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상환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법무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인
제2대
권승렬
제3대
이우익
제4대
김준연
제5대
조진만
제6대
서상환
제7대
조용순
제8대
이호
제9대
홍진기
제10대
권승렬
장도영 내각
송요찬 내각
김현철 내각
제11대
조재천
제12대
이병하
제13대
고원증
제14대
조병일
제15대
장영순
김현철 내각
제16-18대
민복기
제19대
권오병
제20대
이호
제21대
배영호
제22대
신직수
제23대
이봉성
제24·25대
황산덕
제26대
이선중
제27대
김치열
제28대
백상기
제29·30대
오탁근
제31대
이종원
제32대
정치근
제33대
배명인
제34대
김석휘
제35대
김성기
제36·37대
정해창
제38대
허형구
제39대
이종남
제40대
김기춘
제41대
이정우
제42대
박희태
제43대
김두희
제44대
안우만
제45대
최상엽
제46대
김종구
제47대
박상천
제48대
김태정
제49대
김정길
제50대
안동수
제51대
최경원
제52대
송정호
제53대
김정길
제54대
심상명
제55대
강금실
제56대
김승규
제57대
천정배
제58대
김성호
제59대
정성진
제60대
김경한
제61대
이귀남
제62대
권재진
제63대
황교안
제64대
김현웅
제65대
박상기
제66대
조국
제67대
추미애
제68대
박범계
제69대
한동훈
임시정부 법무부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003764><width=30%><rowbgcolor=#575757> {{{#fff '''직위'''}}} || {{{#fff '''명단'''}}} || || [[외교부장관|{{{#fff '''외무부장관'''}}}]]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000,#ddd 장택상}}}]] → [[임병직|{{{#000,#ddd 임병직}}}]] → [[변영태|{{{#000,#ddd 변영태}}}]] → [[조정환(1892)|{{{#000,#ddd 조정환}}}]] → [[허정|{{{#000,#ddd 허 정}}}]] || || [[행정안전부장관|{{{#fff '''내무부장관'''}}}]] || [[윤치영|{{{#000,#ddd 윤치영}}}]] → [[신성모|{{{#000,#ddd 신성모}}}]] → [[김효석(1894)|{{{#000,#ddd 김효석}}}]] → [[백성욱|{{{#000,#ddd 백성욱}}}]] → [[조병옥|{{{#000,#ddd 조병옥}}}]] → [[이순용|{{{#000,#ddd 이순용}}}]] → [[장석윤|{{{#000,#ddd 장석윤}}}]] → [[이범석|{{{#000,#ddd 이범석}}}]] → [[김태선|{{{#000,#ddd 김태선}}}]] → [[진헌식|{{{#000,#ddd 진헌식}}}]] → [[황호현|{{{#000,#ddd 황호현}}}]] → [[백한성|{{{#000,#ddd 백한성}}}]] → [[김형근(법조인)|{{{#000,#ddd 김형근}}}]] → [[이익흥|{{{#000,#ddd 이익흥}}}]] → [[장경근|{{{#000,#ddd 장경근}}}]] → [[이근직(1903)|{{{#000,#ddd 이근직}}}]] → [[민병기(1901)|{{{#000,#ddd 민병기}}}]] → [[김일환|{{{#000,#ddd 김일환}}}]] → [[최인규|{{{#000,#ddd 최인규}}}]] → [[홍진기|{{{#000,#ddd 홍진기}}}]] → [[이호(1914)|{{{#000,#ddd 이호}}}]] || || [[기획재정부장관|{{{#fff '''재무부장관'''}}}]] || [[김도연(1894)|{{{#000,#ddd 김도연}}}]] → [[최순주|{{{#000,#ddd 최순주}}}]] → [[백두진|{{{#000,#ddd 백두진}}}]] → [[박희현(1911)|{{{#000,#ddd 박희현}}}]] → [[이중재(1898)|{{{#808080,#7f7f7f 이중재}}}]]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인태식|{{{#000,#ddd 인태식}}}]]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송인상|{{{#000,#ddd 송인상}}}]] → [[윤호병(1891)|{{{#000,#ddd 윤호병}}}]] || || [[법무부장관|{{{#fff '''법무부장관'''}}}]] || [[이인|{{{#000,#ddd 이 인}}}]] → [[권승렬|{{{#000,#ddd 권승렬}}}]] → [[이우익|{{{#000,#ddd 이우익}}}]] → [[김준연|{{{#000,#ddd 김준연}}}]] → [[조진만|{{{#000,#ddd 조진만}}}]] → [[서상환|{{{#000,#ddd 서상환}}}]] → [[조용순|{{{#000,#ddd 조용순}}}]] → [[이호(1914)|{{{#000,#ddd 이 호}}}]] → [[홍진기|{{{#000,#ddd 홍진기}}}]] → [[권승렬|{{{#000,#ddd 권승렬}}}]] || ||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국방부장관'''}}}]] || [[이범석|{{{#000,#ddd 이범석}}}]] → [[신성모|{{{#000,#ddd 신성모}}}]] → [[이기붕|{{{#000,#ddd 이기붕}}}]] → [[신태영|{{{#000,#ddd 신태영}}}]] → [[손원일|{{{#000,#ddd 손원일}}}]] → [[김용우(1912)|{{{#000,#ddd 김용우}}}]] → [[김정렬(1917)|{{{#000,#ddd 김정렬}}}]] → [[이종찬|{{{#000,#ddd 