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운갑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농림축산식품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농림부장관 (1948~1973)
초대
조봉암
제2대
이종현
제3대
윤영선
제4대
공진항
제5대
임문환
제6대
함인섭
제7대
신중목
제8대
양성봉
제9대
윤건중
제10대
최규옥
제11대
임철호
제12대
정낙훈
제13대
정운갑
제14대
정재설
제15대
이근직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16대
이해익
제17대
박제환
제18대
장경순
제19대
류병현
제20대
원용석
제21대
차균희
제22대
박동묘
제23대
김영준
제24대
이계순
제25대
조시형
제26대
김보현
제27대
김보현
농수산부장관 (1973~1986)
제27대
김보현
제28대
정소영
제29대
최각규
제30대
장덕진
제31대
이희일
제32대
이재설
제33대
정종택
제34대
정종택
제35대
고건
제36대
박종문
제37대
황인성
농림수산부장관 (1987~1996)
제37대
황인성
제38대
김주호
제39대
윤근환
제40대
김식
제41대
강보성
제42대
조경식
제43대
강현욱
제44대
허신행
제45대
김양배
제46대
최인기
제47대
강운태
농림부장관 (1996~2008)
제47대
강운태
제48대
정시채
제49대
이효계
제50대
김성훈
제51대
한갑수
제52대
김동태
제53대
김영진
제54대
허상만
제55대
박홍수
제56대
임상규

농림수산식품부장관 (2008~2013)
제57대
정운천
제58대
장태평
제59대
유정복
제60대
서규용

농림축산식품부장관 (2013~현재)
제61대
이동필
제62대
김재수
제63대
김영록
제64대
이개호
제65대
김현수
제66대
정황근
파일:농림축산식품부 MI.sv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총무처장관
[ 펼치기 · 접기 ]

