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천시/정치

덤프버전 :

||




1. 기본 정보[편집]



1.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부천시 CI.svg 경기도 부천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부천시 갑부천시1부천동원미동일부,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
부천시2심곡동원미동일부, 심곡동, 소사동
부천시 을부천시3중동, 상동중동, 상동일부
부천시4신중동약대동, 상동일부
부천시 병부천시5대산동, 소사본동심곡본동, 송내동, 소사본동
부천시6범안동범박동, 옥길동, 계수동, 괴안동
부천시 정부천시7성곡동여월동, 작동, 원종동일부, 고강동
부천시8오정동원종동일부, 오정동, 대장동, 내동, 삼정동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천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천시 CI.svg부천시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2. 지역 특성[편집]


수도권의 대표적인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 중 하나다. 19대~21대 총선에서 3연속으로 민주당이 전석을 석권했다. 거의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 지지세가 고르게 강하다는 점에서는 서울 관악구와 얼추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의 관악구, 인천의 계양구 급의 민주당 텃밭이다.

옛 원미구 지역에서는 원미구 을에서 새누리당 의원었던 이사철 전 의원과 배기선 전 의원의 15~18대에 걸친 4차례의 맞대결이 유명하다. 15대, 18대에서는 신한국당 - 한나라당 이사철 전 의원이 당선되었고 16, 17대에는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 배기선 전 의원이 당선되었다. 결과는 2:2였으나 배기선 전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구속되고, 이사철 의원까지 공천에서 탈락하여 결국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손숙미 후보와 민주통합당 설훈 후보가 대결하였고 설훈이 3번 연속 당선되어 현재에 이른다.

옛 오정구 지역은 민주당계 정당의 당세가 매우 강한 지역구이다. 지역구가 생긴 93년 이후 5번의 총선에서 모두 민주당 계열이 승리했다. 원혜영이 오정구 분구 전(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중구 을 선거구)부터 이곳에서 5선 국회의원을 역임 중이다. 옛 오정구 지역의 현직 국회의원 및 경기도 의원은 모두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옛 소사구 지역은 과거 13대 총선에서 통일민주당의 최기선 후보[1]가 당선되었지만 1990년 3당 합당 이후로는 보수 정당에 유리해졌다. 이후 김문수의 지역구였는데, 김문수가 도지사 선거를 위해 물러난 이후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이 18대 국회에서 자리를 지켰다. 그러다가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김상희 후보가 51,300표를 득표하면서 44,306표를 득표한 새누리당 차명진 후보를 큰 표차로 누르고 지역구를 뺏어왔고,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역시 새누리당 차명진 후보를 꺾고 3선에 성공했다.[2]

시장의 경우, 민선 2,3기 시장을 역임한 원혜영 당시 시장의 시정 평가가 매우 좋은 편이었고, 원혜영이 오정구 지역구에서 5선 의원을 역임하고 있는 것도 부천 토박이인 것도 있지만 부천시장 때의 평가가 매우 좋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시장직 공석으로 치러진 재보궐선거는 두 달 전의 총선에서의 열린우리당 압승이 무색하리만큼 여당이 참패한 선거였고 마찬가지로 부천에서도 한나라당의 홍건표 후보가 시장에 당선, 연임하였다. 그러나 폭설 외유 논란을 일으키는 등 시정 평가가 매우 좋지 못했고, 결국 2010년 지방선거에서 김만수 청와대 전 대변인에게 20% 이상의 차이로 대패하면서 시장 자리는 다시 민주당계 정당의 차지로 돌아갔고, 김만수 시장이 연임에 성공하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김만수 시장이 차기 총선 도전의 이유로 불출마를 선언하였는데, 민주당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답게 더불어민주당 부천시장 예비후보가 무려 9이나 몰렸다. 모든 지자체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이라고 한다. 자유한국당은 2018년 5월 현재 경기도 다른 지역은 경기도지사 남경필 후보를 포함해 모두 단체장 공천을 마무리했으나 유일하게 부천시장 후보에만 공천을 하지 못하다가 간신히 최환식 후보를 공천했다. 시장 투표에선 더불어민주당 장덕천 후보가 트리플스코어로 압도적으로 승리하고, 도의원도 싹쓸이, 시의원도 28석 중 20석을 차지했다. 안 그래도 부천은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투표 하루 전에 자유한국당 정태옥 의원의 이부망천이라는 희대의 망언으로 인해 남경필을 비롯한 부천에 출마한 자유한국당 후보들은 죽을 쒔다.[3]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전 지역구에서 과반 득표율을 기록하며 싹쓸이했고, 심지어 비례대표에서도 미래한국당이 득표율 30%를 돌파한 지역구는 한 군데도 없었다. 다만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종부세 인상으로 인해 부동산 이슈에 민감한 중동신도시 지역은 보수정당이 어느 정도 지지를 회복할 가능성도 있다.[4]

