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6625

덤프버전 :

||


파일:SNOW_20230911_095635_152.jpg
파일:6625_1110.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625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5가(문래동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화곡역)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15
막차23:00막차23:45
평일배차9~16분주말배차토요일 12~20분 / 공휴일 14~22분
운수사명중부운수인가대수12대[1]
노선문래동차고지 - 대림아파트 - 문래역 - (← 문래주민자치센터 ←) - 문래힐스테이트아파트 - 관악고등학교 - (→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 - 현대아파트정문[단독] - 목일중학교.목동14단지 - 목동14단지관리사무소 - (→ 목동13단지 → 양천구청 → 목동중학교 → 목동8단지 →/← 신목초등학교입구 ← 양천공원 ← 양천구청 ← 양천구청·양천보건소 ←) - 서울남부지방법원.서울남부지방검찰청 - 목동역.목동오거리 - 신정역.신정4동주민센터 - 강서초등학교 - (← 신월동남부주유소 ←) - 서서울호수공원 - 신월3동주민센터.신월3동우체국 →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 화곡역 → 화원중학교 → 가로공원.나누리병원 → 신월3동주민센터.신월3동우체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중부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9.5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488번 지역순환버스(신월동 - 이대목동병원)가 전신이다. 그 이전에는 5번 마을버스로 운행했었다.

  • 이 때는 신길교통이 운행 했는데 이대목동병원 방향으로 갈 때 화곡동 604번(구 588) 버스 출발지에서 출발, 신월동종점으로 갈 때 하나은행신월동지점으로 도착했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월동종점 - 화곡역' 구간과 '목동14단지 - 이대목동병원' 구간을 단축되었고, '목동14단지 - 안양천로 - 문래동종점'을 연장되었다. 운행업체가 중부운수로 바뀌었고 번호는 6625번으로 바뀌었다.

  • 2004년 7월 31일부터 문래동 방향은 양천노인종합복지관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04년 9월 15일부터 양방향 모두 양천노인종합복지관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05년 8월 1일에 '양강중 - 신정네거리역 - 양천노인종합복지관 - (← 목동1102동 ← 신트리공원 ← 목동10단지상가 ← 양천문화회관 ← 양천구청 ← 구민체육센터 ← 목동12~13단지사잇길 ←) - 양천구청역 - 목일중' 구간이 '목일중 - 목동14단지관리사무소 - (→ 목동13단지 → 양천구청 → 목동중 → 목동8단지 →/← 신목초교입구 ← 양천공원 ← 양천구청 ← 양천구청.양천보건소 ←) - 서울남부지검.지법 - 목동오거리 - 양강중'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8년 12월 20일에 문래역 대신 문래동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0년 6월 10일에 화원중에서 유턴해 양방향으로 운행하던 구간을 편도로만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2년 3월 16일에 문래동유원아파트 대신 영등포기계상가를 경유하게 되었고, 화곡역 방면은 문래동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하지 않게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0월 1일부터 일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3회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23년 7월 1일부로 8641번 개통을 위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다. 다만 비투입 예비차량 감차이기에 이번 조치에 의한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변동 발생은 없었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안양천로 광명&금천 이북 구간 중 오목교 이남을 지나가는 유일한 서울시내버스 노선이다.

문래동차고지 방향화곡역 방향
문래동방향화곡역방향

  • 목동역 - 한빛종합사회복지관 구간은 신월7동 본사로 가스 충전을 하러 가는 차량[2]도 있으니 탈 때 행선판을 잘 보고 타면 된다.

  • 목동역 - 문래역은 양천구청과 목동아파트 8•13•14단지를 지나서 돌아간다. 선형을 보면 이 구간의 동쪽, 서쪽이 같은 오목로인데, 이 구간이 U자로 크게 파여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신월2, 4동신정역목동역문래역을 서로 오가고자 할 경우 지하철이나, 오목로를 그대로 다니는 구간이 긴 640번, 6211번을 타는 것이 빠르다. 단 우회구간에 양천구청을 필두로 양천보건소, 양천경찰서, 목일중학교, 신목고등학교, 서울출입국외국인청, 한전 강서양천지사, 양천세무서, 양천장애인복지관, 양천문화회관, 양천구민체육센터 등 행정, 치안, 직장, 교육, 복지, 문화 기능이 많이 몰려있어서 구간수요가 매우 많다.[3] 단 이 구간 일대의 신정6동에서는 걸어다닐 수 있으므로 큰 의미는 없고 오히려 굴곡만 있어서 서울 버스 571, 서울 버스 6624, 서울 버스 양천04 등에 밀린다.

  • 신월동 주민센터를 가장 많이 경유하는 노선이다. 6, 7동을 제외한 1~5동 행정복지센터를 모두 지난다.[4]

  • 도림천 ~ 안양천 근처의 문래동 남서쪽 지하철 사각지대에는 641번과 더불어 깊게 들어와주어서 고마운 버스다. 이 때문에 문래역 주변에서 굴곡이 생기지만... 기종점 근처고 어차피 서쪽 목동구간에서는 이 버스 타고 다리 넘어가서 영등포로 가는 대다수의 목적이 2호선 문래역 이용이고, 이쪽 문래동 안쪽 구간도 이용목적의 대다수가 문래역 이용이라 큰 의미는 없다.

  • 주말 인가대수가 8대라고 써 있지만 오후 1시~3시때는 4~5대 운행을 하여 배차간격이 서울버스임에도 불구하고 30분~50분까지 늘어나기도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5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5,623명-
2014년5,588명▽ 35
2015년5,752명△ 164
2016년5,447명▽ 305
2017년5,441명▽ 6
2018년5,338명▽ 103
2019년5,270명▽ 68
2020년4,060명▽ 1,210
2021년4,217명△ 157
2022년4,607명△ 39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문래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오목교역[5], 목동역, 신정역, 화곡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14:44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662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0대 / 공휴일 8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이 경우 충전소행, 차고지행이라고 써있다.[3] 신월1동, 신월3동, 신월5동에서는 양천구 관공서로 가는 지하철은 아예 없고, 버스는 이 노선과 6648번밖에 없다.[4] 신월4동 주민센터는 강서초등학교 하차[5] 화곡역 방면 운행 시에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