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 ( [0] => Array ( [text] => 1936년 악인이 아니다(No Villain)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1944년 행운을 잡은 사나이(The Man Who Had All the Luck)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1947년 모두 내 아들 (All My Sons)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군수 업자와 그 일가의 몰락을 통해 전쟁과 자본 논리에 의해 붕괴되는 인간 양심의 문제를 고발하는 작품. 자수성가한 사업가 조 켈러는 동업자와 함께 사업을 이끌면서 전쟁 발발 이후 전투기 부품 군납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둔다. 그러던 중 납품 전 부품에서 ‘아마도 안전할 것으로 보이는’ 결함이 발견되지만, 부품은 그대로 출하되고 그 결함 때문에 [[Twenty One Pilots|스물한 명의 조종사]]가 전투기 사고로 전사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만다. 한편 전쟁터에 파병된 조의 둘째 아들 래리는 아버지의 죄 때문에 죽어 간 동료들에 대한 죄의식에 시달리던 끝에 약혼녀 앤에게 편지를 남기고 출격 중 스스로 비행 사고를 일으켜 버린다. 자신의 잘못으로 죽어 간 생명에 대한 책임을 부정하는 아버지, 둘째 아들의 죽음을 부정하는 어머니, 아버지의 죄를 부정하는 큰아들. 사랑하는 이를 잃은 앤과 그녀의 오빠 조재, 남매의 아버지이자 조 대신 수감된 동업자의 폭로로 인해 어느 날 불현듯 잊으려 했던 과거가 유령처럼 되살아나 일가를 위협하고... [start] => 1 [level] => 1 [tag] => indent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1948년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1953년 [[The Crucible|시련]](The Crucible)[* 1996년에 나온 영화판의 각본도 맡았다고 한다.]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1955년 다리위에서 바라본 풍경(A View From The Bridge)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1964년 전락 이후(After the Fall)[* 이 작품에서 먼로와의 결혼 생활을 다루고 있다. ][*영상 밀러와의 인터뷰와 '전락 이후' 공연 중 일부분. 공연은 8:24부터..[[https://www.youtube.com/watch?v=0P5ijFKk6fU&t=609s|해당 영상]]]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Array ( [0] => Array ( [text] => 1964년 비시에서 생긴 일 (Incident at Vichy) [start] => 1 [level] => 1 [tag] => ul [childNodes] => Array ( ) ) ) 아서 밀러
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서 밀러

덤프버전 :