그러나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모든 동과 모든 국회의원 지역구에서 이재명 후보가 승리를 거두고, 전체 구역들을 모두 합하며 10% 차이가 넘게 윤석열 후보를 이겼다.[5] 서울을 넘어 경기도에까지 영향을 미친 수도권 부동산 역풍은 적어도 부천시의 민주당 아성을 깨진 못했다.[6]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했다. 특히 개표율이 90%가 넘어도 접전이 었던 경기도지사 선거에도 영향을 크게 미쳤는데, 개표 초반에는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가 격차를 크게 벌리며 앞서 나가고 있었으나, 인구수가 많은 부천시의 개표가 진행됨에 따라,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결국 역전을 허용하여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8,913표차로 신승을 거두며, 부천장군의 위용을 새삼 재확인했다.[7][8] 다만 이전의 선거보다는 격차가 상당히 줄었으며 부천시장 선거 가준으로는 국민의힘이 부천시 을 선거구의 신중동[9]에서 단 8표차로 승리하고, 중동을 가져오면서 중동신도시 지역의 보수화는 선거가 진행될수록 현실화되고 있다.

정치 지형과는 별개로, 책임읍면동제 실시로 동이 줄어들면서 행정복지센터도 자연스레 줄어드는 바람에 보통 행복센터에 설치되는 사전투표소도 줄어들어 투표를 불편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21대 총선의 부천시 사전투표율은 19.71%로 전국 꼴찌를 기록했고, 본투표를 합산한 총 투표율도 하위권이었다. 이때문에 결국 책임읍면동제를 폐지하고 2024년부터 다시 일반구로 전환되는데, 하필, 인구가 줄어들어 기존 4곳의 선거구를 3곳으로 통폐합하게 되면서 한동안은 지역구 명칭을 쓰지 못한 채 선거를 치를 전망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부천시 CI.svg 역대 부천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중구남구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임무웅,(초선),

ta-hash-start=w-9e5238f97bcf5cbfe605cdbed7f4e26d[[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기선,(초선),
중구 갑중구 을남구
14대

안동선,(재선),


원혜영,(초선),


박규식,(재선),
원미구 갑원미구 을소사구오정구
15대
ta-hash-start=w-e57510647977b2ea5be80fbfe74dd5e3[[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안동선,(3선),

ta-hash-start=w-c7226ffd4a80a6abfd8b4e348e11e7a0[[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사철,(초선),

ta-hash-start=w-a7fa68001024e0086ceac21f3a290a9b[[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문수,(초선),

ta-hash-start=w-4a481c12f9ce3441585bc800ae000fe8[[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최선영,(초선),
16대
ta-hash-start=w-a59687b426e9eb30465997eb54862a2e[[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안동선,(4선),

ta-hash-start=w-ac67dfce0ec1c3d113cfe8f34fffb366[[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배기선,(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문수,(재선),

ta-hash-start=w-71f2f6270bee686af15cad76ceed627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선영,(재선),
17대
ta-hash-start=w-75179ec48bcbbdd4fbd025a4db2dc3b8[[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김기석,(초선)[10],

ta-hash-start=w-c0f168ce8900fa56e57789e2a2f2c9d0[[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배기선,(3선),
김문수,(3선)[11],원혜영,(재선),
임해규,(초선)[12],차명진,(초선)[13],
18대임해규,(재선),이사철,(재선),차명진,(재선),원혜영,(3선),
19대김경협,(초선),설훈,(3선),김상희,(재선),원혜영,(4선),
20대김경협,(재선),설훈,(4선),김상희,(3선),원혜영,(5선),
부천시 갑부천시 을부천시 병부천시 정
21대김경협,(3선),설훈,(5선),김상희,(4선),서영석,(초선),


