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세기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정책위원회 의장 파일:민주자유당 심볼2.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width=20%> 초대
김용환 ||<width=20%> 제2대
최각규 ||<width=20%> 제3대
나웅배 ||<width=20%> 제4대
황인성 ||<width=20%> 제5대
김종호 ||
||<width=20%> 제6대
이세기 ||<width=20%> 제7대
이승윤 ||<width=20%> 제8대
김종호 || || ||
||<-5><bgcolor=#ffffff,#1f2023> ||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원내총무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체육청소년부장관
[ 펼치기 · 접기 ]

체육부장관 (1982~1987)
초대
노태우
제2대
이원경
제3대
이영호
제4대
박세직
제5대
이세기
제6대
조상호
제7대
김집
제8대
정동성

체육청소년부장관 (1990~1993)
제9대
박철언
제10대
이진삼
1993년 문화부와 통합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경제기획원장관신병현김준성서석준신병현김만제정인용
국토통일원장관이범석손재식이세기박동진허문도
외무부장관노신영이범석이원경최광수
내무부장관서정화노태우주영복정석모김종호정호용고건정관용이상희
재무부장관이승윤나웅배강경식김만제정인용사공일
법무부장관오탁근이종원정치근배명인김석휘김성기정해창
국방부장관주영복윤성민이기백정호용
문교부장관이규호권이혁손제석서명원
체육부장관노태우이원경이영호박세직이세기조상호
농림수산부장관정종택고건박종문황인성김주호
상공부장관서석준김동휘금진호나웅배
동력자원부장관박봉환이선기서상철최동규최창락
건설부장관김주남김종호김성배이규효최동섭
보건사회부장관천명기김정례이해원
노동부장관권중동정한주조철권이헌기
교통부장관고건윤자중이희성손수익차규헌
체신부장관김기철최광수최순달김성진이자헌이대순오명
문화공보부장관이광표이진희이원홍이웅희
총무처장관김용휴박찬긍박세직정관용장기오
과학기술처장관이정오김성진전학제이태섭박긍식
정무제1장관최광수정종택오세응이태섭정재철조기상이종률
정무제2장관노태우
정무제3장관김기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운영위원장
제11대 전반기
이종찬
제12대 전반기
이세기
제12대 전반기
이한동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국가경쟁력강화특별위원장
신설제14대 전반기
이세기
제14대 젼반기
김기배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문화관광위원장
제14대 후반기
신경식
제15대 전반기
이세기
제15대 후반기
이협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제3선거구)
제10대
김제만
양일동
제11대
이세기
조덕현
제12대
이세기
박용만
제11대
이세기
조덕현
제12대
이세기
박용만
선거구 개편'
강금식[1]
조세형[2]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갑)
제13대
강금식
제14-15대
이세기
선거구 통합
임종석[3]

대한민국 제11대 국토통일원 장관
이세기
李世基 | Lee Se-ki
파일:이세기 전 장관.jpg
출생1936년 12월 3일
경기도 개풍군
(現 개성시 개풍구역)
사망2020년 11월 24일 (향년 83세)
본관전주 이씨[1]
재임기간제11대 국토통일원 장관
1985년 2월 19일 ~ 1985년 7월 31일
제5대 체육부 장관
1986년 8월 27일 ~ 1987년 7월 14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윤혜자
자녀1남 2녀
학력서울상도국민학교 (졸업)
동아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 / 석사[1]·박사[2])
도쿄대학 대학원 (정치학 / 박사)
병역병역면제 (질병)
신체180cm 이상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1, 12, 14, 15
약력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조교수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교수
제11대 국회의원 (서울 제3선거구 / 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원내총무
제12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제11대 국토통일원 장관
제5대 체육부 장관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갑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정책위원회 의장
민주자유당 서울특별시 지부장
신한국당 서울특별시 지부장
제15대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갑 / 신한국당)
제15대 국회 전반기 문화관광위원회 위원장
제3대 한·중 친선협회장
한나라당 상임고문
새누리당 상임고문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 관료.


2. 생애[편집]


1936년 경기도 개풍군에서 태어났다. 8.15 광복 이후 월남하여 부산 동아고등학교(4회),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는데, 재학 도중이던 1960년 4.19 혁명 시기 고려대 학생회 대표 가운데 한명으로 참여하였다. 이후 고려대학교 대학원,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모교인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부임하였고 김상협 당시 고려대 총장비서실장도 역임하였다.

