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대왕

덤프버전 :








고구려 제8대 국왕
신대왕 | 新大王
파일:산성하 전창 36호분 도면.jpg
신대왕릉으로 추정되는 산성하 전창 36호를 그린 도면.
출생
(음력)
89년
고구려 국내성
사망
(음력)
179년 12월 (향년 90세)
고구려 국내성
능묘고국곡(故國谷)[1]
재위기간
(음력)
제8대 국왕
165년 10월 ~ 179년 12월 (14년 2개월)
[ 펼치기 · 접기 ]

본관횡성 고씨
백고(伯固) / 백구(伯句)
부모부왕 태조대왕?[1] / 차대왕?[2] / 고재사?
형제고궁?[3], 고수성, 고막근, 고막덕
동생 고인고?
왕후고남무의 모후
왕자태자 고남무
왕자 고발기[4], 고발기[5], 고연우[6], 고계수[7]
신장약 165cm 미만[8]
시호신대왕(新大王)

[1] 정사 《삼국지》[2] 《후한서》[3] 《삼국사기》[4] 장남. 그러나 기록상 모순이 보여 실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5] 3남.[6] 4남.[7] 5남.[8] 고구려인 평균키가 165cm였는데 신대왕이 자신을 보잘것없는 몸이라고 말한 적 있는데 비유적인 의미로 말한 것이 아니라 진짜 자신의 체격에 대해 말했다면 신대왕의 키는 165cm보다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크도다! 신대왕의 덕택이!"

大哉! 新大王之德澤也!

신대왕이 선정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사면령을 내리자 사람들이 기뻐 손뼉을 치며 외친 말.


1. 개요
2. 생애
3. 《삼국사기》 기록
4. 대중매체에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고구려의 제8대 군주. 휘는 백고 혹은 백구.

왕호 자체가 새로운 군주이다.

태조대왕과 신대왕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는데, 《삼국사기》에는 태조대왕의 이복동생으로, 정사 《삼국지》에는 태조대왕 궁의 서자로, 《후한서》에는 태조대왕 궁의 손자이자 차대왕 수성의 아들로 나온다. 신채호는 중국사서 기록이 더 현실적이라 보고 차대왕과 신대왕이 태조대왕의 서자라고 주장한 바 있으나, 이에 대한 현재 학계의 정설은 노태돈 교수의 지적대로 태조대왕의 방계 친척 동생이라는 것이다. 신대왕이 태조대왕의 아들이라면 설령 적자가 아닌 서자더라도 후일 고구려인들이 굳이 아들을 동생으로 고칠 이유가 없는 데다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태조대왕조- 후반부와 -차대왕조-의 기사들은 지나칠 정도로 차대왕을 깎아내리고 있다. 따라서 신대왕은 아예 태조대왕의 직계 혈통이 아니며, 신대왕의 후손인 뒷 시기의 고구려 왕들이 자신들의 선조인 신대왕의 정통성을 높이기 위해 신대왕을 태조왕의 친동생으로 삽입하고 태조왕의 사망년도를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늦추며 -태조대왕조- 후반부에 장장 23년에 걸쳐 차대왕의 찬탈을 서술함으로써 차대왕을 깎아내렸다는 것이다. 《삼국사기》보다 수백년 앞선 중국 기록인 《후한서》에서는 태조대왕이 121년에 사망하고 뒤이어 수성이 즉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기에 여러모로 《삼국사기》기년은 정확도가 의심된다.

다만 신대왕 이후 고구려 임금들이 고주몽을 선조로 분명히 명시하고 있는 이상, 신대왕이 태조왕의 친동생이 아닌 방계 친척동생이더라도 촌수는 그렇게까지 멀지 않았을 개연성이 있다. 주몽-유리-재사-태조왕인데, 방계인 신대왕이 태조왕의 친척 동생이고 주몽의 후손이라면 태조왕의 6촌 동생이 된다. 다름아닌 신라의 소지 마립간도 내물 마립간의 장남 눌지 마립간의 장손이자 내물 마립간의 장증손이었으나, 내물 마립간의 차남 복호의 손자, 즉 6촌형인 지증왕의 자식 뻘일 정도로 나이차가 많이 났다. 현대 한국에서도 4촌인데 40살 가까이 차이나는 경우가 있는만큼 6촌 형제간인 태조왕과 신대왕의 나이 차가 40살인 경우는 충분히 개연성 있는 일이라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 있는 외모 및 성격 기록에 따르면

"용모가 영특하며 성품이 어질고 너그러웠다."