아서 밀러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가 예술 훈장.png
미국 국가 예술 훈장 수훈자
20세기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85년엘리엇 카터, 랄프 엘리슨, 호세 페레, 마사 그레이엄, 루이스 네벨슨, 조지아 오키프, 레온타인 프라이스
1986년매리언 앤더슨, 프랭크 카프라, 에런 코플런드, 빌럼 데 쿠닝, 아그네스 드 밀, 에바 르 갈리엔, 앨런 로맥스, 루이스 멈퍼드, 유도라 웰티
1987년로메어 비어든, 엘라 피츠제럴드, 하워드 네메롭, 알윈 니콜라이, 이사무 노구치, 윌리엄 슈먼, 로버트 펜 워런
1988년솔 벨로, 헬렌 헤이스, 고던 파크스, 이오밍 페이, 제롬 로빈스, 루돌프 제르킨, 버질 톰슨, 시드니 프리드버그,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레오폴드 아들러, 캐서린 던햄, 알프레드 아이젠슈테트, 마틴 프리드먼, 디지 길레스피, 워커 핸콕,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체스와프 미워시, 로버트 마더웰, 존 업다이크
1990년조지 애보트, 험 크로닌, 제시카 탠디, 메세 커닝햄, 재스퍼 존스, 제이콥 로렌스, 비비 킹, 이안 맥하그, 비벌리 실즈
1991년모리스 아브라바넬, 로이 에이커프, 피에트로 벨루스치, J. 카터 브라운, 찰스 콜스, 존 O. 크로스비, 리처드 디벤콘, 키티 칼리슬, 펄 프리머스, 아이작 스턴
1992년마릴린 혼, 제임스 얼 존스, 알란 하우저, 미니 펄, 로버트 소득, 얼 스크럭스, 로버트 쇼, 빌리 테일러, 로버트 벤츄리 & 데니스 스콧 브라운, 로버트 와이즈
1993년캡 캘러웨이, 레이 찰스, 베스 로막스 하웨스, 스탠리 쿠니츠 , 로버트 메릴, 아서 밀러,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이드 리차드, 윌리엄 스타이런, 폴 테일러, 빌리 와일더
1994년해리 벨라폰테, 데이브 브루벡, 셀리아 크루즈, 도로시 딜레이, 줄리 해리스, 에릭 호킨스, 진 켈리, 피트 시거 , 웨인 티보, 리차드 윌버
1995년리차 알바네세, 그웬돌린 브룩스,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디, 데이빗 다이아몬드, 제임스 잉고 프리드, 밥 호프, 로이 리히텐슈타인, 아서 미첼, 빌 먼로
1996년에드워드 올비, 사라 콜드웰, 해리 칼라한, 젤다 피챈들러, 랄로 게레로, 라이어널 햄프턴, 벨라 루이츠키, 로버트 레드포드, 모리스 센댁, 스티븐 손드하임
1997년루이즈 부르주아, 베티 카터, 댄 킬리, 안젤라 랜스버리, 제임스 리바인, 티토 푸엔테, 제이슨 로바즈, 에드워드 빌렐라, 독 왓슨
1998년자크 드엠보, 패츠 도미노, 잭 엘리엇, 프랭크 게리, 아그네스 마틴, 그레고리 펙, 로베르타 피터스, 필립 로스, 그웬 버든
1999년아레사 프랭클린, 마이클 그레이브스, 오데타, 노만 레어, 로제타 르누아르, 하비 리히텐스타인, 리디아 멘도자, 조지 시걸, 마리아 톨치프
2000년마야 안젤루, 에디 아놀드,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베니 카터, 척 클로즈, 호톤 푸트, 클래스 올덴버그, 이작 펄만, 해롤드 프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21세기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루톨포 아나야, 조니 캐시, 커크 더글러스, 헬렌 프랑켄탈러, 주디스 제이미슨, 요요마, 마이크 니콜스
2002년플로렌스 놀, 트리샤 브라운, 필립 드 몬테벨로, 우타 하겐, 로렌스 핼프린, 알 허쉬펠드, 조지 존스, 밍 조 리, 스모키 로빈슨
2003년비버리 클리어리, 라프 에스퀴스, 수잔 파렐, 버디 가이, 론 하워드, 레너드 슬래트킨, 조지 스트레이트, 토미 튠
2004년레이 브래드버리, 칼리슬 플로이드, 프레데릭 하트, 안소니 헥트, 존 루스번, 빈센트 스컬리, 트와일라 사프
2005년루이스 오킨클로스, 제임스 데프라이스트, 파키토 드 리베라, 로버트 듀발, 올리 존스톤, 윈튼 마살리스, 티나 라미레즈, 돌리 파튼
2006년윌리엄 볼컴, 시드 챠리시, 로이 데카라바, 에릭 쿤젤, 그레고리 라바사, 빅토르 슈레켄고스트, 랄프 스탠리
2007년모르텐 로리젠, 스콧 모마데이, 크레이그 노엘, 레스 폴, 조지 투커, 앤드루 와이어스
2008년스탠 리, 리처드 M. 셔먼, 로버트 B. 셔먼,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행크 존스, 헤수스 모르폴스
2009년밥 딜런, 클린트 이스트우드, 밀튼 글레이저, 마야 린, 리타 모레노, 제시 노먼, 프랭크 스텔라, 마이클 틸슨 토머스, 존 윌리엄스
2010년로버트 브러스타인, 밴 클라이번, 마크 디 수베로, 도날드 홀, 퀸시 존스, 하퍼 리,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제임스 테일러
2011년윌 바넷, 리타 도브, 알 파치노, 마틴 퍼이어, 멜 틸리스, 안드레 왓츠
2012년허브 앨퍼트, 조안 마이어스 브라운, 르네 플레밍, 어니스트 J. 게인즈, 엘스워스 켈리, 토니 쿠슈너, 조지 루카스, 일레인 메이, 로리 올린 , 알렌 투생
2013년줄리아 알바레즈, 빌 T. 존스, 존 캔더, 제프리 카첸버그, 맥신 홍 킹스턴, 앨버트 메이즐스, 린다 론스태드, 빌리 첸 & 토드 윌리엄스, 제임스 터렐
2014년존 발데사리, 핑 총, 미리암 콜론, 샐리 필드, 앤 해밀턴, 스티븐 킹, 메레디스 몽크, 조지 셜리, 토비아스 울프
2015년멜 브룩스, 산드라 시스네로스, 모건 프리먼, 필립 글래스, 베리 골디, 산티아고 지메네즈, 랄프 레몬, 오드라 맥도널드, 루이스 발데스, 잭 위튼
2016년없음
2017년없음
2018년없음
2019년앨리슨 크라우스, 샤론 퍼시 록펠러, 미군 군악대, 존 보이트
2020년토비 키스, 리키 스캑스, 메리 코스타, 닉 우트, 얼 A. 파웰 3세
2021년브루스 스프링스틴, 글래디스 나이트, 민디 케일링,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호세 펠리시아노, 베라 왕, 조안 시게카와, 주디 바카, 프레드 아이커너, 안토니오 마르토렐, 빌리 홀리데이 극장, 국제흑인댄스협회
출처: National Medal of Arts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진 허숄트 박애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아카데미상 수상의 하나로, 오랜 기간 영화 산업 전체의 발전에 현저한 공적이있는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보통 아카데미상과는 달리,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이사 회원이 후보 선정과 투표를 한다.
1957년1958년1960년1961년1962년
Y. 프랭크 프리먼새뮤얼 골드윈밥 호프솔 레서조지 시튼
1963년1966년1967년1968년1969년
스티브 브로이디에드몬드 드페티조지 베그넬그레고리 펙마샤 레이
1970년1971년1973년1974년1975년
조지 제셀프랭크 시나트라로절린드 러셀류 와서만아서 B. 크림
1976년1978년1979년1980년1982년
줄스 C. 스테인찰턴 헤스턴레오 자페로버트 벤자민대니 케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90년
월터 미리쉬M. J. 프랭코비치데이비드 L. 월퍼버디 로저스하워드 W. 코치
1993년1994년1995년2002년2005년
오드리 헵번
엘리자베스 테일러
폴 뉴먼퀸시 존스아서 밀러로저 메이어
2007년2009년2012년2013년2014년
섀리 랜싱제리 루이스오프라 윈프리제프리 카첸버그안젤리나 졸리
2015년2016년2020년2021년2022년
해리 벨라폰테데비 레이놀즈지나 데이비스대니 글로버마이클 J. 폭스




