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천종합터미널

덤프버전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관내 터미널
종합인천 · 인천공항 · 인천스타트업파크복합환승센터
시내용강화 · 영흥도 · 화도
예정인천서북부
폐쇄용현동


파일:롯데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계열사
지주회사롯데지주
식품롯데웰푸드 | 롯데칠성음료 (음료BG · 롯데주류) | 롯데아사히주류 | 롯데 네슬레 | 롯데피플네트웍스 | 롯데중앙연구소 | 롯데GRS (롯데리아 · 엔제리너스 커피)
유통롯데쇼핑 (롯데백화점 · 롯데ON · 롯데아울렛 · 롯데몰 · 롯데피트인 · 롯데지에프알 · 롯데마트 · 롯데마트 맥스 · 롯데슈퍼 · 에프알엘코리아 · 무지코리아 · 자라리테일코리아 · 토이저러스 · 인천종합터미널) | 롯데상사 | 중고나라 | 롯데하이마트 | 롯데홈쇼핑 (벨리곰) | 롯데컬처웍스 (롯데시네마 · 롯데엔터테인먼트 · 샤롯데씨어터) | 롯데멤버스 | 코리아세븐 | 롯데CVS711
화학·건설·제조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 케이피켐텍) | 롯데이네오스화학 | 롯데건설 (롯데캐슬) | 롯데CM사업본부 | 롯데기공 | 롯데알미늄 | 롯데엠시시 | 한국후지필름
관광·서비스·금융대홍기획 | 호텔롯데 (서울 · 월드 · 제주 · 시그니엘 · 시티호텔 · 롯데면세점 · 롯데리조트 · 롯데월드 (롯데월드 어드벤처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서울스카이 · 아쿠아리움 · 롯데워터파크) | 부산롯데호텔 | 롯데물산 (롯데월드타워 · 부산롯데타워 · 롯데월드몰) | 롯데글로벌로지스 | 롯데렌탈 (롯데렌터카 · 그린카) | 롯데정보통신 | 롯데JTB | 롯데캐피탈 | 롯데자산개발 | 롯데스카이힐CC | 롯데자이언츠 | 롯데미래전략연구소 | 롯데인재개발원
재단롯데문화재단 (롯데뮤지엄 · 롯데콘서트홀) | 롯데재단 (롯데장학재단 · 롯데복지재단 · 롯데삼동복지재단)
파일:롯데(일본) 로고 화이트.svg 일본 계열사
롯데 | 광윤사 | 롯데시티호텔 | 롯데물산 | 롯데부동산 | 롯데서비스 | 미도리상사 | 크리스피 크림 도넛 재팬 | 치바 롯데 마린즈



인천종합터미널

다국어 표기
영어Incheon Bus Terminal
중국어仁川综合汽车站
일본어仁川総合バスターミナル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연남로 35 (관교동)
터미널 코드 | 행선지 표기
100 인천
소유주
롯데쇼핑
운영사
인천교통공사
개업일자
1975년 9월 25일(개장)
1997년 11월 20일(이전)
운영 노선(행선지)
3번 문단 참조.
홈페이지
인천교통공사 인천종합터미널

1. 개요
2. 층별 안내
3. 노선
3.1.1. 주의사항
3.1.2. 강원권
3.1.3. 충청권
3.1.4. 호남권
3.1.5. 영남권
3.2.1. 수도권
3.2.2. 강원권
3.2.3. 충청권
3.2.4. 영남권
3.2.5. 호남권[1]
3.3. 광역버스
4. 승차홈
4.1. 고속버스
4.2. 광역버스
4.3. 시외버스
5. 인근 교통
6.2. 소송
7. 이전 논란
9. 기타
9.1. 버스 운행회사
9.1.1. 고속버스(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9.1.2. 시외버스
9.1.3. 광역버스



1. 개요[편집]


파일:인천터미널정문.jpg
인천종합터미널의 모습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연남로 35 (관교동)[2]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로, 수도권 중 비 서울 6대 터미널 중 하나다.[3]