파일:부천시 CI.svg 역대 부천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4 재보궐2006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한나라당
이해선원혜영[14]홍건표
2010201420182022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김만수장덕천조용익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이해선 37.28%

2위:
ta-hash-start=w-5807a685d1a9ab3b599035bc566ce2b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김길홍 23.07%
3위:
ta-hash-start=w-aeca6f6db3693e36434b38af6e683b9a[[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흥식 13.45%
1998년1위:
ta-hash-start=w-38af100fd696ba7cd3ad7de30b94d1f2[[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원혜영 54.31%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해선 33.82%
2002년1위:
ta-hash-start=w-1267ac2eb7f0d24dda23fede8b5eadf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혜영 55.01%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홍건표 44.98%
2004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건표 47.43%

2위:
ta-hash-start=w-b9e91ae6816f6ec0c788963ae36b725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신철영 30.35%
3위:
무소속

방비석 14.25%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건표 59.11%

2위:
ta-hash-start=w-eb2af3c11079cf65589c05c5240a1541[[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방비석 28.18%
2010년1위:
ta-hash-start=w-11e48f522f94aca7b5a3fdc316b2d737[[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김만수 59.17%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건표 37.63%
2014년1위:
ta-hash-start=w-671d34eaa88d092cf472115036af2fcb[[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만수 54.68%

2위:
ta-hash-start=w-56f2f03456368b479feb79f5a4ea97a6[[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진 43.92%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장덕천 66.19%

2위:
ta-hash-start=w-2ade688b34d8b8adbb769b79e4fee500[[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환식 20.45%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용익 52.49%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서영석 47.50%



3.1. 지선[편집]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부천시
부천시 일원[부천]
정당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229,343124,42021,44710,7062,891
득표율58.98%32.0%5.51%2.75%0.74%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715,281
투표 수396,259
무효표 수7,452
투표율55.40%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부천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
(득표율)
229,343
(58.98%)
124,420
(32.0%)
21,447
(5.51%)
10,706
(2.75%)
2,891
(0.74%)
+104,923
(△26.98)
55.40%
심곡2동60.33%31.02%5.14%2.75%0.76%△29.3140.61
심곡1동59.06%32.99%4.64%2.34%0.97%△26.0744.33
심곡3동57.93%33.09%5.47%2.68%0.83%△24.8445.02
원미2동56.41%34.95%5.84%1.98%0.82%△22.4649.34
소사동56.30%35.98%4.44%2.52%0.76%△20.3246.85
원미1동57.92%33.55%5.03%2.62%0.87%△24.3749.52
역곡1동58.81%32.63%5.37%2.40%0.78%△26.1856.47
역곡2동60.03%30.99%5.51%2.60%0.86%△29.0455.36
춘의동59.29%31.99%5.25%2.57%0.90%△27.3049.22
도당동59.52%31.66%5.33%2.16%1.32%△27.8646.03
중동55.88%34.72%5.81%2.95%0.63%△21.1652.41
상동52.91%37.34%6.08%2.95%0.71%△15.4753.35
상1동61.09%29.78%5.58%3.05%0.49%△31.3160.25
중4동58.49%32.45%5.20%2.98%0.88%△26.0460.53
약대동58.43%32.36%5.84%2.55%0.82%△26.0754.26
중1동58.40%32.08%6.04%2.86%0.62%△26.3254.77
중2동51.79%38.38%6.57%2.63%0.62%△13.4155.28
중3동57.07%33.44%5.97%2.78%0.74%△23.6357.14
상2동59.27%30.65%6.21%3.22%0.64%△28.6261.61
상3동56.35%33.48%6.52%3.08%0.56%△22.8761.61
심곡본동53.32%38.02%5.10%2.61%0.95%△15.3047.43
심곡본1동56.41%34.99%5.23%2.44%0.92%△21.4245.51
송내1동56.47%33.69%6.01%3.07%0.75%△22.7857.35
송내2동57.76%32.83%5.56%3.18%0.65%△24.9355.47
소사본동55.83%36.20%4.89%2.40%0.67%△19.6348.05
소사본3동55.57%35.72%5.37%2.69%0.64%△19.8557.78
괴안동58.10%33.92%4.81%2.58%0.59%△24.1852.85
범박동61.86%29.53%5.17%2.88%0.56%32.3363.04
역곡3동58.96%32.28%5.29%2.61%0.86%△26.6853.0
성곡동59.26%31.40%5.68%2.83%0.82%△27.8651.28
고강본동60.88%30.36%5.38%2.67%0.71%△30.5245.96
고강1동61.38%29.92%5.39%2.65%0.66%△31.4647.98
오정동58.87%32.95%4.93%2.50%0.75%△25.9250.84
원종1동59.55%31.80%5.42%2.37%0.86%△27.7546.45
원종2동61.33%29.58%5.30%2.86%0.93%△31.7546.40
신흥동59.43%32.32%5.14%2.24%0.87%△27.1142.54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격차
거소·선상투표59.03%28.43%7.68%3.07%1.79%△30.60
관외사전투표66.69%24.39%5.26%2.93%0.73%42.30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부천시
부천시 일원[부천]
정당
후보김동연김은혜
득표수182,163154,942
득표율52.95%45.0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702,974
투표 수347,502
무효표 수3,499
투표율49.43%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부천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동연김은혜
득표수
(득표율)
182,163
(52.95%)
154,942
(45.04%)
+27,221
(△7.91)
49.43%
심곡동52.15%45.79%△6.3638.80
부천동53.52%44.55%△8.9744.94
중동49.28%48.95%△0.33[15]48.09
신중동50.51%47.67%△2.8449.29
상동54.70%43.57%△11.1354.63
대산동51.19%46.74%△4.4546.22
소사본동50.42%47.47%△2.9547.42
범안동55.05%43.12%11.9350.78
성곡동53.74%44.16%△9.5842.77
오정동52.64%45.48%△7.1640.86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50.87%43.36%△7.51
관외사전투표56.70%40.67%16.03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부천시 갑[H][갑]52.98%45.03%△7.9642.32
부천시 을[I][을]51.75%46.46%△5.2850.41
52.57%45.44%△7.1348.28
부천시 정[K][정]53.20%44.80%△8.4041.82