이종찬}}}]] || || [[교육부장관|{{{#fff '''문교부장관'''}}}]] || [[안호상|{{{#000,#ddd 안호상}}}]] → [[백낙준|{{{#000,#ddd 백낙준}}}]] → [[김법린|{{{#000,#ddd 김법린}}}]] → [[이선근|{{{#000,#ddd 이선근}}}]] → [[최규남|{{{#000,#ddd 최규남}}}]] →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 [[이병도|{{{#000,#ddd 이병도}}}]] || || [[국토교통부장관|{{{#fff '''부흥부장관'''}}}]] || [[유완창|{{{#000,#ddd 유완창}}}]]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송인상|{{{#000,#ddd 송인상}}}]] → [[신현확|{{{#000,#ddd 신현확}}}]] → [[전예용|{{{#000,#ddd 전예용}}}]]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fff '''농림부장관'''}}}]] || [[조봉암|{{{#000,#ddd 조봉암}}}]] → [[이종현(1903)|{{{#000,#ddd 이종현}}}]] → [[윤영선(1896)|{{{#000,#ddd 윤영선}}}]] → [[공진항|{{{#000,#ddd 공진항}}}]] → [[임문환|{{{#000,#ddd 임문환}}}]] → [[함인섭|{{{#000,#ddd 함인섭}}}]] → [[신중목|{{{#000,#ddd 신중목}}}]] → [[정재설|{{{#000,#ddd 정재설{{{-3 (서리)}}}}}}]] → [[양성봉|{{{#000,#ddd 양성봉}}}]] → [[윤건중|{{{#000,#ddd 윤건중}}}]] → [[최규옥|{{{#000,#ddd 최규옥}}}]] → [[임철호|{{{#000,#ddd 임철호}}}]] → [[정낙훈|{{{#000,#ddd 정낙훈}}}]] → [[정운갑|{{{#000,#ddd 정운갑}}}]] → [[정재설|{{{#000,#ddd 정재설}}}]] → [[이근직(1903)|{{{#000,#ddd 이근직}}}]] → [[이해익|{{{#000,#ddd 이해익}}}]]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fff '''상공부장관'''}}}]] || [[임영신|{{{#000,#ddd 임영신}}}]] → [[윤보선|{{{#000,#ddd 윤보선}}}]] → [[김훈(정치인)|{{{#000,#ddd 김 훈}}}]] → [[이교선(1905)|{{{#000,#ddd 이교선}}}]] → [[이재형(정치인)|{{{#000,#ddd 이재형}}}]] → [[안동혁(1906)|{{{#000,#ddd 안동혁}}}]] → [[박희현|{{{#000,#ddd 박희현}}}]] → [[강성태(1903)|{{{#000,#ddd 강성태}}}]] → [[김일환|{{{#000,#ddd 김일환}}}]] → [[구용서|{{{#000,#ddd 구용서}}}]] → [[김영찬(1911)|{{{#808080,#7f7f7f 김영찬}}}]] → [[전택보|{{{#000,#ddd 전택보}}}]] → [[오정수|{{{#000,#ddd 오정수}}}]] || || [[보건복지부장관|{{{#fff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fff '''보건사회부장관'''}}}]] || [[전진한|{{{#000,#ddd 전진한}}}]] → [[이윤영|{{{#000,#ddd 이윤영}}}]] → [[허정|{{{#000,#ddd 허 정}}}]] → [[최창순|{{{#808080,#7f7f7f 최창순}}}]] → [[박술음|{{{#808080,#7f7f7f 박술음}}}]] / [[구영숙(1892)|{{{#808080,#7f7f7f 구영숙}}}]] → [[오한영|{{{#808080,#7f7f7f 오한영}}}]] →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br]→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 [[정준모|{{{#000,#ddd 정준모}}}]] → [[손창환(정치인)|{{{#000,#ddd 손창환}}}]] → [[김성진(1905)|{{{#000,#ddd 김성진}}}]] || || [[국토교통부장관|{{{#fff '''교통부장관'''}}}]] || [[민희식|{{{#000,#ddd 민희식}}}]] → [[허정|{{{#000,#ddd 허 정}}}]] → [[김석관|{{{#808080,#7f7f7f 김석관}}}]] → [[윤성순|{{{#000,#ddd 윤성순}}}]] → [[이종림|{{{#808080,#7f7f7f 이종림}}}]] → [[문봉제|{{{#000,#ddd 문봉제}}}]] → [[최인규|{{{#000,#ddd 최인규}}}]] → [[김일환|{{{#000,#ddd 김일환}}}]] → [[석상옥|{{{#808080,#ddd 석상옥}}}]]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fff '''체신부장관'''}}}]] || [[윤석구|{{{#000,#ddd 윤석구}}}]] → [[장기영(1903)|{{{#000,#ddd 장기영}}}]] → [[이순용|{{{#000,#ddd 이순용}}}]] → [[조주영(1900)|{{{#808080,#7f7f7f 조주영}}}]] → [[강인택|{{{#000,#ddd 강인택}}}]] → [[이광(1876)|{{{#808080,#7f7f7f 이 광}}}]] → [[이응준|{{{#000,#ddd 이응준}}}]] → [[곽의영|{{{#000,#ddd 곽의영}}}]] → [[오정수|{{{#000,#ddd 오정수}}}]] → [[최용덕|{{{#000,#ddd 최용덕}}}]] ||