인천국제공항, 인천항, 부평역과 함께 인천광역시의 4대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4][5]

준공 당시부터 인천광역시 소유로 산하 공기업인 인천교통공사[6][7]가 운영했다. 2012년 롯데쇼핑 계열의 롯데인천개발(주)[8]에 매각되었고, 인천교통공사는 위탁사업자 자격으로 터미널을 계속 운영하고 있다. 2020년 한 민간 버스 회사에 운영권을 뺏길 뻔 했지만, 공개입찰 결과 2023년까지 계약을 연장하며 수성에 성공했다. 과거에는 인천교통공사 자체 발매시스템을 사용했다가 현재는 버스연합회의 버스타고를 사용한다.

인천광역시의 메인 종합버스터미널로, 경인고속도로 종점 옆인 미추홀구 용현동에 위치했던 구 터미널에서 1997년 11월 신세계백화점 인천점 개점과 함께 이전했다.

고속버스코버스에서 예매할 수 있고, 시외버스티머니 전국 시외버스[9]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다.[10]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장기화 되면서 일부 노선은 감축 운행이 되거나 일부 노선은 운행 중지가 되었다.


2. 층별 안내[편집]


4F직원전용
3F직원전용
2F식당가, 신한은행
1F버스정차장, 대합실
B1F푸드에비뉴, 롯데시네마, 인천터미널역
B2F지하주차장


3. 노선[편집]


인천종합터미널 전체 노선 참고

충청도에서 인천으로 이주한 이주민들이 많고[11] 충청도, 인천 간 기업 이전도 잦아 충남, 서해안권 버스가 매우 많은 편이다. 추가로 광역버스 서울역 방향 1400번도 터미널 내에서 승·하차한다. 한때는 시외직행버스였던 강화도70번 버스도 터미널 안에서 승차했다고 한다.[12]

현재 프리미엄 고속버스 노선은 인천 - 광주, 인천[13] - 김해, 인천 - 대전, 인천 - 전주, 인천 - 부산, 인천 - 동대구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후일에 인천 - 속초 노선이 추가된다.


3.1. 고속버스[편집]




3.1.1. 주의사항[편집]




  • 프리미엄의 마일리지 적립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주말(금~일/공휴일) 한정, KOBUS(모바일) 통해 발권 한정으로 2% 적립된다.
      • 단, 김해(장유 경유)[참고.1]속초(양양 경유)는(은) 제외[참고.2]


  • 현 상황으로 인해 남원(덕과 경유) 및 양산의 노선이 결행 중이다. → 시외버스 인천-남원고속버스 인천공항-양산 참조. 이 중 양산의 노선은 사실상 없어진 상황이라 인천에서 양산가기 굉장히 불편해졌다.[14]


3.1.2. 강원권[편집]


강원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양양
속초
일 8회대원고속
동부고속
한일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속초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양양3:00₩ 20,800(우등)
₩ 27,000(프리미엄)
속초(고속)₩ 23,200(우등)
₩ 30,100(프리미엄)
운행시각표06:30, 08:20, 10:00, 12:00, 13:50, 15:40, 17:30, 19:40
시외버스 인천-속초(전환시외) 참조.
우등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윤번제로 운행한다.
제2경인고속도로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서울양양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해 횡성휴게소(영동고속도로)를 경유하지 않는다.
* 횡성으로 가면 너무 돌기 때문이다.
2020년 04월 01일부터 양양을 경유 동시 시외로 전환되었다.[1]
2021년 07월 02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전환시외인데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중고생 할인이 적용 불가의 노선이며, 마일리지조차 적립 불가능하다.
* 시기 미상. 일 3회 → 일 4회로 확대되었다.
[1] 인천공항 - 양양의 노선이 철수 후 뒤늦게서야 대체되었다.


