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7711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711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덕은동종점)종점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홍대입구역)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4:55
막차00:00막차00:24
평일배차8~12분주말배차15~20분
운수사명신촌교통인가대수10대(예비 2대)[1]
노선덕은동종점 - 월드컵파크9~12단지 - 상암DMC홍보관.YTN - 상암초등학교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성산아파트 - 성산2동주민센터 - 성산2교 - 경성중고입구.홍대부속여중고입구 - 홍대입구역


2. 개요[편집]


신촌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3.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이 때는 이대역까지 갔으며, 상암동이 아파트단지 공사중이었기 때문에 대덕동주민센터에서 상암초등학교 구간을 무정차 통과로 운행했다.

  • 2004년 12월 20일에 홍대입구역으로 단축되었다. 이 때는 양화로에 버스중앙차로가 없어 동교동삼거리에서 U턴해서 회차했다. 또한 '망원동길 - 합정로 - 동교동길' 구간을 서교로 경유로 바꾸었다. 이와 함께 개편 전 824번을 계승하게 되었다.[2]

  • 양화로에 버스중앙차로가 생기면서 U턴 차로가 없어지자, 2009년 12월 19일에 '동교로사거리 → 동교로 → KT신촌지사 앞 골목길 → 홍대입구역' 순으로 회차한 다음 홍대입구역 도로변 정류장에 정차했다. 관련 공지사항 그러나 KT 신촌지사 앞 골목길 입구에 살짝 턱이 있는데, 네이버 거리뷰 저상버스가 이 턱을 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그 사이 동교동삼거리에는 회전교차로가 개설되었다.

  • 결국 2011년 2월 25일에 홍대입구역 신촌방향 중앙차로 정류소에서 모두 하차시킨 뒤 동교동삼거리 회전교차로에서 U턴한 다음, 홍대입구역 도로변 정류소에서 다시 사람을 태우는 방식으로 환원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2월 29일에 토요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61분에서 66분으로 늘었고 이와 함께 토요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가 감편되면서, 토요일의 1일 운행횟수가 68회에서 64회로 4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토요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화는 없었다.관련 공문

  • 2022년 2월 21일을 기해 58분이던 공휴일 인가 운행소요시간도 토요일과 동일한 66분으로 늘어나면서, 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가 감축되어 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 역시 68회에서 64회로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공휴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화는 없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월드컵북로를 완주하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다.

  • 홍대입구와 덕은동, DMC역 구간을 제외하면 노선 전체가 일직선이다.

  • 홍대입구역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동교동 방향)은 하차 전용으로 운영되고, 반대편 가로변 정류소는 승차 전용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중앙에서는 앞문과 뒷문으로 모두 하차할 수 있으며, 가로변 정류소에서도 탑승객이 몰리면 앞문/뒷문을 모두 열고 빠른 승차를 유도하는 일이 종종 있다.

  • 강력한 라이벌로 마포15번이 있다. 또한 7016번, 7737번과도 경로 중복 정도가 높아서 같은 시간대라도 차내 혼잡도가 일정하지 않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1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4,399명-
2014년4,158명▽ 241
2015년4,253명△ 95
2016년3,785명▽ 468
2017년3,544명▽ 241
2018년3,459명▽ 85
2019년3,371명▽ 88
2020년2,597명▽ 774
2021년2,696명△ 99
2022년2,987명△ 291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11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홍대입구역
14224 · 14015
동교로사거리
14182
서서울농협홍대역점
14181
서울도시가스마포사옥
14192
서울도시가스마포사옥
14193
경성중고.홍대부속여중고입구
14191
경성중고.홍대부속여중고입구
14190
성미약수터
14187
성미약수터
14188
성산2교
14186
성산2교
14185
중동초등학교
14156
중동초등학교
14157
성산2동주민센터
14159
성산2동주민센터
14158
성산119안전센터
14160
성산119안전센터
14161
성산아파트
14162
성산아파트
14163
월드컵경기장북측
14274
월드컵경기장북측
14273
디지털미디어시티역2번출구
14296
-
DMC상암센트럴파크
14164
DMC상암센트럴파크
14165
상암초등학교
14167
상암초등학교
14166
상암DMC홍보관.YTN
14286
상암DMC홍보관.YTN
14287
누리꿈스퀘어.MBC
14307
-
월드컵파크5단지.상암중고등학교입구
14288
월드컵파크5단지
14289
-상암고등학교
14291
월드컵파크9.10.11.12단지
14334
월드컵파크9.10.11.12단지
14335
대덕동행정복지센터
35421
대덕동행정복지센터
35446
덕은동입구
35447
덕은동입구
35448
덕은동종점
35449 · 35450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DMC]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DMC], 홍대입구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DMC], 홍대입구역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2212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화성, 광주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화성시
광주시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김포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김포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양주시
704송추
서울05옥정
파주시
773운정
774파주읍
서울03운정
9714운정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40:59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771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5대 운행[2] 개편 전 서울시에서는 유성운수 7716번이 구. 824번이라 했으나 7711번 또한 824번의 운행구간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7711번도 구. 824번 연장이라 해도 무방하다.[DMC] A B C 덕은동 방향 운행 시에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