고 기록하고 있다.#


2. 생애[편집]


삼국사기》에 따르면, 차대왕이 아무런 일도 하지 않은 채 정적 제거에만 몰두하는 등 폭정을 일삼자 명림답부쿠데타를 일으켜 차대왕을 시해하고 그의 동생인 고백고를 임금으로 옹립하니 그가 바로 신대왕이었다고 한다.[2]

당시 중국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태조대왕이 죽고 차대왕이 즉위한 시점은 《삼국사기》의 146년보다 25년 이른 121년이다. 이에 따르면 차대왕의 재위 기간은 121년부터 165년까지 총 45년이 되며,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신대왕 세력이 어떤 이유로 차대왕의 재위 기간 중 약 24년을 태조대왕의 것으로 조작한 것으로 추정한다. 여러 나이 차를 감안한다면 차대왕의 출생연도는 113년쯤으로 추정되며, 신대왕은 차대왕의 아우가 아니라 현 한국 학계에서 주장하는 대로 차대왕의 방계 동생임이 유력하다.

삼국유사》 <왕력>에

'을사년(165년) 국조왕(태조왕)의 나이가 119세였는데 두 선왕(태조왕·차대왕)이 모두 신대왕에게 시해되었다.'

라는 기록이 있다. 차대왕 시기에는 폭정을 피해 산골로 숨어 살았다가 명림답부가 차대왕을 시해하고 나서 그를 안심시킨 후 왕위에 올렸다고 한다. 아무래도 친척 형 차대왕에게 미움을 산 듯하다. 차대왕이 왕위에 욕심내자 신대왕이 은근히 간접적인 디스를 했던 적이 있었는데, 반대파에게 가혹한 차대왕이 이걸 그대로 넘어갈리가 없다고 판단했던 걸로 보인다. 왕위에 오른 나이가 《삼국사기》에서는 77세로 나오며 친척 형 차대왕처럼 매우 많은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신대왕이 사면령을 반포하다

과인은 외람되게도 왕의 친족으로 태어났지만 본디 임금으로서의 덕망이 없었다. 지난날 태조대왕께서 형제 사이에 우애 있는 정치를 부탁하였으나, 차대왕이 자손을 위해 물려준 계책을 자못 망가뜨렸다. 과인은 피해를 입을까 두렵고 안전하기가 어려워 여러 신료와 백성들을 떠나 멀리 도망해 숨었는데, 차대왕이 사망하였다는 흉흉한 소식을 듣기에 이르니 다만 마음이 꺾여 매우 슬플 뿐이었다. 어찌 백성들이 즐거이 받들고 여러 대신들이 즉위하라고 권할 줄 생각했겠는가? 그릇되게도 보잘것없는 몸으로 숭고한 자리에 있게 되니, 감히 편안할 겨를이 없는 것이 깊은 바다를 건너는 것과 같도다. 마땅히 은덕을 베풀어 멀리 이르도록 하여 마침내 여러 사람과 더불어 스스로 새롭게 함으로써 나라 안에 대사면을 베풀 수 있을 것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신대왕-


신대왕 시기 정치의 대부분은 국상에 오른 명림답부가 처리했는데, 왕은 명림답부를 신뢰했으며 그가 명재상이라 신대왕의 치세는 대체로 평안했던 것으로 사서는 기록한다. 명림답부가 죽은 이후의 고구려는 신대왕의 친정 체제로 돌입했으나 기록에는 특별한 정치적인 치적이 없는 것으로 나와 있다. 그래도 당시 고구려의 좌보와 우보를 합쳐, 최고 관직인 국상을 만든 걸 보면 후대에 끼친 영향이 아예 없는 건 아닌 듯하다. 재위 도중 후한과 전투를 벌여 대승을 거뒀는데 그것이 좌원 전투이다. 명림답부가 죽은 이후 신대왕은 그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승하하였고, 이후 장남 고남무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기록에 나오는 아들이 넷이나 되고 그중 둘이 왕이 되었으나 동생이 왕이 되는 바람에 형이 이에 동의하지 않아 형제 간 골육상쟁이 있었다.[3]