3.1.3. 충청권[편집]


충청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대전일 22회(월~목)
일 25회(금)
일 27회 (토~일/공휴일)
삼화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대전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대전2:00₩ 11,700
₩ 17,100(우등)
₩ 18,900(프리미엄(월~목))
₩ 22,2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18,800(심야우등)
운행시각표(월~목)06:00, 06:40, 07:20, 08:00, 08:40, 09:20, 10:10, 11:00, 11:50, 12:40, 13:30, 14:10, 14:50, 15:30, 16:10, 16:50, 17:30, 18:20, 19:10, 20:00, 21:00, (심야)22:00
운행시각표(금)06:00, 06:40, 07:20, 08:00, 08:40, 09:20, 10:00, 11:00, 11:40, 12:20, 13:00, 13:40, 14:20, 15:00, 15:40, 16:20, 17:00, 17:40, 18:20, 19:00, 19:40, 20:20, 21:00, (심야)22:00, 23:00
운행시각표(토~일/공휴일)06:00, 06:40, 07:20, 08:00, 08:30, 09:00, 09:40, 10:10, 10:50, 11:30, 12:10, 12:40, 13:10, 13:50, 14:20, 15:00, 15:40, 16:20, 16:50, 17:20, 18:30, 19:10, 19:50, 20:30, 21:00, (심야)22:00, 23:00
고속버스 인천-대전복합 참조.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사실상 충청권의 고속 노선은 이거밖에 없으나 충남고속KOBUS에 가입되면서 서산태안의 노선이 고속으로 전환되었다. 삼화고속의 유일한 단독 배차의 노선이자 대전의 경우 이 노선밖에 없다. 심지어 일반은 USB 포트 및 프리미엄 버스유아용 카시트가(7번석 한정) 탑재되었다. 그리고 인천발 타 지방행 최고 노선이라 1번 플랫폼을 대전행 버스가 단독으로 쓰고 있다. 다른 노선들은 대부분 시외버스다.
2018년 07월 20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시기 미상. 일 4회(월~목) 및 일 5회(금~일/공휴일) → 8회로 확대되었다.
서산일 13회충남고속
한양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서산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서산1:20₩ 7,700
₩ 11,200(우등)
운행시각표06:55, 08:05, 09:15, 10:25, 11:35, 12:45, 13:55, 15:05, 16:15, 17:25, 18:35, 19:45, 20:55
고속/시외버스 인천-서산(전환고속) 참조.
2021년 07월 26일부터 KOBUS의 전산망을 이전함으로 인해 E-Pass 사용이 가능하다.
동일 노선에 한서대학교, 해미를 경유하는 시외버스로도 운행 중이다.
2021년 11월 30일부터 태안의 노선과 같이 일부 시간을 우등 할증이 적용되었다.
태안일 12회충남고속
한양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태안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태안1:50₩ 8,900
₩ 13,000(우등)
운행시각표07:00, 08:10, 09:20, 10:30, 11:40, 12:50, 14:00, 15:10, 16:20, 17:40, 19:05, 20:20
고속버스 인천-태안(전환고속) 참조.
2021년 07월 26일부터 고속버스 전산망으로 이전함으로 인해 E-Pass 사용이 가능하다.
2021년 11월 30일부터 오후~저녁 시간대에 시간표 변경으로 막차가 30분이 늦춰지며, 서산의 노선과 같이 우등 할증이 적용되었다..
천안일 13회동양고속(일반)
충남고속(우등)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천안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천안(고속)1:35₩ 8,300
₩ 10,800(우등)
운행시각표06:30, 07:50, 08:10, 08:50, 09:30, 11:00, 12:40, 13:30, 14:50, 15:30, 16:00, 16:25, 18:10
시외버스 인천-천안 참조.
일반은(동양고속) 학생 및 우등은(충남고속)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일반(동양고속) 한정으로 프리패스 대신 정기권에 해당한다.
* 참고. 인천행 한정으로 프리패스도 사용 가능하다.
