね、陽子」、「可憐だね、陽子」”

“「순수하구나, 요코」 「가련하구나, 요코」”

― 데뷔 당시 캐치프레이즈


일본의 가수이자 배우. 1985년 데뷔하여 밝고 청순한 이미지로 1980년대 중후반 일약 스타덤에 오른 톱 아이돌이었다.
전성기 시절엔 쿠도 시즈카, 아사카 유이, 나카야마 미호와 함께 아이돌 4대 천왕이라 불렸으며 그 중에서도 남성팬들에게 가장 압도적인 인기를 얻었다.

애칭은 미나미노((みなみ()를 음독한 난노(ナンノ).[2]


2. 연예계 활동[편집]



2.1. 데뷔 이전[편집]


파일:NANNO-CLUB1.png
파일:NANNO-CLUB2.png
파일:NANNO-CLUB3.png
파일:NANNO-CLUB4.png
파일:NANNO-CLUB5.png
유년 시절 ~ 상경까지의 사진

1967년 6월 23일 효고현 킨키 중앙 병원에서 1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태양과 같이 밝고 건강하게 자랐으면 하는 마음에서 요코((よう() 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어린 시절에는 낯가림이 심하고 조용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고향 고베에서 아가씨 학교로 유명했던 쇼인 여자 중/고등학교를 다니던 중, 고등학교 2학년 재학 시절 친구와 함께 오사카역 옆의 ABC 홀에서 열린 공연을 보러 갔다가 스카우트된 것이 계기가 되어 도쿄로 상경하여 연예 활동이 가능한 호리코시 고등학교에 편입했다.[3]

당시 고등학교 동창들은 오카다 유키코, 혼다 미나코, 이시노 요코, 나가세 마사토시 등 유명 아이돌 및 배우가 많았다.


2.2. 데뷔 초[편집]


파일:56756.png
파일:スケバン刑事.jpg
고등학교 수학여행 & 스케반 데카 발표회

상경 후에는 월급을 3만엔 밖에 받지 못하였고 거기에 숙소비로 2만엔을 내고 나면 항상 돈이 부족하여 고향의 부모님과 친구들에게 지원을 받아 생활했다.[4]

1984년 드라마 ‘명문 사립 여자 고등학교’로 데뷔를 하였으나 가끔 들어오는 잡지 촬영 외에는 활동이 전무했던 관계로 드라마가 끝난 후에는 숙소에서 할 게 없어 직접 교복을 입은 채로 방송국, 레코드 회사, 출판사에 찾아가 일을 찾아다녔다.

그렇게 오디션을 찾아다니던 중 잡지 ‘주간 소년 매거진’에서 주최하는 1985년 4월 ‘미스 매거진’에 합격하게 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아이돌로서 데뷔한다.[5]

다른 아이돌에 묻혀 데뷔곡은 성공하지 못하였지만 직접 교복을 입고 방송국을 찾아다닌 것을 인상 깊게 본 후지 테레비 관계자가 인기 드라마 시리즈 스케반 데카 후속작의 주인공으로 발탁하였고 그 후에는 큰 인기를 얻으며 톱 아이돌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2.3. 데뷔 이후[편집]




파일:月夜のくしゃみ.jpg
1989년 발매한 에세이 ‘月夜のくしゃみ’

“난노는 제멋대로, 건방지다!” 라고 적힌 근거 없는 비판 기사가 나왔을 때였다.

“이대로 죽어버릴까...?” 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가족, 친구들, 응원하는 팬들을 생각하면 “난노 때리기 따위에게 질 수 없다!” 라고 결심했다.