파일:검찰 CI (흰색).svg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 펼치기 · 접기 ]
#000,#DDD
||<-5><tablewidth=100%><bgcolor=#254170>
[[이승만 정부|{{{-2 {{{#ffffff 이승만 정부}}}}}}]]
|| ||<width=20%> {{{-2 초대}}}[br][[서상환]] ||<width=20%> {{{-2 제2대}}}[br][[김익진]] ||<width=20%> {{{-2 제3대}}}[br][[서정국]] ||<width=20%> {{{-2 제4대}}}[br][[박승준]] || {{{-2 제5대}}}[br][[정창운]] || ||<-5><bgcolor=#fff,#1b1c20> || ||<bgcolor=#254170>
[[이승만 정부|{{{-2 {{{#ffffff 이승만 정부}}}}}}]]
||<-4><bgcolor=#835b38>
[[박정희 정부|{{{#ffffff {{{-2 박정희 정부}}}}}}]]
|| || {{{-2 제6대}}}[br][[최대교]] || {{{-2 제7대}}}[br]{{{#373a3c,#dddddd 김병화}}} || {{{-2 제8대}}}[br][[김영천(법조인)|김영천]] || {{{-2 제9대}}}[br][[서병균]] || {{{-2 제10대}}}[br]{{{#373a3c,#dddddd 김성재}}} || ||<-5><bgcolor=#fff,#1b1c20> || ||<-1><bgcolor=#835b38>
[[박정희 정부|{{{#ffffff {{{-2 박정희 정부}}}}}}]]
||<-4><bgcolor=#004c97>
[[전두환 정부|{{{-2 {{{#ffffff 전두환 정부}}}}}}]]
|| || {{{-2 제11대}}}[br]{{{#373a3c,#dddddd 이영환}}} || {{{-2 제12대}}}[br][[이길주]] || {{{-2 제13대}}}[br][[김석휘]] || {{{-2 제14대}}}[br][[서동권]] || {{{-2 제15대}}}[br]{{{#373a3c,#dddddd 이명희}}} || ||<-5><bgcolor=#fff,#1b1c20> || ||<-2><bgcolor=#004c97>
[[전두환 정부|{{{-2 {{{#ffffff 전두환 정부}}}}}}]]
||<-2><bgcolor=#60a8b6>
[[노태우 정부|{{{-2 {{{#ffffff 노태우 정부}}}}}}]]
||<bgcolor=#003990>
[[문민정부|{{{-2 {{{#ffffff 문민정부}}}}}}]]
|| || {{{-2 제16대}}}[br][[김세권]] || {{{-2 제17대}}}[br][[김양균]] || {{{-2 제18대}}}[br][[한영석]] || {{{-2 제19대}}}[br][[서정신]] || {{{-2 제20대}}}[br][[김유후]] || ||<-5><bgcolor=#fff,#1b1c20> || ||<-5><bgcolor=#003990>
[[문민정부|{{{-2 {{{#ffffff 문민정부}}}}}}]]
|| || {{{-2 제21대}}}[br]{{{#373a3c,#dddddd 김현철}}} || {{{-2 제22대}}}[br]{{{#373a3c,#dddddd 김기석}}} || {{{-2 제23대}}}[br][[김기수(1940)|김기수]] || {{{-2 제24대}}}[br][[김종구(법조인)|김종구]] || {{{-2 제25대}}}[br][[주광일]] || ||<-5><bgcolor=#fff,#1b1c20> || ||<-5><bgcolor=#00aa7b>
[[국민의 정부|{{{-2 {{{#ffffff 국민의 정부}}}}}}]]