과거에는 시외버스의 전산 망을 이용했으나 2020년 06월부터 KOBUS의 전산 망으로 변경되었다. 시외버스 전산망으로 운행할 당시 동양고속, 충남고속, 금남고속, 한양고속의 4개의 회사가 참여했으나 금남고속 및 한양고속이 철수로 두 개의 회사만 운행 중이다.
2020년 08월 01일부터 천안고속버스터미널의 착발로 변경되었다.
현 상황으로 인해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며,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16:25}}, 17:00, 17:30, 19:10 ||
##||<-3>시외버스 인천-천안 참조.
##
##일반은(동양고속) 학생 및 우등은(충남고속)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일반(동양고속) 한정으로 프리패스 대신 정기권에 해당한다.
## * 참고. 인천행 한정으로 프리패스도 사용 가능하다.
##
##과거에는 시외버스의 전산 망을 이용했으나 2020년 06월부터 KOBUS의 전산 망으로 변경되었다. 시외버스 전산망으로 운행할 당시 동양고속, 충남고속, 금남고속, 한양고속의 4개의 회사가 참여했으나 금남고속 및 한양고속이 철수로 두 개의 회사만 운행 중이다.
##
##2020년 08월 01일부터 천안고속버스터미널의 착발로 변경되었다. ||
##
천안ㆍ아산일 8회동양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아산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천안(고속)1:30₩ 8,300
천안아산역1:50₩ 9,000
서부휴게소(봉강교)2:10₩ 9,400
배방2:00
아산(고속)₩ 9,500
운행시각표06:00, 07:20, 10:10, 11:50, 17:20, 18:10, 19:00, 21:00
시외버스 인천-아산온양 참조.
학생 할인이 적용된다.
프리패스 대신 정기권에 해당한다.
이 노선도 역시 과거에 시외버스 전산 망을 이용했으나 2020년 06월부터 KOBUS의 전산 망으로 변경되었다. 시외버스 전산 망으로 운행할 당시 동양고속, 충남고속, 금남고속 3개의 회사가 참여했으나 현재는 동양고속이 단독 배차 중이며, 고속터미널이 착발이다.
서부휴게소(봉강교), 배방, 아산의 소요 시간은 KOBUS 기준이지만 실제로는 엉터리다.
현 상황으로 인해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며,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ba66a4><rowbgcolor=#ba66a4> '''{{{#ffffff 인천발 아산행}}}''' || ##||<rowbgcolor=#ba66a4><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ba66a4> '''[[천안종합버스터미널|{{{#ffffff 천안(고속)}}}]]''' || 1:30 || ₩ 8,300[br] || ##||<bgcolor=#ba66a4> '''[[천안아산역|{{{#ffffff 천안아산역}}}]]''' || 1:50 || ₩ 9,000 || ##||<bgcolor=#ba66a4> '''[[봉강교정류소|{{{#ffffff 서부휴게소(봉강교)}}}]]''' || 2:10 ||<|2> ₩ 9,400 || ##||<bgcolor=#ba66a4> '''[[배방읍|{{{#ffffff 배방}}}]]''' ||<|2> 2:00 || ##||<bgcolor=#ba66a4> '''[[아산고속버스터미널|{{{#ffffff 아산(고속)}}}]]''' || ₩ 9,500 || ##||<bgcolor=#ba66a4> '''{{{#ffffff 운행시각표}}}''' ||<-2>06:00, 07:20, 11:00, 12:50, 14:30, 16:00, 16:40, 18:30, 20:20, 21:00 || ##||<-3>[[시외버스 인천-아산온양]] 참조. ## ##학생 할인이 적용된다. ## ##[[고속버스 프리패스|프리패스]] 대신 [[정기권]]에 해당한다. ## ##이 노선도 역시 과거에 시외버스 전산 망을 이용했으나 2020년 06월부터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의 전산 망으로 변경되었다. [[시외버스]]의 전산 망으로 운행할 당시 [[동양고속]], [[충남고속]], [[금남고속]] 3개의 회사가 참여했으나 현재는 동양고속이 단독 배차 중이며, [[아산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이 착발이다. ## ##[[봉강교정류소|서부휴게소(봉강교)]], [[배방읍|배방]], [[아산고속버스터미널|아산]]의 소요 시간은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기준이지만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실제로는]]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엉터리다.]] || ##

