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동구(선거구)

덤프버전 :

||
선거인 수322,990명 (2000)
상위 행정구역서울특별시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동구 전역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송정동, 용답동
신설년도2000년
국회의원
ta-hash-start=w-0be430fab43a1eae29aa403c2d9c3acf[[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임종석



1. 개요[편집]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기존의 성동구 갑과 성동구 을을 합병해 설정한 선거구이다. 성동구 전역을 관할구역으로 하였으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다시 성동구 갑성동구 을로 분구했다.

해당 선거구의 마지막 국회의원은 임종석이다.


2.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국회휘장.svg 성동구의 역대 국회의원]]
대수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9대민병기
ta-hash-start=w-0f3d014eead934bbdbacb62a01dc4831[[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성동구 [1]
정운갑
ta-hash-start=w-5c3a3b139a11689e0bc55abd95e20e39[[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0대양일동
파일:민주통일당.svg

1979년 3월 17일 ~ 1980년 4월 1일 [2]
김제만
ta-hash-start=w-9cca8d684240e24dd459f2d439fae30c[[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9년 3월 17일 ~ 1980년 10월 27일
11대이세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조덕현

12대이세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2일 ~ 1988년 5월 29일
박용만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13대강금식
ta-hash-start=w-66b48af35b7a3e54fdf15aff3da8a918[[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성동구 갑
조세형성동구 을
제14대이세기
ta-hash-start=w-029965943be49743e54fa5fdc79f870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성동구 갑
조세형

성동구 을
제15대이세기
ta-hash-start=w-be25906737aeed4dfedfacc4b5dd7436[[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성동구 갑
김학원성동구 을
제16대임종석
ta-hash-start=w-7faf67c63084cf8345243e912885f1a5[[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성동구


3. 중선거구제 시기 (성동구)[편집]



3.1. 제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성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병기(閔丙岐)87,9461위

ta-hash-start=w-83b597cf0ce433a0c993e293c21924fe[[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32.91%당선
2정운갑(鄭雲甲)75,0902위

ta-hash-start=w-0b66829f5c41141c13290a6bd42f4ff4[[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28.10%당선
3홍영기(洪英基)29,8264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11.16%낙선
4양일동(梁一東)66,372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24.84%낙선
5유성범(劉聖範)7,9425위

무소속

2.97%낙선
선거인 수441,695투표율
72.10%
투표 수270,908
무효표 수3,732

3.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성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병기(閔丙岐)74,5343위

ta-hash-start=w-0055ad22950e274e9c78508cf83bb886[[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29.16%낙선
2김제만(金濟萬)91,5891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35.84%당선
3양일동(梁一東)78,6472위
[include(틀:민주통일당)]30.77%당선
4김길웅(金吉雄)7,2354위
[include(틀:무소속)]2.83%낙선
5김흥린(金興麟)3,5395위

무소속

1.58%낙선
선거인 수375,127투표율
83.75%
투표 수257,946
무효표 수2,402

당시 서울에서 유일하게 여당인 민주공화당 후보가 낙선한 지역이다.

3.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성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종채(朴鍾彩)10,1406위
3.61%낙선
2손한무(孫漢式)9,9057위
3.53%낙선
3김종대(金鍾大)10,9325위
3.90%낙선
4이세기(李世基)78,9901위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28.19%당선
5조덕현(曺德鉉)76,3972위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27.26%당선
6김도현(金道鉉)70,0313위
[include(틀:민주한국당)]24.99%낙선
7조철구(趙澈九)18,3434위
[include(틀:민권당)]6.54%낙선
8류준하(柳浚夏)5,4408위
[include(틀:안민당)]1.94%낙선
선거인 수408,240투표율
74.60%
투표 수283,288
무효표 수3,110

3.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3]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용만(朴容萬)94,4882위
26.18%당선
2이세기(李世基)103,2051위
28.60%당선
3전대수(全大洙)7,7715위
2.15%낙선
4조세형(趙世衡)88,2043위
24.44%낙선
5김도현(金道鉉)67,1424위
18.60%낙선
선거인 수459,544투표율
79.66%
투표 수366,061
무효표 수5,251

당시 종로구∙중구와 함께 서울에서 민정당 후보가 1위로 당선된 유이한 지역구이다.


