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민상호

덤프버전 :

역임 지위
[ 펼치기 · 접기 ]

조선귀족
朝鮮貴族
【 펼치기 ・ 접기 】

수작후작백작
완순군 · 의양군 · 창산군 · 청풍군 · 박영효 · 윤택영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5] · 최석민 · 한창수
습작후작백작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윤의섭 · 박찬범 · 이병길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 · 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3]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성주경 · 윤치호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풍한 · 장인원 · 정주영 · 정천모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승작후작백작
이완용고희경 · 송병준
반납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이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조희연 · 한규설 · 홍순형
{{{-2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2] 1872년생 이완용(李完鎔)으로 1858년생 이완용(李完用)과 동명이인임. [3] 1927년 파산자로 선고되어 조선귀족령 제8조 1항에 따라 1928년 2월 29일부로 자작의 예우가 정지되었지만 자식이었던 조중수에게 자작 작위가 승작됨. [4] 1919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독립 운동에 협조해 습작 불능 처리됨. [5] 재산 분쟁으로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오등작일제강점기 조선귀족에 공작은 없었으며, 그에 준하는 작위와 관련한 정보는 왕공족 문서 참고. ※ 취소선 표시는 작위를 박탈당한 인물을 뜻함.
작위 박탈 사유 [ 펼치기 · 접기 ]
  • 윤치호 : 1913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됨에 따라 작위 박탈
  • 김사준 : 1915년, 조선보안법 위반 사건에 연루되어 작위 박탈. 신한혁명당의 간부 중 하나인 성낙형이 고종을 망명시키고자 했는데, 김사준이 이를 수락하고 실행에 옮기려다 일제에 발각되어 김사준을 비롯한 고종 망명 사건 관련자들 다수가 검거
  • 김윤식 : 1919년, 독립 청원서 제출로 인해 작위 박탈
  • 이용직 : 1919년, 독립 청원서 제출로 인해 작위 박탈
  • 민영린 : 1919년, 아편 흡입죄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김병익 : 1919년, 아편 흡입죄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민태곤 : 1941년 12월, 도쿄에서 조선민족독립운동 사건으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62861> 의장1 ||
||<width=20%>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width=20%>
제2대

미즈노
렌타로 ||<width=20%>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width=20%>
제4대

시모오카
주지 ||<width=20%>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
||
제6대

이케가미
시로 ||
제7대

고다마
히데오 ||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
||
제11대

엔도
류사쿠 ||
||<-5><bgcolor=#062861> 부의장 ||
||
초대

김윤식 ||
제2대

이완용 ||
제3대

박영효 ||
제4대

민병석 ||
제5대

윤덕영 ||
||
제6대

이진호 ||
제7대

박중양 ||
||<-5>
[ 1910 ]

고문
고영희권중현민상호박제순송병준
이근상이근택이완용이재곤이지용
이하영임선준장석주조중응조희연
조민희한창수
찬의
강경희권봉수김만수김사묵김영한
남규희민상호박경양박승봉박제빈
박중양염중모유맹유정수윤치오
이건춘이겸제이재정이준상정인흥
조영희조희문한창수홍승목홍종억
부찬의
고원식구희서권태환김교성김낙헌
김명규김명수김준용김필희김한규
김한목나수연민건식민원식박제환
박희양서상훈서회보성하국송지헌
송헌빈신우선신태유어윤적엄태영
오재풍오제영윤치오이도익이만규
이봉로이원용이항직정동식정병조
정진홍조병건조재영조제환조원성
최상돈한동이허진홍우철홍운표
홍재하

[ 1920 ]