― 에세이 “달밤의 재채기”에서


데뷔 직후부터 닛폰 방송에서 라디오 방송 ‘落書きだらけのクロッキー・ブック’을 7개월 가량 진행하였고 반년 후인 1986년 10월부터는 ‘ナンノこれしきっ!’을 시작하여 본인의 전성기가 끝나는 시점인 1990년까지 약 4년간 진행하였다.[6][7][8]

그 당시 가장 확실한 인기를 볼 수 있던 브로마이드 매상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데뷔 이후 제대로 쉬지 못하고 계속 이어진 스케줄로 인해 과로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면서도 드라마 촬영과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을 하는 등, 활동을 계속 이어갔으나 데뷔 당시부터 연기와 아이돌 활동을 각각 사무소 두 곳(에스원 컴퍼니, 극단 청년좌)으로 나뉘어 관리를 했기 때문에 톱 아이돌이 되면서 스케줄이 서로 겹치는 일이 잦았다. 결정적인 사건은 동시에 스케쥴이 겹치는 더블 부킹으로 인해 모델을 맡고 있던 후지쯔의 행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일이 생겼고 결국 모델에서도 하차하게 되며 주간지에 비판 기사가 단골로 나오게 되는 등의 일로 1990년 개인 사무소를 차려 독립한다.[9][10][11]

동시에 80년대 말 밴드 붐이 크게 일면서 70년대부터 이어진 아이돌 붐은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하였고 그에 따라 음악적으로 여러 변화를 주었으나 계속된 하락세가 이어지며 가수 활동은 1991년 ‘夏のおバカさん’을 마지막으로 끝나고 만다. 이후로는 아이돌이 아닌 방송인으로서 드라마와 영화, 연극 무대 등에 출연. 현재까지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활동하고 있다.

3. 디스코그래피[편집]





1987년 6번째 싱글인 ‘낙원의 Door(楽園のDoor)’의 첫 오리콘 1위를 시작으로 연달아 히트곡을 배출하며 8곡 연속으로 1위를 달성, 가수 활동을 중지할 때까지 4개의 앨범을 제외하면 발표한 모든 싱글이 오리콘 차트 10위 안에 들어갔을 만큼 성공적인 활동을 하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나미노 요코/음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이야깃거리[편집]


  • 아이돌 시절의 매력 포인트는 앞니.
파일:325456.jpg

  • 학창 시절 운동 신경이 학교에서 가장 나빴다. 50m 달리기는 매번 10초 이상이었고 앞구르기도 전혀 못해서 자주 아픈 척하여 체육 시간을 쉬었다.

  • 데뷔 곡의 원 제목은 천사의 손수건이었지만 처음 하는 리코딩이 너무 부끄러워 2일이 지나서도 노래를 제대로 부르지 못하고 스튜디오를 빌리는 마지막 3일째 되는 날 스태프들의 도움으로 겨우 리코딩을 마쳤고, 그걸 본 작사가가 제목을 변경한다.

  • 데뷔 초 팬레터에 감격하여 직접 감사 전화를 한 적이 있다.

  • 데뷔 초의 목표는 아이돌 잡지 ‘MYOJO’와 더 베스트 텐 스포트라이트에 나오는 것이었다.

  • 1986년에 발매한 사진집 ‘陽子をひとりじめ’는 일본 연예인 역대 사진집 매출 부수 랭킹 8위에 올라있다.

  • 스케반 데카’의 주연으로 낙점 되자 첫 주연이 되는 것에 대해 기뻐했지만, “철 가면을 쓰고 있다”라는 설정을 알고나서 “슈트 액터인가...”라고 몹시 낙담했다.

  • 스케반 데카’ 출연 당시 톤네루즈의 이시바시 타카아키가 그녀와 마주쳤을 때 너무 예뻐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 스케반 데카’ 촬영이 끝나고 찢어진 옷에 분장용 피나 폭약이 그대로 묻어있는 상태로 지하철을 타고 학교에 등교하는 일도 있었다.
파일:4211223.jpg

  • 1988년 더 베스트 텐에서 ‘秋からも、そばにいて’를 부르고 있었을 때 가사를 잊어 손을 부르르 떨며 매우 당황해하는 사건이 있었다. 노래가 끝나고 나자마자 눈물을 머금으며 “대단히 죄송합니다. 용서해주세요!”라고 고개를 90도로 숙여 사과. 그 당시에는 “당장, 가수 그만둬”라고 생각했고 나중에 회상할 때는 “이제 내 아이돌 생활은 끝이겠구나” 했다고.[12]

  • 1990년 영화 ‘白い手’에서 아이카와 쇼와 했던 키스신이 본인 인생에서 첫 키스였다.