전미도서상 평생공로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207A71FD-4932-4957-B32F-AEB5AF75B23C.png
미국 문단에 탁월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주는 상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제이슨 엡스타인 (도서 편집자)다니엘 부어스틴 (역사학자)솔 벨로 (작가)유도라 웰티 (소설가)제임스 로린 (시인)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클리프턴 파디먼 (작가)그웬돌린 브룩스 (시인)데이빗 맥컬러 (작가)토니 모리슨 (소설가)스터드스 터컬 (작가)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존 업다이크 (시인)오프라 윈프리 (방송인)레이 브래드버리 (소설가)아서 밀러 (극작가)필립 로스 (소설가)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스티븐 킹 (소설가)주디 블룸 (작가)노먼 메일러 (소설가)아드리엔 리치 (시인)조앤 디디온 (저널리스트)
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
맥신 홍 킹스턴 (작가)고어 비달 (작가)톰 울프 (작가)존 애쉬버리 (시인)엘모어 레너드 (소설가)
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E. L. 닥터로 (소설가)어슐러 K. 르 귄 (소설가)돈 드릴로 (소설가)로버트 카로 (저널리스트)애니 프루 (소설가)
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이사벨 아옌데 (소설가)에드먼드 화이트월터 모슬리카렌 테이 야마시타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8년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포이티어, 닐 사이먼
1996년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제임스 브라운, 캐럴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만 레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아서 밀러
Arthur Miller
파일:아서밀러프로필.jpg
본명아서 애셔 밀러
Arthur Asher Miller
출생1915년 10월 17일
뉴욕 주 뉴욕 시 맨해튼 할렘
사망2005년 2월 10일 (향년 89세)
코네티컷 주 록스베리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작가
신체191cm
학력미시간 대학교 졸업
배우자
마리 슬레터리 (1940 - 1956; 이혼)
마릴린 먼로 (1956 -1961; 이혼)
인게 모라스 (1962 - 2002; 사별)
대표작
세일즈맨의 죽음(1948)
시련(1953)
서명
1. 개요
2. 경력
3. 작품



1. 개요[편집]


20세기 미국 연극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극작가.