4. 성동구 갑, 성동구 을 (13대 - 15대)[편집]



4.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동구 갑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가동, 금호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2동, 성수2가3동, 성수2가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세기(李世基)35,6662위
32.00%낙선
2박종철(朴宗喆)18,5123위
16.61%낙선
3강금식(姜金植)36,8191위
33.03%당선
4박병호(朴炳浩)18,2674위
16.61%낙선
5이연국(李演國)2,1855위
1.96%낙선
선거인 수164,250투표율
68.50%
투표 수112,439
무효표 수990

성동구 을
왕십리1동, 왕십리2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화양동, 송정동, 군자동, 용답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설영주(楔永珠)21,1092위
19.84%낙선
2심의석(沈宜錫)16,9223위
15.97%낙선
3조세형(趙世衡)43,9011위
[include(틀:평화민주당)]41.45%당선
4노진환(魯璡煥)16,9534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16.00%낙선
5최윤기(崔允基)3,5805위
[include(틀:한겨레민주당)]3.38%낙선
6김원식(金元植)3,5386위
[include(틀:무소속)]3.34%낙선
선거인 수161,859투표율
66.00%
투표 수106,876
무효표 수963


4.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동구 갑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가동, 금호3가동, 금호4가동, 옥수1동, 옥수2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2동, 성수2가3동, 성수2가4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세기(李世基)52,9221위
45.06%당선
2강금식(姜金植)40,0272위
34.08%낙선
3박병호(朴炳浩)10,8493위
9.23%낙선
4김옥선(金玉仙)6,9964위
[include(틀:신정치개혁당)]5.95%낙선
5김철수(金鐵洙)5,7015위
[include(틀:민중당(1990년))]4.85%낙선
6한상필(韓相弼)9416위
[include(틀:무소속)]0.80%낙선
선거인 수169,627투표율
70.00%
투표 수118,693
무효표 수1,257

성동구 을
왕십리1동, 왕십리2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화양동, 송정동, 군자동, 용답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도현(金道鉉)38,4542위
34.90%낙선
2조세형(趙世衡)52,8331위
47.95%당선
3설영주(楔永珠)18,8933위
17.14%낙선
선거인 수169,206투표율
65.97%
투표 수111,543
무효표 수1,363


4.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동구 갑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가동, 금호3가동, 금호4가동, 옥수1동, 옥수2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세기(李世基)36,6821위
44.26%당선
2나병선(羅柄扇)29,2912위
35.34%낙선
3임종인(林種仁)7,6493위
9.23%낙선
4배길랑(裵桔瑯)5,9334위
7.15%낙선
5김철수(金鐵洙)3,3095위
3.99%낙선
선거인 수136,477투표율
61.80%
투표 수84,326
무효표 수1,462

성동구 을
왕십리1동, 왕십리2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송정동, 용답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학원(金學元)28,3711위
43.57%당선
2조세형(趙世衡)26,3582위
40.48%낙선
3설영주(楔永珠)3,5384위
5.43%낙선
4유명곤(柳明坤)3,9593위
6.08%낙선
5김명희(金明熙)2,8835위
4.42%낙선
선거인 수109,402투표율
60.80%
투표 수66,546
무효표 수1,437


5. 성동구 (16대)[편집]



5.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세기(李世基)54,9882위
38.86%낙선
2임종석(任鍾晳)68,4811위
48.39%당선
3안승근(安承根)3,2453위
2.29%낙선
4이문용(李文龍)5625위
0.39%낙선
5최대엽(崔大燁)1,9624위
1.38%낙선
6김형곤(金亨坤)12,2583위
8.66%낙선
선거인 수250,816투표율
56.90%
투표 수142,600
무효표 수1,104

386세대 신진 후보 임종석이 3선 중진 이세기를 꺾고 당선에 성공한다. 이 선거를 마지막으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로 다시 분구된다.

5.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전망)[편집]


20대 총선, 21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종로구, 중구·성동구 갑,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가 종로구, 중구의 인구 감소로 인해 종로구·중구로 개편될 가능성이 높고, 성동구의 인구가 분구 하한선인 28만명에 아슬아슬하게 걸치게 되어서 금호동, 옥수동이 해당 선거구으로 환원될 것이며 24년 만에 성동구 단일 선거구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1] 중선거구제[2] 임기 중 사망[3] 지금의 성동구, 광진구 일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