총무처장 (1948~1955)
초대
허정
제2대
김병연
제3대
전규홍
제4대
한동석
제5대
정운갑

국무원사무국장 (1955~1960)
제6대
문봉제
제7대
신두영

국무원사무처장 (1960~1961)
제8대
이호
제9대
오위영
제10대
정헌주

내각사무처장 (1961~1963)
제11대
김병삼
제12대
이석제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003764><width=30%><rowbgcolor=#575757> {{{#fff '''직위'''}}} || {{{#fff '''명단'''}}} || || [[외교부장관|{{{#fff '''외무부장관'''}}}]]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000,#ddd 장택상}}}]] → [[임병직|{{{#000,#ddd 임병직}}}]] → [[변영태|{{{#000,#ddd 변영태}}}]] → [[조정환(1892)|{{{#000,#ddd 조정환}}}]] → [[허정|{{{#000,#ddd 허 정}}}]] || || [[행정안전부장관|{{{#fff '''내무부장관'''}}}]] || [[윤치영|{{{#000,#ddd 윤치영}}}]] → [[신성모|{{{#000,#ddd 신성모}}}]] → [[김효석(1894)|{{{#000,#ddd 김효석}}}]] → [[백성욱|{{{#000,#ddd 백성욱}}}]] → [[조병옥|{{{#000,#ddd 조병옥}}}]] → [[이순용|{{{#000,#ddd 이순용}}}]] → [[장석윤|{{{#000,#ddd 장석윤}}}]] → [[이범석|{{{#000,#ddd 이범석}}}]] → [[김태선|{{{#000,#ddd 김태선}}}]] → [[진헌식|{{{#000,#ddd 진헌식}}}]] → [[황호현|{{{#000,#ddd 황호현}}}]] → [[백한성|{{{#000,#ddd 백한성}}}]] → [[김형근(법조인)|{{{#000,#ddd 김형근}}}]] → [[이익흥|{{{#000,#ddd 이익흥}}}]] → [[장경근|{{{#000,#ddd 장경근}}}]] → [[이근직(1903)|{{{#000,#ddd 이근직}}}]] → [[민병기(1901)|{{{#000,#ddd 민병기}}}]] → [[김일환|{{{#000,#ddd 김일환}}}]] → [[최인규|{{{#000,#ddd 최인규}}}]] → [[홍진기|{{{#000,#ddd 홍진기}}}]] → [[이호(1914)|{{{#000,#ddd 이호}}}]] || || [[기획재정부장관|{{{#fff '''재무부장관'''}}}]] || [[김도연(1894)|{{{#000,#ddd 김도연}}}]] → [[최순주|{{{#000,#ddd 최순주}}}]] → [[백두진|{{{#000,#ddd 백두진}}}]] → [[박희현(1911)|{{{#000,#ddd 박희현}}}]] → [[이중재(1898)|{{{#808080,#7f7f7f 이중재}}}]]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인태식|{{{#000,#ddd 인태식}}}]]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송인상|{{{#000,#ddd 송인상}}}]] → [[윤호병(1891)|{{{#000,#ddd 윤호병}}}]] || || [[법무부장관|{{{#fff '''법무부장관'''}}}]] || [[이인|{{{#000,#ddd 이 인}}}]] → [[권승렬|{{{#000,#ddd 권승렬}}}]] → [[이우익|{{{#000,#ddd 이우익}}}]] → [[김준연|{{{#000,#ddd 김준연}}}]] → [[조진만|{{{#000,#ddd 조진만}}}]] → [[서상환|{{{#000,#ddd 서상환}}}]] → [[조용순|{{{#000,#ddd 조용순}}}]] → [[이호(1914)|{{{#000,#ddd 이 호}}}]] → [[홍진기|{{{#000,#ddd 홍진기}}}]] → [[권승렬|{{{#000,#ddd 권승렬}}}]] || ||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국방부장관'''}}}]] || [[이범석|{{{#000,#ddd 이범석}}}]] → [[신성모|{{{#000,#ddd 신성모}}}]] → [[이기붕|{{{#000,#ddd 이기붕}}}]] → [[신태영|{{{#000,#ddd 신태영}}}]] → [[손원일|{{{#000,#ddd 손원일}}}]] → [[김용우(1912)|{{{#000,#ddd 김용우}}}]] → [[김정렬(1917)|{{{#000,#ddd 김정렬}}}]] → [[이종찬|{{{#000,#ddd 이종찬}}}]] || || [[교육부장관|{{{#fff '''문교부장관'''}}}]] || [[안호상|{{{#000,#ddd 안호상}}}]] → [[백낙준|{{{#000,#ddd 백낙준}}}]] → [[김법린|{{{#000,#ddd 김법린}}}]] → [[이선근|{{{#000,#ddd 이선근}}}]] → [[최규남|{{{#000,#ddd 최규남}}}]] →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 [[이병도|{{{#000,#ddd 이병도}}}]] || || [[국토교통부장관|{{{#fff '''부흥부장관'''}}}]] || [[유완창|{{{#000,#ddd 유완창}}}]]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송인상|{{{#000,#ddd 송인상}}}]] → [[신현확|{{{#000,#ddd 신현확}}}]] → [[전예용|{{{#000,#ddd 전예용}}}]]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fff '''농림부장관'''}}}]] || [[조봉암|{{{#000,#ddd 조봉암}}}]] → [[이종현(1903)|{{{#000,#ddd 이종현}}}]] → [[윤영선(1896)|{{{#000,#ddd 윤영선}}}]] → [[공진항|{{{#000,#ddd 공진항}}}]] → [[임문환|{{{#000,#ddd 임문환}}}]] → [[함인섭|{{{#000,#ddd 함인섭}}}]] → [[신중목|{{{#000,#ddd 신중목}}}]] → [[정재설|{{{#000,#ddd 정재설{{{-3 (서리)}}}}}}]] → [[양성봉|{{{#000,#ddd 양성봉}}}]] → [[윤건중|{{{#000,#ddd 윤건중}}}]] → [[최규옥|{{{#000,#ddd 최규옥}}}]] → [[임철호|{{{#000,#ddd 임철호}}}]] → [[정낙훈|{{{#000,#ddd 정낙훈}}}]] → [[정운갑|{{{#000,#ddd 정운갑}}}]] → [[정재설|{{{#000,#ddd 정재설}}}]] → [[이근직(1903)|{{{#000,#ddd 이근직}}}]] → [[이해익|{{{#000,#ddd 이해익}}}]]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fff '''상공부장관'''}}}]] || [[임영신|{{{#000,#ddd 임영신}}}]] → [[윤보선|{{{#000,#ddd 윤보선}}}]] → [[김훈(정치인)|{{{#000,#ddd 김 훈}}}]] → [[이교선(1905)|{{{#000,#ddd 이교선}}}]] → [[이재형(정치인)|{{{#000,#ddd 이재형}}}]] → [[안동혁(1906)|{{{#000,#ddd 안동혁}}}]] → [[박희현|{{{#000,#ddd 박희현}}}]] → [[강성태(1903)|{{{#000,#ddd 강성태}}}]] → [[김일환|{{{#000,#ddd 김일환}}}]] → [[구용서|{{{#000,#ddd 구용서}}}]] → [[김영찬(1911)|{{{#808080,#7f7f7f 김영찬}}}]] → [[전택보|{{{#000,#ddd 전택보}}}]] → [[오정수|{{{#000,#ddd 오정수}}}]] || || [[보건복지부장관|{{{#fff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fff '''보건사회부장관'''}}}]] || [[전진한|{{{#000,#ddd 전진한}}}]] → [[이윤영|{{{#000,#ddd 이윤영}}}]] → [[허정|{{{#000,#ddd 허 정}}}]] → [[최창순|{{{#808080,#7f7f7f 최창순}}}]] → [[박술음|{{{#808080,#7f7f7f 박술음}}}]] / [[구영숙(1892)|{{{#808080,#7f7f7f 구영숙}}}]] → [[오한영|{{{#808080,#7f7f7f 오한영}}}]] →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br]→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 [[정준모|{{{#000,#ddd 정준모}}}]] → [[손창환(정치인)|{{{#000,#ddd 손창환}}}]] → [[김성진(1905)|{{{#000,#ddd 김성진}}}]] || || [[국토교통부장관|{{{#fff '''교통부장관'''}}}]] || [[민희식|{{{#000,#ddd 민희식}}}]] → [[허정|{{{#000,#ddd 허 정}}}]] → [[김석관|{{{#808080,#7f7f7f 김석관}}}]] → [[윤성순|{{{#000,#ddd 윤성순}}}]] → [[이종림|{{{#808080,#7f7f7f 이종림}}}]] → [[문봉제|{{{#000,#ddd 문봉제}}}]] → [[최인규|{{{#000,#ddd 최인규}}}]] → [[김일환|{{{#000,#ddd 김일환}}}]] → [[석상옥|{{{#808080,#ddd 석상옥}}}]]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fff '''체신부장관'''}}}]] || [[윤석구|{{{#000,#ddd 윤석구}}}]] → [[장기영(1903)|{{{#000,#ddd 장기영}}}]] → [[이순용|{{{#000,#ddd 이순용}}}]] → [[조주영(1900)|{{{#808080,#7f7f7f 조주영}}}]] → [[강인택|{{{#000,#ddd 강인택}}}]] → [[이광(1876)|{{{#808080,#7f7f7f 이 광}}}]] → [[이응준|{{{#000,#ddd 이응준}}}]] → [[곽의영|{{{#000,#ddd 곽의영}}}]] → [[오정수|{{{#000,#ddd 오정수}}}]] → [[최용덕|{{{#000,#ddd 최용덕}}}]] ||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총재 및 대표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4대
유진오
제5대
유진산
권한대행·제6대
김홍일
제7대
유진산
권한대행
정일형
제8대
유진산
권한대행
김의택
제9대
김영삼
권한대행
이충환
제10대
이철승
제11대
김영삼
직무대행
정운갑
제11대(복귀)
김영삼
권한대행
이민우