  • 중화권에서는 '난예양즈'로 부른다.

  • 호리코시 동급생인 오카다 유키코와 절친했으나 1986년 자살, 또 다른 동급생이자 절친 혼다 미나코2005년 백혈병으로 사망하였는데 무대에 서던 중 비보를 듣고 그대로 쓰러져 오열하였다.

  • 소속사복이 없는 연예인을 꼽자면 가장 먼저 이름이 나오는 인물이 바로 난노인데, 첫 사무소인 에스원 컴퍼니는 영세한 규모에 소속 연예인에 대한 처우도 가혹한 블랙기업이었고, 첫 급여는 월 3만엔, 그 다음 해 급여가 월 4만엔이었다고 한다. 80년대 여성 듀오로 인기를 끌던 BaBe도 에스원 컴퍼니 소속이었는데 한참 잘 나갈 때도 7만엔 받았다고 폭로할 정도의 사무소라 계약 종료 후 독립하자 바로 망해버렸다. 하지만 소속사 도산 시 사장이 본인도 모르게 회사의 명의를 본인으로 돌려버린 후라 버블이 붕괴한 90년대에 회사의 부채를 모두 직접 지게 되었고 그 빚을 20년이 훨씬 지난 2010년대에 겨우 갚았다.

  • 배우쪽 사무소였던 극단 청년좌도 당시엔 규모에 비해 문제가 엄청나게 많은 회사였는데 드라마가 히트치자 스케줄을 이중으로 잡고 미친듯이 굴려서 결국 주간지엔 미나미노 요코가 스케줄을 펑크 냈다느니 하는 기사가 떴다. 충분히 규모가 있는 소속사임에도 이런 대우라 현장에서 매니저들에게 이건 너무하지 않느냐고 울면서 화를 내자 이번에는 성격이 나쁘다느니, 제멋대로에 건방지다느니 하는 루머가 매니저들에게서 흘러나와 주간지를 달궜다. 이는 결국 1990년에 개인 소속사인 케이 대쉬로 독립하고서야 그나마 어느 정도 해결이 된다.

  • 아이돌 시절 인생의 목표로 “데뷔 5년 후인 23세 생일에 결혼식을 올리고 은퇴하여 아이 둘을 낳고 남편은 70세 본인은 73세에 세상을 떠난다”라는 공약을 했으나 실제 결혼은 43세가 된 2011년에 했으며 아이도 없다.

파일:765733.jpg

  • 2016년 2월에는 가수 활동을 그만둔지 25년 만에 첫 솔로 콘서트 ‘NANNO 30th ANNIVERSARY’를 개최하여 호응을 얻었다. 같은 해 6월에는 인기에 힘입어 추가 공연을 열기도 하였다. 25년 만에 다시 여는 무대라 감회가 새로운 듯 감격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파일:4412248.jpg


5. 출연 작품[편집]



5.1. 드라마[편집]


