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6211

덤프버전 :

||


파일:6211_8010.png
파일:6211_8007.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2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211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신월동우성상가)종점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왕십리동(상왕십리역)
종점행첫차04:20기점행첫차05:40
막차22:40막차00:00
평일배차8~13분주말배차10~14분
운수사명중부운수인가대수24대(예비 1대)[1]
노선신월동우성상가 - 강서초등학교 - 신정역.신정4동주민센터 - 목동역.목동오거리 -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 당산동진로아파트 - 문래역 - 도림새마을금고 - 대신시장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 한강대교전망카페 - 이촌역 - 서빙고신동아아파트 - 서빙고역 - 한남역.용산노인종합복지관 - 블루스퀘어 - 버티고개역 - 약수역 - 청구역 - 신당역.중앙시장 →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 도선고등학교 → 상왕십리역 → 왕십리센트라스아파트 → 성동고등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중부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7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211번 도시형버스(신월7동 - 상왕십리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6211번으로 바뀌었다.

  • 2011년 2월 8일에 '당산동진로아파트 - 대방역’ 구간에서 ‘영등포로(영등포시장 ~ 신길역)’에서 ‘당산로(문래역), 도림로, 도신로(우신사거리)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 2018년 10월 1일에 일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4회 감회되었다.관련 공문

  • 2018년 12월 21일을 기해 '장충단로입구'(정류소 ID 03-158) 정류소에 추가 정차한다. 관련 공지사항

  • 2022년 2월 28일을 기해 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92회에서 88회로 4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15분에서 14분으로 줄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동사 최장거리 노선으로 경유하는 자치구가 양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용산구, 중구, 성동구로 총 여섯 개이다. 양천구와 영등포구를 오가는 수요, 그리고 각 자치구 내에서 지하철과 연계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어 수요가 많다. 선형도 그렇고 길이도 그렇고 간선버스 노선으로 손색이 없는데, 개편 이래 쭉 지선버스 노선으로 유지되고 있다. 개편 이전의 버스 번호와 비슷하게 하려고 그랬다는 말도 있다.

  • 2019년까지만 해도 서빙고역 도로 구조 상 양 방향 모두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여 버스 앞면에 신월7동 방면과 상왕십리 방면을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했으나 2020년부터는 서빙고역 정차 정류소가 분리되면서 보조 행선판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거리가 가까워 지금도 혼동하는 승객이 간혹가다 있다.

  • 100번, 0411번, 2016번 등의 노선처럼 동부이촌동 지역에서는 일본어 안내방송이 나온다. 이 지역에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기 때문.

  • 한강대교전망대에 서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 구간을 지나는 다른 노선들도 아주 잠깐 정차했으나 안전상의 문제로 철수하고, 한강대교북단에서 우회전하는 이 노선만 한강대교전망대를 여전히 거친다.

  • 가끔씩 서빙고역 1번 출구에서 기사가 잠깐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21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5,251명-
2014년15,230명▽ 21
2015년15,164명▽ 66
2016년15,116명▽ 48
2017년15,551명△ 435
2018년15,331명▽ 220
2019년15,212명▽ 119
2020년11,707명▽ 3,505
2021년11,666명▽ 41
2022년12,965명△ 1,29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21대 / 공휴일 20대 운행[A] A B 상왕십리 방향만 정차, 신월동 방향은 성동고등학교 하차.[2] 서울중부기술교육원, 블루스퀘어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