고문
고희경권중현민병석민영기박영효
송병준이하영윤덕영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김영한김한목남규희민상호
민영찬민형식박승봉박이양박기양
박상준박승봉박의병박제빈박중양
백인기상호서상훈신석린신응희
어윤적엄준원염중모유맹유성준
유정수유혁로이건춘이겸제정진홍
조민희조진태조영희조희문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고원훈권태환김갑순김교성
김기태김명규김명준김상설김상섭
김연상김영무김정태김준용김창한
김필희김현수나수연노창안박경석
민건식민영은박기동박기순박봉주
박이양박제환박종렬박흥규박희양
방인혁서병조선우순송종헌송지헌
신석우신태유신창휴심준택심환진
안병길양재홍오재풍오태환원덕상
유기호유빈겸유익환유흥세윤치소
이강원이근우이기승이도익이동우
이만규이병렬이병학이택규이택현
이항직이흥재이희덕장대익장도
장상철장응상장직상장인원전석영
정동식정란교정병조정순현정재학
정태균정호봉조병건천장욱최석하
피성호한영원한상봉한창동허명훈
홍성연현은
참의
구연수김윤정김춘희김한목김희작
남규희민병석박기순원응상윤갑병
윤정현장헌식정건유현기봉

[ 1930 ]

고문
민병석윤덕영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서규김영진
김윤정남궁영민상호박두영박상준
박영철박용구박중양서상훈신석린
어담엄준원염중모유정수유진순
유혁로윤갑병이겸제이범익이진호
장헌식정교원조경하조성근조희문
주영환최린한규복한상룡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강번고일청김경진김기수
김기홍김도현김두찬김병규김사연
김상설김상형김상회김신석김영택
김정석김정호김종흡김진수김창수
김한규김한목김한승남백우노영환
문종구민병덕박기석박종렬박보양
박봉진박철희박희옥방의석방태영
서병조서병주석명선선우순성원경
손재하손조봉송지헌신희련안종철
오세호오태환원덕상유승흠유태설
이경식이교식이근수이근우이기찬
이기승이동우이명구이방협이승우
이병렬이선호이은우이종섭이충건
이진호이택규이희덕이희적인창환
장대익장석원장직상장헌근정관조
정란교정대현정석모정석용정해붕
조병상주영환지희열최남선최양호
최연국최윤최윤주최준집최지환
최창조하준석한영원현준호현헌
홍치업황종국
참의
강필성김병원김성규김제하박상준
어윤적유만겸유성준진희규홍정철

[ 1940 ]

고문
김윤정박중양윤치호이범익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사연김연수
김영배김영진김우영김윤정김태석
김화준박두영박상준서상훈신석린
안종철원덕상유만겸유진순이겸제
이경식이계한이병길이원보장직상
장헌식정교원정란교정연기진학문
최린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권중식김경진김동준김병욱
김부원김사연김신석김원근김재환
김태집노준영민재기박지근박창하
박필병방의석서병조손창식송문화
신현구양재창원병희위정학이경식
이기찬이승우이신용이영찬이익화
이종덕임창수장용관장윤식장준영
장직상전덕룡조병상조상옥차남진
최윤최승렬최정묵최준집한익교
한정석현준호황종국
참의
김하섭문명기이승구

||
||<-5> 1. 중추원 의장은 조선 총독부 정무총감이 맡았다.
†. 재직 중 사망.
||





조선귀족 남작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민상호
閔商鎬 | Min Sang-ho
파일:민상호-1.jpg
이름민상호 (閔商鎬)
초명민주호 (閔周鎬, Min Chou-ho[1])
본관여흥 민씨 (驪興)
출생1870년 6월 3일(고종 7년)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사망1933년 9월 5일(향년 63세)
직업관료, 정치가
종교유교 (성리학)
-> 불교
국적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제강점기 조선
소속 단체

작위조선귀족 남작
묘소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
주요 경력독립협회 위원
경기도 관찰사
궁내부 특진관
조선귀족 남작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1. 개요
2. 상세
3. 생애
4. 둘러보기

파일:민상호-2.jpg
민상호 초상화[2]


1. 개요[편집]


閔商鎬
(1870-1933)

구한말 시기의 관료로 홍영식 이후 우정사업의 발전에 이바지했지만, 조선귀족 남작의 작위를 받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전락한다.

본관은 여흥 민씨. 친부는 민치억이나 민치덕에게 입양되었다.