|| || {{{-2 제26대}}}[br]{{{#373a3c,#dddddd 김상수}}} || {{{-2 제27대}}}[br][[강신욱(1944)|강신욱]] || {{{-2 제28대}}}[br][[이명재(검찰총장)|이명재]] || {{{-2 제29대}}}[br][[김경한]] || {{{-2 제30대}}}[br][[이종찬(1946)|이종찬]] || ||<-5><bgcolor=#fff,#1b1c20> || ||<-5><bgcolor=#ffd918>
[[참여정부|{{{-2 {{{#000000 참여정부}}}}}}]]
|| || {{{-2 제31대}}}[br][[정진규]] || {{{-2 제32대}}}[br][[김종빈]] || {{{-2 제33대}}}[br][[안대희]] || {{{-2 제34대}}}[br][[이종백]] || {{{-2 제35대}}}[br][[홍경식]] || ||<-5><bgcolor=#fff,#1b1c20> || ||<bgcolor=#ffd918>
[[참여정부|{{{-2 {{{#000000 참여정부}}}}}}]]
||<-4><bgcolor=#0095da>
[[이명박 정부|{{{-2 {{{#ffffff 이명박 정부}}}}}}]]
|| || {{{-2 제36대}}}[br][[박영수(법조인)|박영수]] || {{{-2 제37대}}}[br][[권재진]] || {{{-2 제38대}}}[br][[한상대]] || {{{-2 제39대}}}[br][[차동민(법조인)|차동민]] || {{{-2 제40대}}}[br][[안창호(법조인)|안창호]] || ||<-5><bgcolor=#fff,#1b1c20> || ||<-2><bgcolor=#0095da>
[[이명박 정부|{{{-2 {{{#ffffff 이명박 정부}}}}}}]]
||<-3><bgcolor=#c9252b>
[[박근혜 정부|{{{-2 {{{#ffffff 박근혜 정부}}}}}}]]
|| || {{{-2 제41대}}}[br][[김진태(1952)|김진태]] || {{{-2 제42대}}}[br][[채동욱]] || {{{-2 제43대}}}[br][[임정혁]] || {{{-2 제44대}}}[br][[길태기]] || {{{-2 제45대}}}[br][[국민수]] || ||<-5><bgcolor=#fff,#1b1c20> || ||<-3><bgcolor=#c9252b>
[[박근혜 정부|{{{-2 {{{#ffffff 박근혜 정부}}}}}}]]
||<-2><bgcolor=#004ea2>
[[문재인 정부|{{{-2 {{{#ffffff 문재인 정부}}}}}}]]
|| || {{{-2 제46대}}}[br][[김현웅]] || {{{-2 제47대}}}[br][[이득홍]] || {{{-2 제48대}}}[br][[박성재(1963)|박성재]] || {{{-2 제49대}}}[br][[조은석]] || {{{-2 제50대}}}[br][[박정식]] || ||<-5><bgcolor=#fff,#1b1c20> || ||<-3><bgcolor=#004ea2>
[[문재인 정부|{{{-2 {{{#ffffff 문재인 정부}}}}}}]]
||<-2><bgcolor=#E61E2B>
[[윤석열 정부|{{{-2 {{{#ffffff 윤석열 정부}}}}}}]]
|| || {{{-2 제51대}}}[br][[김영대(법조인)|김영대]] || {{{-2 제52대}}}[br][[조상철(법조인)|조상철]] || {{{-2 제53대}}}[br][[이성윤(법조인)|이성윤]] || {{{-2 제54대}}}[br][[김후곤]] ||<bgcolor=#e0ffdb,#202210> {{{-2 제55대}}}[br][[이주형(법조인)|이주형]] || ||<-5><bgcolor=#1e4a71><color=#fff> ||