3.1.2.2. 부천시장[편집]

부천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조용익서영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80,005
(52.49%)
162,895
(47.50%)
+ 17,110
(△4.99)
347,476
(49.42%)
심곡동[*A ]52.70%47.29%△5.4138.78
부천동[*B ]54.00%45.99%△8.0144.87
중동[*C ]48.93%51.06%▼2.1248.03
신중동[*D ]49.99%50.00%▼0.02[16]49.22
상동[*E ]53.31%46.68%△6.6453.30
대산동[*F ]51.09%48.90%△2.1946.18
소사본동[*G ]50.55%49.44%△1.1147.39
범안동[*H ]54.45%45.54%△8.9150.74
성곡동[*I ]52.88%47.11%△5.7742.73
오정동[*J ]51.39%48.60%△2.7940.84
후보조용익서영석격차투표율
거소투표50.40%49.59%△0.82
관외사전투표56.11%43.88%△12.23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3.2.1.1. 원미구[편집]

부천시 원미구
원미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21,498144,862
득표율45.45%54.1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54,869
투표 수268,007
무효표 수727
투표율75.52%

18대 대선 경기 부천 원미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121,498
(45.45%)
144,862
(54.19%)
-23,364
(▼8.74)
75.52%
심곡1동45.32%54.14%▼8.8267.16
심곡2동43.87%55.79%▼11.9263.53
심곡3동46.36%53.28%▼6.9267.68
원미1동46.56%53.12%▼6.5671.44
원미2동48.12%51.50%▼3.3872.14
소사동46.59%53.12%▼6.5369.01
역곡1동44.0%55.67%▼11.6776.36
역곡2동41.84%57.84%▼16.075.40
춘의동47.73%51.96%▼4.2370.47
도당동46.97%52.70%▼5.7371.35
약대동44.77%54.89%▼10.1274.10
중동47.18%52.51%▼5.3374.61
중1동43.63%56.02%▼12.3977.68
중2동50.59%49.15%1.4479.39
중3동45.86%53.80%▼7.9476.57
중4동44.44%55.22%▼10.7878.10
상동49.13%50.42%▼1.2974.45
상1동39.63%60.10%20.4780.09
상2동42.09%57.63%▼15.5481.02
상3동47.21%52.50%▼5.2981.30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4.10%65.14%31.04
국내부재자투표45.66%53.43%▼7.77

3.2.1.2. 소사구[편집]

부천시 소사구
소사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64,83574,327
득표율46.42%53.22%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85,997
투표 수140,133
무효표 수488
투표율75.34%