3. 《삼국사기》 기록[편집]


삼국사기(三國史紀)
[ 본기(本紀) ]

1권 「신라 1권 (新羅 一)」2권 「신라 2권 (新羅 二)」
박혁거세 · 박남해 · 박유리 · 석탈해 · 박파사 · 박지마 · 박일성박아달라 · 석벌휴 · 석내해 · 석조분 · 석첨해 · 김미추 · 석유례 · 석기림 · 석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4권 「신라 4권 (新羅 四)」5권 「신라 5권 (新羅 五)」
김내물 · 김실성 · 김눌지 · 김자비 · 김소지김지대로 · 김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8권 「신라 8권 (新羅 八)」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고주몽 · 고유리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27권 「백제 5권 (百濟 五)」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부여의자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열전(列傳) ]

41-43권 「열전 1-3권」44권 「열전 4권」
김유신 ,김원술 · 김윤중 · 김윤문 · 김암,을지문덕 · 거칠부 · 거도 · 이사부 · 김인문 ,김양도, · 김양 ,김흔, · 흑치상지 · 장보고 · 정년 · 사다함
45권 「열전 5권」46권 「열전 6권」
을파소 · 김후직 · 녹진 · 밀우 · 유유 · 명림답부 · 석우로 · 박제상 · 귀산 · 온달강수 · 최치원 · 설총 · 최승우 · 최원위 · 김대문
47권 「열전 7권」
해론 · 소나 · 취도 · 눌최 · 설계두 · 김영윤 · 관창 · 김흠운 · 열기 · 비녕자 · 죽죽 · 필부 · 계백
48권 「열전 8권」
향덕 · 성각 · 실혜 · 물계자 · 백결선생 · 검군 · 김생 · 솔거 · 지은 · 설씨 · 도미 · 필부
49권 「열전 9권」50권 「열전 10권」
창조리 · 연개소문궁예 · 견훤




《삼국사기》 <신대왕 본기>
一年冬十月 신대왕이 즉위하다.
二年春一月 대사면을 행하고 명림답부국상으로 삼다.
三年秋九月 시조 사당에 제사를 지내다.
三年冬十月 졸본에서 돌아오다.
四年 현도에 속하기를 청하다.
五年 현도 태수 공손도를 도와 부산적을 정벌하다.
八年冬十一月 명림답부의 계책으로 후한의 군대를 물리치다.
十二年春一月 신하들이 태자 책립을 건의하다.
十二年春三月 남무를 태자로 삼다.
十四年冬十月 일식이 일어나다.
十五年秋九月 국상 명림답부가 죽다.
十五年冬十二月 신대왕이 붕어하다.


4. 대중매체에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천제하백
해모수유화
부여/왕사1대
추모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온조
백제/왕사
고도절고해명왕녀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고막덕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9대
고국천왕
고발기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고일우고소발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19대
광개토태왕
20대
장수태왕
고익
고조다고승우공주고승천
21대
문자명태왕
22대
안장태왕
23대
안원태왕
고안학
24대
양원태왕
왕자
25대
평원태왕
26대
영양태왕
27대
영류태왕
평강공주대양왕
고환권28대
보장태왕
고복남고임무고덕남고덕무공주
부흥
보덕왕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1] 산성하 전창 36호 추정[2] 그러나 이는 삼국사기 기록만으로도 반박된다. 차대왕 시절에 태조왕 때부터 시작된 정복 사업은 더욱 박차를 가했고 한나라와 부여와의 쟁패에서 패배한 일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군주들이 흔히 그렇듯 군사적 능력은 만렙인데 정치력이나 친화력은 영 꽝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 장자 계승 원칙은 선왕의 장자가 임금이 되는 게 원칙으로서 사실 고국천왕에게 아들이 없는 상황이라면 어차피 방계라는 점에선 똑같은 그 밑 동생 누가 계승하더라도 장자 계승 원칙을 어기는 건 아니었다. 그러나 당연한 얘기로 동생에게 왕위를 빼앗긴 형이 기분 좋을리가 없어 분란이 발생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7:23:13에 나무위키 신대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