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5630

덤프버전 :

||



파일:5630_2933.png
파일:5630_2931.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3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630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광명시 하안동(광명공영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목동역·목동오거리)
종점
첫차04:15기점
첫차04:55
막차22:50막차23:35
평일배차12~18분주말배차토요일 18~19분 / 공휴일 19~20분
운수사명보영운수인가대수14대(예비 1대)[1][2]
노선광명공영차고지 - (← 밤일마을 ← 안터마을 ←) - 하안사거리 - 독산주공14단지 - 독산사거리 - 디지털단지오거리 - 남구로역 - 구로시장 - 구로119안전센터 - (→ 구로변전소.구로초등학교 → 구로역.나인스애비뉴 →/← 우리유앤미아파트 ← 쌍용구로정비센터 ←) - 구로기계공구상가 - 갈산초등학교 → 등촌지하차도 →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 → 목동역.목동오거리 → 신서고교.영상고교입구 → 신정1동우체국 →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 → 양천구청.양천보건소 → 목동10단지상가 → 목동12단지 → 양천구청 → 갈산초등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보영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8.4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15-1번 도시형버스(하안동 - 목동7단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 - 목동7단지' 구간이 '구로역 - 갈산초등학교 - 목동역'으로 변경되었으며, 번호도 5630번으로 바뀌었다.

  • 2006년 9월 4일에 광명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2016년 5월 23일부터 광명공영차고지에서 하안2동주민센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하안사거리로 가며, 차고지 방향 운행 시 밤일마을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공문 1 관련 공문 2

  • 구로고가차도 철거공사로 인해 2018년 12월 11일부터 2019년 4월 6일까지 '금천우체국 - 독산사거리 - 가산동주민센터.금천글로벌센터 - 디지털오거리 - 가리봉시장' 구간 대신 '금천우체국 - 진도아파트 - 제일모직아울렛 - 가산디지털단지역 - 가리봉시장'으로 우회한다. 관련 공문 본래는 3월 31일까지만이었으나, 철거공사가 늦어지면서 연기되었다. 관련 공문

  • 2019년 9월 16일을 기해 본래 23:00였던 광명차고지 막차시각이 22:5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또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30분/130분/12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40분/135분/130분으로 5~10분씩 늘어나고,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3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 최소/최대 배차간격과 토요일/공휴일의 최소 배차간격이 1~2분가량 늘어나게 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광명으로 갈 때는 등촌지하차도를 지나지 않고, 목동서로를 거쳐 돌아서 간다. 해당 지역에서 금천구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이다.

  • 신서고등학교, 영상고등학교 정류장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과거에는 6618번(양천구청 - 등촌동), 개편 전 111번(신정동-난곡)도 경유했지만 모두 폐선되었다.

  • 독산역 위의 금천고가차도로 지나다니기 때문에, 독산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이는 5535번, 5634번도 마찬가지다. 서로 환승하고 싶으면 걸어가는 수밖에 없다.

  • 금천구에서 남구로역 일대, 관할 사법기관(서울남부지검.지법), 목동을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다.

  • 시흥대로를 잠깐 거친다. 5535번과 함께 홈플러스 금천점(금천우체국)까지 다니다가 독산사거리에서 좌회전하면서 구로동으로 향한다. 본래는 양 방향 다 가로변 정류장을 이용했으나 일부 시간대에 교통 혼잡으로 인해서 독산사거리 좌회전이 쉽지 않은 문제로 인해서 이후에 목동 방면 진행 시에 중앙차로에 진입해서 금천우체국 정류장에 정차한 뒤에 중앙차로를 나와서 좌회전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3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5,856명-
2014년5,607명▽ 249
2015년5,095명▽ 512
2016년5,043명▽ 52
2017년5,024명▽ 19
2018년4,882명▽ 142
2019년4,539명▽ 343
2020년3,742명▽ 797
2021년3,757명△ 15
2022년4,019명△ 262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2212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화성, 광주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화성시
광주시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김포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김포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양주시
704송추
서울05옥정
파주시
773운정
774파주읍
서울03운정
9714운정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07:04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563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9대 / 공휴일 8대 운행[2] 예비차량은 5634번과 공동사용 한다.[3] 구로역.구로기계공구상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