2. 상세[편집]


파일:민상호-3.jpg
친미 성향의 온건개화파 관료로 1870년 한성부 출신이다. 외교관으로 활동하다 정동구락부의 일원으로 합류했고 윤치호, 민영환 등과 교류했다. 일본이 명성황후를 시해했고, 김홍집, 유길준, 정병하 등을 중심으로 한 친일 내각을 성립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친미/친러 세력과 춘생문 사건을 일으켰다. 하지만 춘생문 사건이 이진호 등의 밀고로 실패로 끝나자 다시 아관파천을 일으켜 정동파, 친미/친러 세력이 주도권을 잡는데 기여했다. 1900년대에는 친일파로 전향해 일제조선 강제 병합에 협조했고 이후 조선귀족 남작, 중추원 고문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3. 생애[편집]


1870년, 한성에서 출생하였다. 5세 무렵인 1875년부터 가정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1883년 13세 때 영어 통역관을 양성하기 위해서 통리기무아문에 부설된 동문학에서 잠시 수학하였다. 이후 1885년경 상하이 중서학원으로 유학하였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1887년 메릴랜드 농과대학에 입학[3]하였다. 1888년 박정양의 권유로 귀국하여 내무부 주사에 임명되었다.

1891년 증광시에 급제한 뒤 1894년 외무 참의, 1895년 궁내부 참서관 겸 외사과장, 1896년 외부 교섭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1896년 학부 협판과 농상공부 협판을 지냈다. 이듬해부터 1년 7개월 동안 영국·독일·러시아·이탈리아·프랑스·오스트리아 등의 주차 공사관 1등 참서관으로 근무하였다. 이 시기에 친미 개화파의 사교모임인 정동구락부의 일원으로 민영환, 윤치호, 이상재 등과 정치적 목적을 공유하며 교류하였다.

1895년 11월 28일 친미·친러 세력이 친일정권을 타도하기 위해서 일으킨 '춘생문 사건'에 연루되었다. 거사 실패 후 잠시 밀려났으나 1896년 2월 11일 아관파천을 성사시킨 뒤 정동파 세력이 주도권을 잡는 데 기여하였다. 이어서 친미파 중심의 상승 분위기를 타고 결성된 독립협회 운동에 참여하였다. 1896년 7월 독립협회 결성을 주도하고 위원으로 선출된 뒤 근대 개혁을 위한 세력 결집과 계몽운동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1897년 2월 영공회 2등 전권위원을 지냈고, 1898년 10월 외부 협판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농상공부 협판, 농상공부대신 사무서리를 겸직하였고, 1899년 한성부 판윤과 경무사 서리를 역임하였다. 1900년 1월 학부 협판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통신원 총판에 임명되어 통신기관의 정비와 우정사업의 확장에 기여하였다. 1901년 2월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3등 태극장을 받았다.

1902년 9월부터 1907년 9월까지 육군 참장을 지냈다. 1904년 3월 이토 히로부미가 일본의 특파대사로 한국에 오자 영접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훈2등 서보장을 수여하였다. 1905년 7월부터 2개월 동안 일본 시찰 사무원 자격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1906년 5월 제도국 총재, 8월에 경기도 관찰사, 11월 궁내부 특진관에 각각 임명되었다. 1907년에는 규장각 지후관과 수학원장을 지냈다.

1908년 9월에는 대만과 조선의 식민화를 보조하고 촉진하기 위해 일본에서 조직된 동양협회에 가입하여 50원을 기부하였다. 1910년 일제의 강제 병합조약 체결로 국권이 넘어간 뒤, 일본 정부로부터 남작의 작위를 받았다. 1915년 9월 조선 지배 5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의 발기인 및 특별회원으로 참여하고 50원을 출연하였다. 1917년 친일 불교단체인 불교옹호회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18년 12월부터 1921년 4월까지 조선총독의 자문기구인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고문을 지냈다. 1921년 4월 28일부터 1933년 9월 5일 사망할 때까지 중추원 참의로 재임하면서 일제의 식민지배에 적극 협력하였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7:16:21에 나무위키 민상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메릴랜드 농과대학 입학 당시 학적부 영문명[2] 휘베르트 보스, 1898년[3] 이 때 민상호와 함께 입학한 사람은 한국인 최초로 미국 대학을 졸업하게 되는 변수(1861)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