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1017

덤프버전 :

||


파일:IMG_1656.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인원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17 노선도.svg
기점[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삼화상운차고지)
[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인덕삼거리)
종점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왕십리동(상왕십리역)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08
막차23:20막차23:58
평일배차11~15분주말배차토요일 15~17분 / 공휴일 18~19분
운수사명한성여객인가대수11대(예비 1대)[1]
노선삼화상운차고지 - 광운대학교 - 장위래미안아파트 - 장곡초교 - 장위동고개 - 월곡1동주민센터 - 종암동주민센터 - 고려대학교 - 서울시동부병원 -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 상왕십리역 →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3.9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34번 도시형버스(상계동 - 이대입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선 번호가 1017번으로 바뀌고, '상계7단지 - 월계동' 구간과 '용두동 - 이대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계속 운행하게 된 구간 상에서도 월계로 대신 장위동길로 운행하도록 경로가 일부 변경되었다.

  • 2005년 8월 9일자로 '상왕십리 - 동대문운동장' 구간이 단축되었고, 이때부터 현재와 같이 상왕십리역을 끼고 회차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월계508교(현 벼루말교) 재설치와 하천 시설물 보축공사로 인해 2009년 11월 23일부터 2010년 4월 15일까지 장월교로 우회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원래는 2010년 1월 31일까지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중간에 공사 계획이 변경되면서 연기되었다.

  • 2017년 11월 20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86분/85분/77분에서 96분/93분/89분으로 늘어났고, 대당 1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 각각 4회, 공휴일 3회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도 10~13분/11~15분/13~15분에서 11~13분/13~15분/16~18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19년 12월 30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6분/93분/89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5분/102분/95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 6회, 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 감회되었다. 이에 따라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도 11~13분/13~15분/16~18분에서 10~15분/14~16분/17~18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1년 12월 20일을 기해 서울 경전철 동북선 공사 영향으로 인한 운행 시간 증가를 이유로, 공사 완료 후 원 운행계통 환원을 전제로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5분/102분/9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10분/110분/102분으로 늘었고 모든 요일의 정상운행차량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85회/72회/63회에서 82회/70회/61회로 각각 3회/2회/2회씩 감회되었고, 최소/최대 배차간격도 11~15분/15~17분/18~19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운행횟수 감회 및 배차간격 1차 조정)관련 공문(배차간격 최종 조정)


4. 특징[편집]




  • 광운로와 장월로 각 2개 도로 연선에서의 시내버스들을 통틀어 유일하게 하월곡동, 용두동을 오간다.

  • 출퇴근시간이 아니면 입석 우려가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서울시내버스 노선 전반에 비해 첨두시간대-비첨두시간대 수요 편차가 심하다. 그리고 외곽과 도심을 오가는 버스 노선들은 출근시간대에는 도심으로, 퇴근시간대에는 외곽으로 수요가 편중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노선은 퇴근시간대에도 상왕십리행 종점 수요가 많아 편중이 덜하다.

  • 0권역 안에 진입하지는 않으나, 편도회차 구간 중 일부가 0권역/2권역 경계선상이라 도착 권역 번호가 0이다. 이는 302번도 마찬가지다.


4.1. 시간표[편집]


파일:서울-한성여객 1017.png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7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5,160명-
2014년4,998명▽ 162
2015년5,021명△ 23
2016년4,923명▽ 98
2017년5,074명△ 151
2018년4,937명▽ 137
2019년5,119명△ 182
2020년3,807명▽ 1,312
2021년3,825명△ 18
2022년4,170명△ 345
※ 하차 인원 미포함


4.3.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017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왕십리교회
04104
왕십리센트라스아파트
04103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04108
상왕십리역
04102
도선고등학교.꽃재교회
04252
상왕십리역.센트라스아파트
04114
이상 회차 구간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04106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04107
-e편한세상청계센트럴포레아파트
06310
동아제약앞
06185
동아제약앞
06184
서울시동부병원
06183
서울시동부병원
06182
용두시장앞
06180
용두시장앞
06181
안암오거리
06177
종암초등학교앞
06179
우신향병원
06176
우신향병원
08157
고려대학교앞
06175
고대앞
08156
숭례초등학교
08155
숭례초교
08154
종암동주민센터
08153
종암동주민센터
08152
종암사거리입구
08151
종암사거리입구
08150
KT월곡지사
08128
KT월곡지사
08129
종암SK아파트
08130
-
성북구보건소
08131
-
생명의전화
08290
생명의전화
08289
월곡동두산아파트
08288
월곡동두산아파트
08287
월곡삼성래미안아파트
08286
밤나무골시장
08285
월곡1동주민센터
08284
월곡1동주민센터
08283
창문여고
08102
장위동입구
08406
장위동고개
08275
장위동고개
08276
장위1동주민센터
08277
장위1동주민센터
08278
장위1동치안센터
08279
장위1동치안센터
08280
국민은행장위동지점
08281
국민은행장위동지점
08282
장곡초교
08294
장곡초교
08293
장곡초교사거리
08291
장곡초교사거리
08222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
08219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
08220
장위래미안아파트
08242
장위래미안아파트
08239
벼루말교
11468
벼루말교
11465
광운중.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11333
광운중.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11334
광운대학교
11285
광운대학교
11335
월계삼거리
11286
월계삼거리
11336
신도브래뉴.한전노원변전소
11346
신도브래뉴.한전노원변전소
11332
인덕삼거리
11345
인덕삼거리
11331
삼화상운차고지
11482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 펼치기 · 접기 ]

103104172774
0017101410171114
1119112211261129
1130113111331136
1137114111421143
1162116412211226
2113211421154318
4433551956216617
6624664966547024
77268003
{{{-2 비고 * 2023년도 기준 38개 노선 * 시설개량 및 의견수렴 후 2024년도 재검토 예정
* 4318번은 풍납동 소속 차량만 해당}}}





[1] 토요일 8대 / 공휴일 7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