1972년 10월, 유신체제 선포 당시 '4.19 혁명 당시 대학 대표' 일원으로 유신체제를 지지, 찬양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그는 '유신적 개혁이 조국의 평화적인 통일과 내실있는 자강체제의 확립을 위한 일대영단임을 확신한다.'고 지지 성명 발표하였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민주정의당에 입당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성동구 지역구에 출마하여 한국국민당 조덕현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2년 1월부터 1983년 7월까지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사무총장을 겸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신한민주당 박용만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국토통일원(현 통일부) 장관과 민주정의당 원내총무, 체육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민정당 원내총무를 맡던 1986년에는 국회 국방위원회 회식 난투극 사건을 겪었다.[2]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강금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공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임종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최재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20년 11월 24일 숙환으로 사망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3[A]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78,990 (28.19%)당선 (1위)초선[3]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103,205 (28.60%)재선[4]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성동 갑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5,666 (32.00%)낙선 (2위)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ed798eec75807df6e79b0be391f720e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2,922 (45.06%)당선 (1위)3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6bbf5de7bcace9ce3bacc1c7470c9ee9[[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6,682 (44.26%)4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성동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4,988 (38.86%)낙선 (2위)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성동 갑
무소속

8,229 (9.44%)낙선 (4위)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세기11.png
파일:이세기12.png
11대 총선 (서울 3[A])12대 총선 (서울 3[A])
파일:이세기13.png
파일:이세기14.png
13대 총선 (서울 성동구 갑)14대 총선 (서울 성동구 갑)
파일:이세기15.png
파일:이세기16.png
15대 총선 (서울 성동구 갑)16대 총선 (서울 성동구)
파일:이세기17.png
17대 총선 (서울 성동구 갑)

[A] A B 성동구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80 - 1981정계 입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 - 1990창당

ta-hash-start=w-e37155959b2fe546b96ad621d48c029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 - 1995합당[5]

ta-hash-start=w-61eed5440ef0e04ae611e15c439320f5[[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7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7 - 2004합당[6]

무소속

2004 - 2007탈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12복당
정계 은퇴

ta-hash-start=w-3adfed0a226eb2f6fbb6b7ed1e39442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ta-hash-start=w-c3cae332add85ca7a367122214373bdd[[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ba3c95c2962d3aab2f6e667932daa3c5[[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7]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당명 변경
작고


5. 둘러보기[편집]











[1] 관련 기사.[2] 사건의 발단이 정말 웃긴데 박희도 육군참모총장이 국방위 위원들을 초대해서 같이 술을 마시자고 부른게 발단이였고 여기서 신한민주당 김동영 의원이 실세들은 다 어디가고 똥별들만 왔다고 시비를 걸며 박희도 총장에게 "이새끼 총무(...)"나 불러오라며 술주정을 했다고 한다.(참고로 박희도가 김동영보다 2살 연상이다.) 이후 어디에서 왔는지 술이 떡이 된 이세기가 오자 합석해있던 정동호 육군참모차장이 "이봐 이새끼 총무! 왜 늦게오고 지랄이야"라며 술이 떡이 된 이세기의 머리채를 잡고 김동영 옆으로 끌고가서 "여야가 잘해주셔야 밖에서 시끄러운 일이 안생기고 잘 갑니다."라며 술주정을 하자 여당 의원들 중 가장 고참이였던 남재희 의원이 술잔을 벽에다가 던지며 초대해놓고 뭐하는 짓이냐며 고함을 질렀고 술잔 파편이 옆에 앉아있던 이대희 인사참모부장에게 튀어 이대희 인사참모부장의 얼굴이 피범벅이 되자 빡친 이대희 인사참모부장과 남재희 의원간에 주먹이 오가며 개판이 되었다고 한다. 사건의 여파로 박희도 육군참모총장이 국회를 방문하여 국방위원장괴 국회의원들에게 일일히 사과를 해야했고 정동호 육군참모차장은 강제 예편당했다고 한다. 참고로 신민당 김동영 의원은 80년대 초반에 보안사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는 등 갖은 고초를 치렀던 상황이였고 박희도 육군참모총장과 정동호 육군참모차장은 쿠데타 과정에서 휘하 병력을 불법동원하여 육군본부와 국방부를 무단점거하는 등 12.12 사태의 1등공신이였다. 아무리 접대해준답시고 초대를 해준 사람들이였지만 김동영 의원 입장에서 감정이 좋을 수가 없었던 것.[A] 성동구[3] 한국국민당 조덕현 후보와 동반 당선[4] 신한민주당 박용만 후보와 동반 당선[5]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6]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7]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