18대 대선 경기 부천시 소사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64,835
(46.42%)
74,327
(53.22%)
-9,492
(▼6.80)
75.34%
심곡본1동47.10%52.58%▼5.4868.23
심곡본동49.49%50.13%▼0.6470.09
소사본동49.36%50.35%▼0.9970.68
소사본3동46.22%53.49%▼7.2777.99
범박동46.52%53.07%▼6.5581.18
괴안동45.35%54.32%▼8.9775.83
역곡3동43.68%56.01%12.3374.80
송내1동44.85%54.82%▼9.9777.68
송내2동46.64%53.04%▼6.3875.20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8.10%61.31%23.21
국내부재자투표47.68%51.30%▼3.62

3.2.1.3. 오정구[편집]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50,29157,987
득표율46.28%53.36%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51,739
투표 수109,015
무효표 수349
투표율71.84%

18대 대선 경기 부천 오정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50,291
(46.28%)
57,987
(53.36%)
-7,696
(▼7.08)
71.84%
성곡동45.70%53.93%▼8.2373.46
원종1동47.51%52.14%▼4.6370.74
원종2동44.93%54.64%▼9.7171.63
고강본동44.97%54.75%9.7869.50
고강1동45.58%54.17%▼8.5970.46
오정동47.89%51.82%▼3.9373.43
신흥동48.49%51.15%▼2.6668.64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9.84%59.89%20.05
국내부재자투표46.83%52.17%▼5.34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부천시
부천시 일원[부천]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39,697100,544128,29734,08536,775
득표율44.23%18.55%23.67%6.29%6.78%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705,885
투표 수543,777
무효표 수1,935
투표율77.08%

19대 대선 경기 부천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239,697
(44.23%)
100,544
(18.55%)
128,297
(23.67%)
34,085
(6.29%)
36,775
(6.78%)
+111,400
(△20.56)
77.08%
심곡2동44.31%18.69%24.04%5.47%6.99%△20.2765.01
심곡1동42.67%19.37%24.85%5.45%7.09%△17.8268.12
심곡3동41.32%20.41%25.0%5.93%6.79%△16.3268.83
원미2동40.08%21.37%27.0%4.98%6.11%△13.0870.11
소사동42.32%22.14%24.0%5.17%5.87%△18.3270.50
원미1동41.99%20.91%24.44%5.37%6.88%△17.5573.64
역곡1동44.80%19.41%23.53%5.62%6.30%△21.2778.48
역곡2동45.05%17.32%23.77%6.47%6.84%△21.2876.90
춘의동43.02%20.04%24.26%5.58%6.69%△18.7672.65
도당동42.15%19.93%25.19%5.56%6.73%△16.9670.27
중동43.18%19.77%23.43%6.57%6.53%△19.7574.70
상동42.02%20.65%23.39%6.54%6.94%△18.6376.45
상1동49.76%15.20%21.48%6.73%6.50%28.2882.87
중4동46.63%17.41%21.80%6.80%7.0%△24.8381.37
약대동43.50%18.25%24.02%6.99%6.80%△19.4877.55
중1동46.36%17.14%23.03%6.56%6.50%△23.3378.59
중2동40.76%21.44%24.57%6.88%5.98%△16.1978.69
중3동44.41%18.84%24.46%6.61%6.46%△19.9579.26
상2동48.87%14.81%22.34%7.22%6.50%△26.5382.53
상3동45.43%17.08%23.07%7.85%6.24%△22.3683.75
심곡본동39.94%23.18%25.03%4.96%6.41%△14.9169.99
심곡본1동41.38%21.86%24.50%5.18%6.46%△16.8869.37
송내1동44.30%19.37%23.77%6.16%6.06%△20.5378.44
송내2동43.16%19.02%23.42%6.93%7.08%△19.7477.25
소사본동39.45%23.71%24.81%5.61%5.93%△14.6470.10
소사본3동42.25%20.76%23.91%6.28%6.35%△18.3478.59
괴안동42.93%19.96%23.27%6.35%7.05%△19.6676.46
범박동47.07%17.63%22.52%6.23%6.17%△24.5583.11
역곡3동43.92%20.01%23.22%5.90%6.49%△21.7074.64
성곡동43.50%19.15%24.0%5.92%6.92%△19.5073.91
고강본동41.80%19.42%25.54%5.72%7.0%△16.2668.67
고강1동42.91%19.08%24.56%5.77%7.10%△18.3571.65
오정동42.35%19.50%24.45%6.06%7.25%△17.9073.63
원종1동42.93%19.60%24.26%5.81%6.81%△18.6770.47
원종2동43.21%17.64%25.31%5.92%7.40%△17.9070.28
신흥동41.40%19.83%25.99%5.51%6.86%△15.4166.26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70%16.94%35.15%6.92%3.10%△0.55
관외사전투표48.59%13.30%22.24%7.32%8.02%△26.35
재외투표62.07%7.07%14.12%3.73%12.44%49.63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부천시
부천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285,227224,331
득표율53.97%42.4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699,678
투표 수532,995
무효표 수4,519
투표율76.18%