대한민국 제13대 농림부 장관
정운갑
鄭雲甲 | Chung Woon-gap
파일:정운갑 장관.jpg
출생1913년 5월 31일
충청북도 진천군 서암면 유점리[1]
(現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 놋점마을)
사망1985년 12월 27일 (향년 72세)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자택
본관연일 정씨[2]
유당(攸堂)
재임기간제5대 총무처장
1953년 11월 2일 ~ 1955년 2월 16일
제15대 내무부 차관
1955년 4월 23일 ~ 1955년 11월 17일
제13대 농림부 장관
1955년 11월 17일 ~ 1957년 6월 16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정직원, 어머니 전주 이씨
형제자매5남 1녀 중 차남
배우자박득기
자녀아들 정성택, 정승택, 정지택, 정우택, 정윤택
딸 2명
학력진천공립보통학교 (졸업)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 / 수료)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 학사)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1기)
의원 선수5
의원 대수4, 7, 8, 9, 10
경력고등문관시험 행정과 합격
경기도 지방과장
경기도 인사청장
총무처 경제국장
제5대 총무처장
제15대 내무부 차관
제13대 농림부 장관
제4대 국회의원 (충북 진천군)
제7대 국회의원 (전국구 7번 / 신민당)
제8대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병)
제9,10대 국회의원 (서울 성동구)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친일 논란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관료, 정치인.