대한민국 제6대 법무부 장관
서상환
徐相懽[1]
파일:서상환.jpg
출생1888년[2] 9월 24일
경상도 고성현 춘원면 대곡리
(현 경상남도 통영시 항남동)[3]
사망1968년 5월 25일 (향년 79세)
부산시 남부민동 자택
(현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묘소경상남도 통영시 인평동
본관대구 서씨[4]
면산(勉山)
재임기간초대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1948년 ~ 1950년
제3대 대검찰청 검찰총장
1950년 6월 22일 ~ 1952년 3월 5일
제6대 법무부 장관
1952년 3월 5일 ~ 1954년 6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니혼대학 전문부 (법률과 / 졸업)
경력경상남도 군정청 고문
경상남도 내무국장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제3대 대검찰청 검찰총장
제6대 법무부 장관
상훈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3. 후손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 법조인.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의 피해자 서정철(徐廷哲, 1921. 5. 13 ~ 1959. 2. 18.) 준장과 서정화(1933) 전 내무부 장관 형제는 그의 종손자(從孫子)이며, 서정귀 전 국회의원은 그의 재종손(再從孫)이다. 서상호 전 국회의원은 그의 4촌 형이다.

독립유공자 박중한은 그의 손아랫처남이다.

2. 생애[편집]


서상환은 1888년 9월 24일 경상도 고성현 춘원면 대곡리(현 경상남도 통영시 항남동)에서 아버지 서인순(徐璘淳, 1835. 4. 17 ~ 1899. 11. 12)과 어머니 밀양 박씨 사이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5] 아버지 서인순은 1883년 선공감 가감역관(繕工監假監役官:종9품)을 역임했다.

이후 용남군 동면 서부동(현 통영시 문화동)으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다. 16세까지 집에서 한문을 수학했으며, 1918년 7월 일본 니혼대학 전문부 법률과졸업했다.

그는 통영군 지역의 혁신 유림으로, 1915년 음력 1월 15일 윤상태(尹相泰), 서상일 등과 함께 경상북도 달성군 안일암에서 시회(詩會)를 가장하여 비밀결사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를 조직했고, 군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수행했다. 그러나 곧 일본군 헌병대에 체포된 뒤 1년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19년 3.1 운동이 발발하자 그해 3월 17일 박종환(朴鍾煥)의 집에서 김영중(金永仲), 유금룡(兪今龍), 공상로(孔庠魯), 김시조(金時朝), 이종준(李鍾俊) 등과 함께 독립선언서를 인쇄하고, 경남 일대에서 동지 규합에 힘쓰다가 또다시 체포되었다. 그해 9월 29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서 소위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고등법원에 이송되었다. 그 뒤 고초를 겪다가 상고 끝에 1920년 3월 22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내란 혐의에 대해 면소방면되었다.