20대 대선 경기 부천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285,227
(53.97%)
224,331
(42.44%)
+60,896
(△11.53)
76.18%
심곡동54.39%41.82%△12.5768.23
부천동56.30%40.01%△16.2973.98
중동50.34%46.18%△4.1675.52
신중동50.92%45.82%△5.1076.88
상동52.54%44.14%△8.4080.46
대산동52.60%43.78%△8.8273.21
소사본동52.19%44.39%△7.8074.27
범안동55.38%41.14%△14.2477.03
성곡동56.93%39.61%17.3271.20
오정동55.77%40.54%△15.2370.19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8.20%44.40%△3.80[17]
관외사전투표55.17%40.63%△14.54
재외투표68.01%27.27%40.74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부천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56,020
(57.67%)
161,343
(36.34%)
+ 94,677
(△21.33)
449,613
(63.25%)
후보김경협이음재(1위/2위)(선거인/표수)
부천시 갑[18][19]48,002
(59.17%)
29,266
(36.07%)
+ 18,736
(△23.10)
82,208
(59.40%)
[ 펼치기 · 접기 ]

심곡동[*A ]57.14%37.82%△19.3252.81
부천동[*B ]58.41%37.20%△21.2158.39
후보김경협이음재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60.13%28.48%△31.65
관외사전투표67.49%27.19%△40.30
재외투표75.93%20.37%△55.56

후보설훈서영석(1위/2위)(선거인/표수)
부천시 을[20][21]80,889
(54.90%)
58,341
(39.60%)
+ 22,548
(△15.31)
148,949
(67.69%)
[ 펼치기 · 접기 ]

중동[*C ]51.51%43.02%△8.4961.69
신중동[*D ]53.89%40.88%△13.0165.30
상동[*E ]56.22%38.12%△18.1068.40
후보설훈서영석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8.38%42.53%△5.85
관외사전투표60.82%32.91%△27.91
재외투표78.00%16.00%△62.00

후보김상희차명진(1위/2위)(선거인/표수)
77,577
(60.55%)
41,642
(32.50%)
+ 35,935
(△28.05)
129,904
(64.35%)
[ 펼치기 · 접기 ]

대산동[*F ]57.02%35.10%△21.9259.49
소사본동[*G ]58.33%35.18%△23.1562.18
범안동[*H ]62.91%30.57%△32.3464.21
후보김상희차명진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53.05%39.43%△13.62
관외사전투표68.48%25.13%△43.35
재외투표68.54%29.78%△38.76

후보서영석안병도(1위/2위)(선거인/표수)
부천시 정[22][23]49,552
(56.74%)
32,094
(36.75%)
+ 17,458
(△19.99)
88,552
(58.85%)
[ 펼치기 · 접기 ]

성곡동[*I ]56.37%37.61%△18.7656.43
오정동[*J ]55.55%37.79%△17.7656.52
후보서영석안병도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51.10%28.63%△22.47
관외사전투표64.54%27.77%△36.77
재외투표69.35%25.81%△43.54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21,245
(28.10%)
165,053
(38.26%)
47,812
(11.08%)
29,643
(6.87%)
23,964
(5.55%)
- 43,808
(▼10.16)
449,603
(63.22%)
[ 펼치기 · 접기 ]