2. 생애[편집]


1913년 5월 31일 충청북도 진천군 서암면 유점리(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 놋점마을)에서 아버지 정직원(鄭稷源)과 어머니 전주 이씨 이사철(李思喆)의 딸 사이의 5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고향에서 진천공립보통학교(현재 진천상산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해 1932년 3월 졸업했다. 1933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제10회, 문과)에 입학했으며 1935년 대학예과 수료 후 법문학부로 진학하여 1938년 3월 경성제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그해 충청남도 논산군 속(屬)에 임명되어 1940년까지 근무했다.# 1943년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했다.

8.15 광복경기도 지방과장과 인사처장을 거쳤다. 그리고 중앙 관료가 되어 1951년 총무처 경제국장, 1954년 총무처장을 지냈다. 1955년 4월 내무부 차관을 거쳐 그해 11월 농림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1953년 7월 휴전이 성립되자 정부는 남북통일과 경제 안정 및 전쟁 복구를 국가의 당면 목표로 하여 경제 안정과 회복을 위하여 어느 정도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은 경제부 처장으로 임용하기 시작하였다. 경제 안정과 전화 복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제 때 소위 실무경력이 있는 인물들이 대거 기용되어, 경제 재건과 관련된 중요한 결정들이 이들의 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3].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운갑은 농림부 장관이라는 직책을 맡게 되었으며 당시 농림부 장관으로 재직시 농업은행과 농업조합 등의 사안들이 다루어졌다.

또한 대충자금 등에도 농림부 장관이 관여하였다. 대충자금(counterpart fund)[4]은 당시 한국정부가 가지고 있던 중요한 재원이었다. 농림부 장관 재직시 청사화재사건이 발생하여 사표를 제출하였으나 반려되기도 하였다 [5].

제1공화국 당시 자유당과 관료는 상당한 정도의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서로간의 인적 교루 역시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당시 장관들은 대개의 경우 장관직을 그만두면 이후 자유당으로 들어가 정계로 입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정운갑 역시 장관이라는 자리에 오른 이후 정계로 진출하였다.

이후 정치인이 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자유당 소속으로 충청북도 진천군 선거구에서 출마해 민주당 이충환 후보를 꺾고 당선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이번에는 민주당 이충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정당 이충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4년 국민의당을 탈당하였고, 1966년 신한당에 입당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성동구 병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국회의원인 민주공화당 박준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민병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 신민당 정책심의회 의장에 임명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이태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6년 5월의 신민당 전당대회는 당권파와 비주류 연합의 대결이었다. 이철승이 중도통합론을 주장하면서 주류 김영삼계에 맞선 대회였는데, 이 비주류 연합의 중심 인물들에 이철승, 신도환, 고흥문, 정해영, 김원만 등과 함께 정운갑도 들어가 있었다. 정운갑은 오세응 등 13인의 중도파와 함께 비주류의 반김영삼 대열에 동참하였다.[6] 이들의 연합을 통해 이철승이 신민당 총재로 선출되었다. 이로써 신민당은 중도통합론의 기조하에 강경한 대정부 투쟁보다는 협조와 타협이 강조되게 되었다. 중도통합론의 지지로 김영삼에 반대했던 정운갑은 신민당 가처분 결정을 둘러싸고 다시 한 번 김영삼 체제와 대결한다. 중도통합론은 당시 박정희 유신체제를 일정 부분 인정하고 극한적인 개헌 투쟁보다 여야가 민생 위주의 정책대결을 벌이자는 이른바 양극단 배제론이었다. 신민당 측이 주장하는 ‘국내정치는 서로 경쟁하되 정치적으로 협력할 것이 있다면 협력하고 외교·안보 문제는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는 중도 통합론에 대해 김대중, 김영삼측은 정부·여당과 야합했다는 의미로 ‘사쿠라 여당’이라 규정지으며 논쟁이 생겼다#. 이후 상황은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참조

1979년 신민당 원외지구당 3인방(유기준, 윤완중, 조일환)의 김영삼 총재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 파동 때 서울지방법원으로부터 총재직무권한대행에 임명되었다.

