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병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기업인에 대한 내용은 이병하(기업인) 문서
이병하(기업인)번 문단을
이병하(기업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법무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인
제2대
권승렬
제3대
이우익
제4대
김준연
제5대
조진만
제6대
서상환
제7대
조용순
제8대
이호
제9대
홍진기
제10대
권승렬
장도영 내각
송요찬 내각
김현철 내각
제11대
조재천
제12대
이병하
제13대
고원증
제14대
조병일
제15대
장영순
김현철 내각
제16-18대
민복기
제19대
권오병
제20대
이호
제21대
배영호
제22대
신직수
제23대
이봉성
제24·25대
황산덕
제26대
이선중
제27대
김치열
제28대
백상기
제29·30대
오탁근
제31대
이종원
제32대
정치근
제33대
배명인
제34대
김석휘
제35대
김성기
제36·37대
정해창
제38대
허형구
제39대
이종남
제40대
김기춘
제41대
이정우
제42대
박희태
제43대
김두희
제44대
안우만
제45대
최상엽
제46대
김종구
제47대
박상천
제48대
김태정
제49대
김정길
제50대
안동수
제51대
최경원
제52대
송정호
제53대
김정길
제54대
심상명
제55대
강금실
제56대
김승규
제57대
천정배
제58대
김성호
제59대
정성진
제60대
김경한
제61대
이귀남
제62대
권재진
제63대
황교안
제64대
김현웅
제65대
박상기
제66대
조국
제67대
추미애
제68대
박범계
제69대
한동훈
임시정부 법무부장



대한민국 제12대 법무부 장관
이병하
李炳夏 | Lee Byung-ha
파일:200011020517582813_l.jpg
출생1913년 11월 18일
경상북도 문경군
사망2000년 11월 2일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본관진성 이씨
효정(曉汀)
재임기간제12대 법무부 장관
1961년 5월 3일 ~ 1961년 5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자녀슬하 3남 2녀
학력문경보통학교 (졸업)
오사카북양상업학교 (졸업)
메이지대학 (법학부 / 학사)
의원 선수2
의원 대수4, 5
경력대구지법 판사
제4대 민의원(대구乙, 민주당)
유엔총회 한국대표
제5대 민의원(문경, 무소속)
민주당 원내부총무
제12대 법무부 장관
민주당 상무위원회 의장
금곡광업 사장
노인회 서울시연합회 부회장
대한노인회 회장
대한민국헌정회 고문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법조인,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13년 경상북도 문경군에서 태어났다. 1928년 문경보통학교을 졸업한 뒤 서울에 홀로 상경해 잡화점 점원생활을 하다 1931년 일본으로 밀항하여 오사카북양상업학교에 편입 및 졸업한뒤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과 및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법학부 재학 중인 일제강점기 말기 1942년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하였다. 이후 학도병으로 입대하였으며, 예비사관학교에 입교해 훈련 받던 중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 뒤 대구지방법원 판사를 역임하다가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양재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윤만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당 원내부총무에 선출되었다. 또한 3.15 의거 국회조사에도 참가했다. 1961년 5월 3일부터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5월 18일 보름만에 경질된 뒤 투옥되었다. 이후 약 8개월간 가택 연금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송관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백남억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변호사 업무에 전념하였다. 1988년 대한노인회 회장에 선출되어 1994년까지 제8대, 제9대 회장으로 활동하였고, 1991년 대한민국 헌정회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2000년 11월 2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3.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