연도방송사제목배역활동비고
1984년파일:닛폰 테레비 로고.svg 명문 사립 여자 고등학교
名門私立女子高校
키타노 요코
北野洋子
조연 데뷔작
1985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시간을 달리는 소녀
時をかける少女
카즈코
和子
주연 첫 주연작
1985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스케반 데카 2 소녀 철가면 전설
スケバン刑事II 少女鉄仮面伝説
아사미야 사키
麻宮サキ
주연
1986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때로는 함께
時にはいっしょに
타가와 토시요
田川季代
주연
1987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아빠는 뉴스캐스터
パパはニュースキャスター
미나미노 요코 (본인역)
南野陽子
특별출연 7화
1987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후지코 후지오의 꿈 카메라 2 「블루트레인블루스」
藤子不二雄の夢カメラ2「ブルートレインブルース」
오다기리 마사미
小田切雅美
주연 단편
1987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아리에스의 처녀들
アリエスの乙女たち
미즈호 카오루
水穂薫
주연
1987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라디오 빙빙 이야기
ラジオびんびん物語
미나미노 요코 (본인역)
南野陽子
특별출연 6화
1988년파일:NHK G 로고.svg 다케다 신겐
武田信玄
코이히메 / 오코코 (1인 2역)
湖衣姫・おここ
조연 대하 드라마
1988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시간이에요 스페셜 「천사의 유혹」
時間ですよスペシャル「天使の誘惑」
미나 미코 → 타카라다 야스코
美南子 → 宝田ヤスコ
주연 단편
1988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열 있나봐!
熱っぽいの!
난조 마도카
南条円
주연
1988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미나미노 요코의 이상한 이상한 대탈주
南野陽子のおかしなおかしな大脱走
이타미 사쿠라 / 마리아 (1인 2역)
伊丹桜・麻利亜
주연 단편
1988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뒤쫓아가고 싶어!
追いかけたいの!
시라토리 아키라
白鳥晶
주연
1989년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 하루노리
春燈
이와타 아야코
岩田綾子
주연 단편
1989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붉은 수염
赤ひげ
마사에
まさえ
조연
히로인
단편
1989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나츠키 시즈코의 제3의 여인
夏樹静子の第三の女
나가하라 아카네
永原茜
주연 단편
1989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그 녀석이 문제
あいつがトラブル
미사키 레이코
美咲令子
주연
1990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기묘한 이야기 제1 시리즈 「너무 늦은 연인」
世にも奇妙な物語 第1 シリーズ 「遅すぎた恋人」
나츠미
ナツミ
주연 단편
1990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연예사회
芸能社会
사카구치 아이코
坂口愛子
주연
1991년파일:간사이 테레비 로고.svg 신춘·혼욕·경사스러운 여관 이야기
新春・混浴・めでたい旅館物語
후지타 아키코
藤田秋子
조연
히로인
단편
1991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기묘한 이야기 1991년 겨울 특별편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世にも奇妙な物語 1991年 冬の特別編 「王様の耳はロバの耳」
쿄코
恭子
주연 단편
1991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철 지난 해안 이야기 91년 가을
季節はずれの海岸物語'91秋
카오리
かおり
조연
히로인
단편
1991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기묘한 이야기 제2 시리즈 「수상한 거울」
世にも奇妙な物語 第2 シリーズ 「あやしい鏡」
토시코
年子
주연 단편
1992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너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君のためにできること
세키네 료코
関根亮子
조연
1993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과거를 쫓는 여자
過去を追う女
리츠코 / 키요미 (1인2역)
リツコ・キヨミ
주연 단편
1993년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 사랑해요!
愛してるよ!
쿠지 시노
久慈紫乃
조연
1995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흔들리는 마음
揺れる想い
요코자와 카나코
横澤加奈子
주연
1995년파일:후지 테레비 로고.svg 여자들의 전쟁
女たちの戦争

주연 단편
1997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신칸센 97 사랑이야기
新幹線'97恋物語
츠무라 쿄코
津村京子
조연
1998년파일:테레비 도쿄 로고.svg 이에야스가 가장 두려워한 남자 사나다 유키무라
家康が最も恐れた男 真田幸村
스겐인
崇源院
조연 단편
2002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일확천금 꿈 가족
一攫千金夢家族
스기우라 하루카
杉浦遥
주연
2005년파일:MBS 마이니치 방송 로고.svg 약속
ヤ・ク・ソ・ク
이데 요코
井手葉子
주연
2006년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 7인의 여변호사
7人の女弁護士
타시로 치하루
田代千春
조연
2018년파일:NHK G 로고.svg 세고돈
平清盛
이쿠시마
幾島
조연 대하 드라마
2020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 한자와 나오키 2
半沢直樹 2
히라야마 미유키
平山美幸
조연
2021년파일:닛폰 테레비 로고.svg 네메시스
ネメシス
히무라 아키라
緋邑晶
조연
2023년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 가면라이더 갓챠드
仮面ライダーガッチャード
이치노세 타마미
一ノ瀬 珠美
조연