정운갑은 소속의원들을 접촉한 결과 대행직을 맡아야 할 것이라고 말한 의원이 43명으로 이를 반대하는 13명보다 많아 다수 의사에 따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총재대행직을 등록, 합법성을 승인받았다. 하지만 이후 김영삼 지지 결의 서명 운동에서는 42명의 소속의원이 호응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서명의원은 25명밖에 되지 않았다. 정운갑과 그 지지측은 합법성만을 인정받았을 뿐 권한 행사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7].하지만 합법성만 가진 신민당 가처분 역시 10.26 사건 이후 유신정권이 무너짐에 따라 없어지게 된다.

1985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3. 기타[편집]


그의 다섯 아들들 중 정지택행시 합격 후 관료 생활을 마친 후 두산그룹 임원을 역임하고 KBO 총재를 지냈다. 정우택도 정지택처럼 행시 합격 후 관료 생활을 하다가 정치인으로 변신하여 제15대, 16대, 19대, 20대, 21대 국회의원(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국민의힘)과 민선4기 충청북도지사를 지냈다.


4. 친일 논란[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해당 서술 유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해당 서술 유지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일제강점기 시절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것때문에 2005년 친일인명사전 예비편찬 당시 친일인사 명단 후보자에 명단에 오르는 등#, 친일파라는 주장이 있었으나, 검토결과 2008년 이전에 명단에서 제외 되고 2009년 11월 8일 공개된 최종판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2001년부터 시작해 8년 동안 여러 차례 명단을 거르고 걸러 이번 사전을 발간한 것이다. 다만 알려진 대로 이번 인명사전 발간은 시작일 뿐이다. 정운갑 전 장관은 2008년에 만든 예비 자료에도 이름이 없는 것을 보니 그 이전에 이미 대상에서 제외된 것 같다. 그러나 제외됐다고 해서 친일행위자가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행적이 불확실해서 수록이 보류된 384여명에 대해서는 향후 사전을 개정·보완할 때 반영하겠다"고 하였다.

충북대학교 사학과 박걸순 교수는 이에 대해 "1930년대 들어 시작된 일제강점기의 고등문관시험은 지금의 행정고시에 필적할만한 고위관료의 등용문이었다"면서도 "민족문제연구소가 분명히 품계를 기준으로 친일행위 여부를 분류했을 텐데 그 기준은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현재까지는 수록되지 않았다.

친일진상규명위원회 에서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도 정운갑의 이름은 없다.#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8선거구)

18,282 (61.77%)당선 (1위)초선 [8]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8선거구)
무소속

15,425 (46.44%)낙선 (2위)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7선거구)

14,806 (22.66%)낙선 (3위)[9]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ta-hash-start=w-8ab9121c7dcd00525d3f8de4200173bd[[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554,224 (32.7%)당선 (7번)재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7선거구)58,451 (62.52%)당선 (1위)3선 [10]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3선거구)75,090 (28.10%)당선 (2위)4선 [11]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0선거구)123,785 (50.88%)당선 (1위)5선 [12]

역대 선거 벽보 [13]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운갑 8대.jpg
파일:정운갑 9대.jpg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7[1])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3[2])
파일:정운갑 10대.jpg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0[3])

[1] 성동구 병[2] 성동구[3] 강남구

여당인 자유당에도 있었고, 야당인 신민당에도 있었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신민당1967.png 제7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박순천김도연[1]정해영고흥문이재형김세영
정운갑한통숙김성용김재화[2]연주흠편용호
박재우이기택이민우김수한김상현조흥만
김현기
[1] 임기 중 사망.[2] 후보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9:57:57에 나무위키 정운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일 정씨 집성촌이다.#[2] 문정공파-김제공파 24세 운(雲) 항렬.[3] <한국의 정치변동과 관료제, 1945~1972 :국가관료제의 변천 과정 >, 94쪽)[4] 당시에는 국가 전체적으로 돈이 없는 처지에 시스템도 엉망이다 보니 세금 걷을데가 많은것도 아니고 해서 국가 재정상태가 당연히도 엉망이었고, 따라서 국가 예산 확보를 위해서 미국 등에서 준 원조물자를 시장에 팔아서 재원마련을 했었는데 그걸 대충자금이라고 한다.[5] 『동아일보』, 1957년 2월 22일자[6] 야당40년사, 337쪽[7] 《야당40년사》[8] 진천군[9] 진천군, 음성군[10] 성동구 병[11] 성동구[12] 강남구[13] 4대 국회 시절 벽보부터 6대 국회까지의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