2. 경력[편집]


미시건 대학에서 영어영문학으로 전공을 바꾼 다음에 쓴 <악인이 아니다.(No Villain. 1936)>을 시작으로 극작가의 길을 걷게되었다. 주요 작품으로 <세일즈맨의 죽음>, <모두 내 아들>, <시련>, <다리위에서 바라본 풍경>이 있다.

그의 작품은 연극의 사회적인 역할과 극적인 감동을 적절하게 살려냈다는 평을 받는다. 그리고 사회적 갈등에서 인간의 사회적인 면모 뿐 만 아니라 개인적인 고통까지 심도있게 묘사하는 힘이 있다.

50년대 매카시즘에 휘말려서 상당히 곤욕을 치뤘으며 마릴린 먼로와의 결혼 생활은 황색언론의 집요한 사생활 침해와 염문설, 고정된 이미지로 인한 먼로의 정신적 고통으로 순탄치 못하였다. 그가 받았던 고통은 1953년 작품인 <시련>[스포일러]에서 잘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세일즈맨의 죽음>의 명성이 드높은데 비해, 막상 밀러의 존재는 다소 가려진 편이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미국 극작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이 기록되어있고, 그의 모교에 그의 이름을 딴 극장이 있으며, 많은 극작가와 배우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등 미 문학계에서 단연 존경받는 거장으로 유명하다.


3. 작품[편집]


  • 1936년 악인이 아니다(No Villain)

  • 1944년 행운을 잡은 사나이(The Man Who Had All the Luck)

  • 1947년 모두 내 아들 (All My Sons)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군수 업자와 그 일가의 몰락을 통해 전쟁과 자본 논리에 의해 붕괴되는 인간 양심의 문제를 고발하는 작품. 자수성가한 사업가 조 켈러는 동업자와 함께 사업을 이끌면서 전쟁 발발 이후 전투기 부품 군납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둔다. 그러던 중 납품 전 부품에서 ‘아마도 안전할 것으로 보이는’ 결함이 발견되지만, 부품은 그대로 출하되고 그 결함 때문에 스물한 명의 조종사가 전투기 사고로 전사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만다. 한편 전쟁터에 파병된 조의 둘째 아들 래리는 아버지의 죄 때문에 죽어 간 동료들에 대한 죄의식에 시달리던 끝에 약혼녀 앤에게 편지를 남기고 출격 중 스스로 비행 사고를 일으켜 버린다. 자신의 잘못으로 죽어 간 생명에 대한 책임을 부정하는 아버지, 둘째 아들의 죽음을 부정하는 어머니, 아버지의 죄를 부정하는 큰아들. 사랑하는 이를 잃은 앤과 그녀의 오빠 조재, 남매의 아버지이자 조 대신 수감된 동업자의 폭로로 인해 어느 날 불현듯 잊으려 했던 과거가 유령처럼 되살아나 일가를 위협하고...


  • 1953년 시련(The Crucible)[1]

  • 1955년 다리위에서 바라본 풍경(A View From The Bridge)

  • 1964년 전락 이후(After the Fall)[2][영상]

  • 1964년 비시에서 생긴 일 (Incident at Vichy)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4:15:55에 나무위키 아서 밀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스포일러] 1660년대에 마녀사냥에서 아내를 변호하다 악마로 몰려서 희생당한 한 농부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만든 이야기. 인간의 죄와 집단적인 광기가 인간이 어떻게 파멸시키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 속에서 주인공은 끝에서 자신의 자존감을 지키고 처형 당한다.[1] 1996년에 나온 영화판의 각본도 맡았다고 한다.[2] 이 작품에서 먼로와의 결혼 생활을 다루고 있다. [영상] 밀러와의 인터뷰와 '전락 이후' 공연 중 일부분. 공연은 8:24부터..해당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