5.2. 영화[편집]


연도제목배역활동
1987년 스케반 데카
スケバン刑事
아사미야 사키
麻宮サキ
주연
1987년 하이카라씨가 간다
はいからさんが通る
하나무라 베니오
花村紅緒
주연
1988년 보리수 린덴바움
菩提樹 リンデンバウム
나카하라 아사미
中原麻美
주연
1990년 하얀 손
白い手
후루사와 아야코
古沢彩子
조연
히로인
1990년 골드러시
ゴールドラッシュ
사노카와 마미
佐野川真美
조연
히로인
1991년 후쿠자와 유키치
福沢諭吉
노브
ノブ
특별출연
1992년 한춘
寒椿
보탄 (사다코)
牡丹 (貞子)
주연[* 난노는 이 영화에서 무려 대역없이 베드신을 촬영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아름다운 슬랜더 체형에 관능적인 성애 연기로 개봉 30년이 지난 지금도 당시를 기억하는 일반인들에게 언급되고 있다.]
1992년 청춘 덴데케데케데케
青春デンデケデケデケ
조수석의 딸
助手席の娘
특별출연
1992년 나를 안고 키스해줘
私を抱いてそしてキスして
고다 케이코
合田圭子
주연
1993년 드라이빙 하이!
ドライビング・ハイ!
미스미 카오루
三隅かおる
주연
1993년 아수라장의 인간학
修羅場の人間学
이와사키 준코
岩崎純子
조연
1994년 새벽녘 여자의 난
東雲楼 女の乱
테루카
照香
조연
1995년 세번의 해협
三たびの海峡
사토 치즈루
佐藤千鶴
조연
히로인
1997년 필살 처리인
必殺始末人
카모메
かもめ
조연
1998년 위대한 완제 -개의-
大いなる完 -ぼんの-
이시쿠라 타카코
石倉高子
조연
히로인
2002년 신 설국
新・雪国
소메노
染乃
조연
2005년 시부야 이야기
渋谷物語
오오하라 야스코
大原泰子
조연
2021년 생명의 정거장
いのちの停車場
와카바야시 유코
若林祐子
조연


5.3. 라디오[편집]


방송사제목방영기간
파일:2880px-LF_logo.svg.png 미나미노 요코 낙서 투성이의 크로키 북
南野陽子 落書きだらけのクロッキー・ブック
1985년 10월 ~ 1986년 4월
파일:2880px-LF_logo.svg.png 미나미노 요코 난노 이 정도!
南野陽子 ナンノこれしきっ!
1986년 10월 12일 ~ 1990년 6월 24일
파일:TBS 라디오 로고.svg 미나미노 요코 세피아색 멜로디
南野陽子 セピア色のメロディ
1990년 10월 ~ 1991년 4월
파일:2880px-LF_logo.svg.png 미나미노 요코 오늘은 난노의 날!
南野陽子 今日はナンノ日っ!
[13]
2006년 10월 2일 ~ 2011년 9월 30일
2014년 11월 24일
2015년 11월 23일
2016년 11월 23일
2017년 5월 3일 / 11월 23일
2018년 5월 3일 / 10월 8일
2019년 5월 2일
2020년 5월 5일
2021년 5월 4일
파일:2880px-LF_logo.svg.png 미나미노 요코 올해로 25주년 난노!
南野陽子 今年で25周年にナンノ!
2010년 6월 20일
파일:2880px-LF_logo.svg.png 미나미노 요코 올해로 25주년 난노 PART 2!
南野陽子 今年で25周年にナンノ! PART2!
2010년 11월 21일
파일:분카 방송 로고.svg 스다 신이치로 미나미노 요코의 누구나 알 수 있는 “경제학”
須田慎一郎 南野陽子の誰にもわかる “経済学”
2020년 10월 3일 ~


