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민경배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bgcolor=#F08080,#5c6169> 초대
김백일 ||<bgcolor=#F08080,#5c6169> 2대
유재흥 || 3대
백선엽 || 4대
유재흥 || 5대
정일권 ||
|| 6대
장도영 || 7대
함병선 || 8대
장창국 || 9대
김형일 || 10대
민기식 ||
|| 11대
박경원 || 12대
김익열 || 13대
문형태 || 14대
이상철 || 15대
김상복 ||
|| 16대
노재현 || 17대
윤태호 || 18대
김종환 || 19대
김종수 || 20대
이범준 ||
|| 21대
유학성 || 22대
최영식 || 23대
장성열 || 24대
김응렬 || 25대
장기오 ||
|| 26대
민경배 || 27대
신말업 || 28대
천용택 || 29대
장성 || 30대
김길부 ||
|| 31대
유재열 || 32대
조영길 || 33대
박노숙 || 34대
황규식 || 35대
김기성 ||
|| 36대
김관진 || 37대
정동한 || 38대
김현석 || 39대
정승조 || 40대
오정석 ||
|| 41대
박선우 || 42대
양종수 || 43대
고현수 || 44대
김운용 || 45대
최영철 ||
|| 46대
김혁수 || 47대
박정환 || 48대
정철재 || 49대
장광선 || 50대
박후성 ||
||<-5><bgcolor=#ed1c24> ※ 초대~2대: 소장 · 3대~현재: 중장 ||
||<-5><bgcolor=#ed1c2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강문봉 ||<width=20%> 2대
최영희
||<width=20%> 3대
장도영 ||<width=20%> 4대
최경록 ||<width=20%> 5대
민기식
||
|| 6대
장창국
|| 7대
김용배
|| 8대
박경원 || 9대
정래혁
|| 10대
문형태
||
|| 11대
한신
|| 12대
채명신 || 13대
박원근 || 14대
이병형 || 15대
박희동 ||
|| 16대
김종수 || 17대
진종채 || 18대
차규헌 || 19대
이기백 || 20대
김홍한 ||
|| 21대
오자복
|| 22대
이종구 || 23대
민경배 || 24대
이필섭
|| 25대
김연각 ||
|| 26대
김진선 || 27대
박세환 || 28대
조성태
|| 29대
김진호
|| 30대
조영길 ||
|| 31대
김인종 || 32대
홍순호 || 33대
양우천 || 34대
권영기 || 35대
박영하 ||
|| 36대
조재토 || 37대
이철휘 || 38대
조정환
|| 39대
김요환
|| 40대
이순진
||
|| 41대
박찬주 || 42대
박한기
|| 43대
황인권 || 44대
김정수 || 45대
신희현 ||
|| 46대
고창준 ||
||<-5><bgcolor=#2e3192> 명칭 변천: 제2군사령관(초대~35대) ▸ 제2작전사령관(35대~현재) ||
||<-5><bgcolor=#2e3192>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경배.png

閔庚培
1936년[1] ~ 2016년 12월 21일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무직공무원이다. 본관은 여흥(驪興)[2], 자는 석평(碩平).


2. 생애[편집]


1936년 강원도 홍천군 동면(現 홍천군 영귀미면) 성수리에서 아버지 민택규(閔宅奎, 1901 ~ 1950. 1. 2)[3]와 어머니 전주 이씨 사이에서 4남 4녀 중 셋째 아들, 다섯째로 태어났다. 휘문고등학교, 육군사관학교(14기)를 졸업하고 1987년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외교안보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4]를 취득했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5] 제2군단장, 육군교육사령관을 거쳐 1988년 6월부터 1990년 1월까지 제23대 제2야전군사령관을 지내고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 후 1990년 12월 27일부터 1993년 2월 25일까지 제14대 국가보훈처장을 지냈다.

2002년 10월 28일 이한동 제33대 국무총리하나로국민연합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하자, 이때 군 출신 창당발기인으로 참여했다.

2009년 박세직 제32대 대한민국재향군인회장의 별세로 인해 9월 25일 치러진 제33대 대한민국재향군인회장 보궐선거에 출마했으나 고려대학교 ROTC(1기) 출신으로 제27대 제2야전군사령관을 지낸 박세환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016년 12월 21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했다. 유해는 2016년 12월 23일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2묘역에 안장되었다.


3.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1:05:10에 나무위키 민경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흥민씨세보 권16 127쪽에는 1935년생으로 등재돼 있다.[2] 호참공파(戶參公派)-홍천(洪川) 문중 32세 경(庚) 항렬.[3] 자는 군일(君一).[4] 석사 학위 논문 : 韓國安保(한국안보)의 戰略的環境(전략적환경)과 軍事力發展(군사력발전)에 關(관)한 硏究(연구): 軍事發展上(군사발전상)의 理論(이론)과 實際(실제)를 中心(중심)으로(1987).[5] 군번 17568[6] 자는 대평(大平).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