심곡동[*A ]29.23%38.57%9.71%6.00%4.74%▼9.3452.81
부천동[*B ]28.76%39.57%9.79%6.05%4.81%▼10.8158.39
중동[*C ]32.01%35.18%9.62%7.34%5.12%▼3.1761.68
신중동[*D ]30.16%36.89%10.65%7.82%5.56%▼6.7365.21
상동[*E ]28.33%37.32%11.13%8.81%6.47%▼8.9968.39
대산동[*F ]29.02%36.95%12.04%6.73%4.72%▼7.9359.50
소사본동[*G ]29.50%37.05%11.49%6.13%5.07%▼7.5562.17
범안동[*H ]25.96%39.04%12.65%7.14%5.76%▼13.0864.21
심곡동[*I ]28.12%39.17%10.42%6.17%5.27%▼11.0556.43
부천동[*J ]28.50%39.53%10.58%5.54%4.77%▼11.0356.51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22.80%34.65%12.70%7.38%4.02%▼11.85
관외사전투표22.00%40.68%12.72%6.68%7.73%▼18.68
재외투표16.50%39.67%11.33%5.17%16.67%▼23.00



[1] 부천에서의 의정 활동보다는 인천광역시장으로서의 인지도가 더 높다. 김영삼 정부 시절 관선 인천직할시장을 지냈고 민선 1·2기 인천광역시장을 지내기도 했다.[2]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에서만 보면 재선에 성공한 것이다. 초선은 비례대표로 보냈기 때문이다.[3] 거기다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더불어민주당에 유리한 상황이었다. 결국 남경필은 그의 정치 커리어 첫 낙선 경험을 했다.[4] 실제로 중동신도시를 관할하는 부천시 을 선거구는 21대 총선 개표결과 민주당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낮았고 통합당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늪았다. 심지어 대형평수/초고층 아파트가 밀집한 길주로 인근의 투표소에서는 통합당 후보가 승리하기까지 했다.[5] 이재명이 수도권 모든 투표소에서 이긴건 서울시 강북구, 경기도 오산시의정부시와 더불어 유일하다.[6] 다만 부동산 표심이 강한 부천시 을은 51:45 정도로 타 지역구에 비해서는 표차가 적었다. 민주당 대선 후보가 결정된 이후에도 후보와 계파가 다른 지역구 의원경선 패배자 계파를 위한 콘서트에 참여하고 부천시장도 여기에 거드는 등 개인행동을 하고 대선 선거운동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은 점도 크게 작용했다. 부천시 안에서도 지역에 따라 표심이 조금씩 달랐던 셈.[7] 부천시의 개표가 빨랐다면 김동연 당선자의 당선이 빨랐을 가능성이 높지만, 늦게 개표되면서 다른 불리한 지역의 개표를 상쇄시키고도 남았다.[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 막판 김은혜후보가 방송사 AI시스템에서 당선유력이 나왔음에도 부천지역 미개표가 많이 남아있던 이유로 당선을 확신하지 못했으며, 실제로 개표 속도가 붙으면서 더불어민주당 김동연후보에게 몰표가 쏟아졌고 결국 당선되었다.[9] 금호리첸시아와 두산 위브 더 스테이트가 있는 동네로 부천시내에서 제일가는 부촌으로 꼽힌다.[10] 05.8.19.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11] 06.4.24. 의원직 사퇴 (경기도지사 출마)[12] 05.10.26. 재보궐선거[13] 06.7.26. 재보궐선거[14] 03.12.6. 시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부천] A B C 심곡동, 부천동, 중동, 신중동, 상동, 대산동, 소사본동, 범안동, 성곡동, 오정동[15]52표 차였다.[H]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부림동, 관양1동, 관양2동[갑] 지역구 국회의원: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3선)[I] 평촌동, 평안동, 귀인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범계동, 신촌동, 갈산동[을] 지역구 국회의원: 설훈 (더불어민주당, 5선)[K] 평촌동, 평안동, 귀인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범계동, 신촌동, 갈산동[정] 지역구 국회의원: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초선)[16] 8표 차이 (조용익 25,511 vs 서영석 25,519)[17]35표 차였다.[18] 행정동 심곡동, 부천동 (법정동 심곡동, 원미동, 소사동,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19] 지역구 국회의원: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3선)[20] 행정동 중동, 신중동, 상동 (법정동 중동, 약대동, 상동)[21] 지역구 국회의원: 설훈 (더불어민주당, 5선)[22] 행정동 성곡동, 오정동 (법정동 오정동, 원종동, 고강동, 작동, 여월동, 대장동)[23] 지역구 국회의원: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초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