5.4. 수상[편집]


연도 시상식 / 수상내용작품
1987년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毎日映画コンクール スポニチグランプリ 新人賞
스케반 데카
スケバン刑事
1987년 골든애로상 그래프상
ゴールデン・アロー賞 グラフ賞
스케반 데카
スケバン刑事
1988년 엘란도르상 신인상
エランドール賞 新人賞
스케반 데카
スケバン刑事
1988년 일본 아카데미상 신인배우상
日本アカデミー賞 新人俳優賞
스케반 데카
スケバン刑事
1993년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여우주연상
日本アカデミー賞 優秀主演女優賞
한춘
寒椿

나를 안고 키스해줘
私を抱いてそしてキスして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0:56:50에 나무위키 미나미노 요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어머니는 2011년 11월, 뇌출혈심내막염으로 별세.[2] 그러나 2023년 방송된 NHK의 “패밀리 히스토리” 방송에 따르면 일족의 원래 성은 “난노(なん("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증조부가 도박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오사카로 이주하면서 성을 난노에서 미나미노로 바꾸었다고. 심지어 요코 본인도 이러한 경위는 몰랐다고 한다. 우연의 결과이기는 하지만 신기한 연이라고 할 수 있다.[3] 원래는 데뷔에 전혀 관심이 없었으나 연예계는 절대 안 된다며 반대하던 부모님과 싸운 후 도쿄로 가출하려 한다는 오해를 받게 되었고 연예계 데뷔를 위해 도쿄로 전학을 간다는 소문이 학교에 퍼지며 상경하게 되었다.[4] 과로로 인해 쓰러질 정도였던 전성기 시절에도 월 6만엔 밖에 되지 않는 급여를 받았고 그 이후로도 10만엔 이상의 급여를 받아 본 적이 없다고 한다. 참고로 같은 해 데뷔한 사이토 유키의 경우엔 영화 이벤트 나갈 때마다 하루 1만엔 이상의 수당을 받았으며 호리프로 소속이던 선배 사카키바라 이쿠에는 첫 급여가 7만엔이었으니 엄청난 착취를 당했던 셈이다.[5] 이력서 제출 당시에는 이미 마감 기한이 지나서 당연히 탈락이었지만 아깝게 생각한 매거진 측이 ‘매거진 메이트’라는 새로운 상을 만들어 표지에 실리게 된다.[6] 전성기 시절에는 매달 1만 통이 넘는 엽서를 받을 정도로 인기가 많은 프로그램이었다.[7] 1990년 6월에 프로그램의 중단이 결정되었고, 말도 없이 갑자기 중단하게 되자 닛폰 방송에게 화도 나고 억울했다고 한다.[8] 마지막 회에는 발표 이전의 곡 ‘耳をすましてごらん’을 부르다 노래를 마치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며 방송이 끝났다.[9] 톱 아이돌이 된 후에도 6~7만엔 수준으로 갓 데뷔한 신인과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었다.[10] 대형 기획사 소속으로 확실하게 밀어줬던 동시대의 다른 아이돌들과는 다르게 좋게 말하면 중소, 힘이 없는 사무소에 있었기에 적은 월급과 데뷔 이전부터 스스로 일을 찾아다니는 등의 고생으로 인해 불만이 컸다. 요코뿐만이 아니라 당시 소속사에 의해 피해를 본 아이돌들이 많았다.[11] 에스원 컴퍼니는 버블 당시 유행이었던 골프장/골프장 회원권을 대량으로 매입했는데 본인도 모르게 회사의 명의를 본인으로 돌려버린 후라 버블이 붕괴한 90년대에 회사의 부채를 모두 직접 지게 되었다.[12] 쿠도 시즈카가 대기실에서 요코의 절친인 혼다 미나코의 남자친구였던 히카루GENJI 모로호시 카즈미에 대해 안 좋게 발언해 다투게 되면서 그 일 때문에 잊어버렸다는 말이 있었다.[13] 2014년 이후 매년 특집 방송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