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6629

덤프버전 :

||



파일:서울6629AJS.jpg파일:6629_4108.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629 노선도.png
기점[출발]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방화도시7단지.국립국어원)
[도착]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방화3동주민센터.국립국어원)
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1가(영등포역)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50
막차22:40막차00:00
평일배차8~13분주말배차토요일 9~14분 / 공휴일 10~15분
운수사명김포교통인가대수24대(예비 1대)[1]
노선국립국어원 - 방화역 - 공항시장역 - 김포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우장산역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중학교 - 목동역.홍익병원 -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 김안과병원→ 영등포역 →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시장 → 김안과병원 → 이후 역순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2. 개요[편집]


김포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3.38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22번 도시형버스(방화동 - 영등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6629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7월 1일을 기해 본래 22:50이던 기점 막차시각이 22:40으로 10분 앞당겨졌으며, 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감축되면서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20년 3월 20일을 기해 영등포로터리 방향 운행 시 '마곡동로사거리(중)(ID 16-022)'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고 '이대서울병원(ID 16-388)' 정류소에 정차하게 되었다.관련 공문

  • 영등포로터리 구조개선사업으로 인하여 2021년 6월부터 신길역 앞에서 U턴하는것으로 변경되었다. 단 신길역은 정차하지 않는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평일/토요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각각 190분/185분에서 195분으로 늘었다. 모든 요일의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 횟수도 감축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 횟수도 113/103/95회에서 109/99/91회로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 계통 변경에 의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도 7~15분/8~15분/8~15분에서 8~13분/9~14분/10~15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3월 18일부터 강서세무서에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김포국제공항은 양방향 모두 '롯데몰 - 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국내선' 순으로 운행하므로 전면의 방향판이나 전광판을 잘 보고 타면 된다.
저상버스 기준
국립국어원 방향영등포로터리 방향
6629 방화동방향6629 영등포역방향
고상버스 기준
국립국어원 방향영등포로터리 방향
방화역영등포역
(목동오거리)

  • 발산역사거리-명덕고-우장산역-화곡역-강서구청-강서구청입구교차로로 다니는 굴곡 노선이다. 발산역에서 영일고까지만 해도 1시간 가까이 걸리고, 막히면 1시간 반은 찍는다. 김안과병원부터 화곡본동시장까지 650번과 겹치며, 목동역~강서구청사거리까지 654번과 겹치고 654번은 공항대로를 쭉 직진하므로 공항시장-영일고를 25분 내외로 주파하는 반면 이 노선은 40분~1시간이 소요된다.


  • 주 수요구간은 '화곡역 - 명덕고등학교'으로 등하교시간에는 미어터진다. 화곡역 - 송정역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며 단거리 수요에서 빛을 발한다. 개편 전에는 '등촌역 - 발산역'까지 단독 구간이었기에 통학생과 강서구청 방문인 등 쏠쏠한 수요를 자랑했다. 이 노선의 장거리 수요는 저녁/막차시간대 양천구 구간과 영등포역에서 나온다.

  • 기점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노선 변경이 한 번도 없었다.

  • 선형에 굴곡이 있다보니 목동에서 김포공항으로 가려면 한 번 갈아타거나 목동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해야 했다. 5호선이 없던 1995년까지는 더 불편했다. 공항로를 따라 직선화 해달라는 민원이 예전부터 있었지만, 그러면 굴곡 구간인 우장산동 주민들이 직격탄을 맞는다. 이런 민원들은 환승할인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사라졌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9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4,877명-
2014년14,540명▽ 337
2015년13,836명▽ 704
2016년13,329명▽ 507
2017년12,746명▽ 583
2018년11,917명▽ 829
2019년11,506명▽ 411
2020년8,841명▽ 2,665
2021년8,779명▽ 62
2022년9,416명△ 637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김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15:01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662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21대 / 공휴일 19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