1925년 고향 통영군에서 허기엽(許基燁)[6]박종한, 박종환, 김영중 등과 함께 남선해산물주식회사(南鮮海産物株式會社)를 경영하는 데에 참여하기도 했다.

1927년 3월, 경상남도 도평의원(道評議員) 김기정(金淇正)이 도평의회 석상에서 조선인 교육이 불필요하며 조선어의 통역을 철폐할 것을 주장했다. 이에 박봉삼 등 10여 명이 김기정 징토시민대회를 개최했다가 김기정의 고소로 그해 5월에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이에 분노한 황덕윤, 황봉석(黃奉石), 이태원(李泰源) 등 35명의 인사들은 5월 10일 모임을 갖고 구금 인사들에 대한 금전 모집, 변호사 선임, 석방운동을 위한 시민대회 개최를 계획했다. 그러나 일제 경찰이 이를 막자, 황덕윤, 황봉석 등은 5월 13일에 다시 구금인사들의 석방과 동포들의 호응을 촉구하는 격문 5백매를 인쇄해 시내 각처에 배포했다.

서상환은 여기에 호응해 시위에 가담했고, 수천 명의 군중이 김기정의 집을 습격, 파괴하고 구속인사들의 석방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일 때 선두에서 앞장섰다. 그러다가 일제 경찰에게 또다시 체포된 그는 1927년 6월 5일 마산지방법원 충무지청에서 소위 소요 혐의로 마산지방법원 검사국에 이송되었다.

그 뒤 1년 반 동안 고초를 겪다가 1928년 12월 13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 혐의로 징역 6개월(미결 구류일수 중 90일 본형에 산입),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고, 같은 달 20일 상고가 취하되어 곧 출옥하였다.

1934년 일본 변호사시험에 합격하고 귀국 후 1936년 1월 21일 부산지방법원 검사국에서 변호사 명부 등록을 거쳐 개인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했다.

8.15 광복미군정기경상남도 군정청 고문, 경상남도 내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1948년부터 1950년까지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을 역임했고, 1950년 6월부터 1952년 3월까지 대검찰청 검찰총장을 역임했다. 검찰총장 재임 시절, 1951년 1월 1,901명에 대해 특별사면, 1,259명에 대해 특별감형을 실시했으며, 1951년 7월 19일 국내재산 도피방지법 시행령을 제정하고, 1951년 9월 8일 국가배상법을 제정하는 데에 일조했다.

1952년 3월부터 1954년 6월까지 제6대 법무부 장관역임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시 서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김영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8년 5월 25일 부산시 남부민동(현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서상환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3. 후손[편집]


  • 부인 밀양 박씨(1890 ~ 1965. 4. 11) 박순일(朴順日)의 딸과 혼인하여 슬하에 외아들 서병태(徐丙太, 1908. 6. 9 ~ 1928. 3. 9)를 두었으나, 서병태는 결혼도 하기 전에 요절하고 말았다. 이후 조카 서병두(徐炳斗, 1899. 8. 10 ~ 1961. 2. 9)[7]의 막내 아들인 서정신을 봉사손으로 입양했다.

  • 장증손자 서창민(徐昌民, 1968. 2. 15 ~ )[8]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93년 SBS 아나운서 공채 3기로 합격하여 활동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02:01에 나무위키 서상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뻐할 환)의 이체자(기쁠 환)으로 표기한 자료도 있다.[2] 1887년생이라고도 한다.[3] 1919년 조선국권회복단 관련 신문조서[4] 전첨공(典籤公) 경수(景需)파 24세 상(相) 항렬.[5] 어머니 밀양 박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이며, 첫째 부인인 장흥 고씨(1833 ~ 1886. 5. 3) 고화진(高華鎭)의 딸은 슬하에 형 서상관(徐相灌, 1874. 1. 2 ~ 1923. 12. 22)을 둔 뒤 별세했다.[6] 일제강점기 때 통영경찰서 고등계 형사로 6년 간 근무했고, 그 뒤 경상남도 의원 및 통영읍회 의원을 각각 한 차례씩 역임했다.#[7] 창씨명은 오오야마 헤이토(大山炳斗), 족보명은 서병두(徐丙斗). 형 서상관의 아들.[8] 족보명 서창석(徐昌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