3.1.4. 호남권[편집]


호남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정안알밤휴게소
광주
일 24회금호고속
삼화고속
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광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정안알밤휴게소1:25₩ 8,800
₩ 12,900(우등)
비아동광주 발권 후 하차
광주(유스퀘어)3:30₩ 20,200
₩ 30,000(우등)
₩ 33,200(프리미엄(월~목))
₩ 39,0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33,000(심야우등)
₩ 36,500(심야프리미엄(월~목))
₩ 42,900(심야프리미엄(금~일, 공휴일))
운행시각표 월~목06:00, 06:40, 07:00(월~금), 07:20(토~일), 08:00, 08:40, 09:20, 10:00, 10:40, 11:20, 12:00, 12:30, 13:00, 13:40, 14:10, 14:50, 15:30, 16:00, 16:40, 17:20, 18:00, 19:45, 21:00, (심야)22:00, 23:00
고속버스 인천-광주 참조.
06:40 ~ 18:00 →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정안 발권 대상자는 우등도 적용된다.
06:00, 21:00, 22:00, 23:00의 시간을 비롯한 프리미엄, 설날추석의 특송 기간 외 만석 승객 중 정안 발권 승객이 없을 경우 제2경인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평택시흥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고창담양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의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단, 만석이지만 1명이라도 정안 발권 또는 빈 자리가 하나라도 있으면 정안 경유 확정이다.
주의. 한일고속의 경우 일반은 운행하지 않는다.[15]
2017년 06월 30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현 상황으로 인해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며,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39b43><rowbgcolor=#039b43> '''{{{#ffffff 인천발 광주행}}}''' || ##||<rowbgcolor=#039b43><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25 || ₩ 8,800[br]₩ 12,9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비아정류소|{{{#ffffff 비아동}}}]]''' ||<-2> '''광주''' 발권 후 하차 || ##||<bgcolor=#039b43> '''[[유스퀘어|{{{#ffffff 광주(유스퀘어)}}}]]''' || 3:30 || ₩ 20,200[br]₩ 30,000({{{#0000ff 우등}}})[br]₩ 33,200({{{#ff0000 프리미엄(월~목)}}})[br]₩ 39,000({{{#ff0000 프리미엄(금~일, 공휴일)}}})[br]₩ 33,000({{{#0000ff 심야우등}}})[br]₩ 36,500({{{#ff0000 심야프리미엄(월~목)}}})[br]₩ 42,900({{{#ff0000 심야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bgcolor=#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00, 06:20}}}, 07:00, {{{#0000ff 07:30}}}, {{{#ff0000 08:00}}}, {{{#0000ff 08:40, 09:00, 09:30}}}, {{{#ff0000 10:00}}}, {{{#0000ff 10:30, 11:00}}}, {{{#ff0000 11:20}}}, {{{#0000ff 12:00, 12:30}}}, 13:00, {{{#ff0000 13:30}}}, {{{#0000ff 14:00, 14:40}}}, {{{#ff0000 15:20}}}, {{{#0000ff 16:00}}}, {{{#ff0000 16:40}}}, {{{#0000ff 17:20, 18:00}}}, 18:50, {{{#ff0000 19:50}}}, {{{#0000ff 20:50}}}, (심야){{{#0000ff 22:00}}}, {{{#ff0000 23:00}}} || ##||<-3>[[고속버스 인천-광주]] 참조. ## ##07:00 ~ 18:50 →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정안 발권 대상자는 우등도 적용된다. ## ##06:00, 21:00, 22:00, 23:00의 시간을 비롯한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 외 만석 승객 중 '''정안''' 발권 승객이 없을 경우 '''[[제2경인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평택시흥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고창담양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의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단, 만석이지만 1명이라도 '''정안''' 발권 또는 빈 자리가 하나라도 있으면 '''정안''' 경유 확정이다. ## ##주의. [[한일고속]]의 경우 일반은 운행하지 않는다.[* [[포항고속버스터미널|포항]]의 경우 개통 당시 처음부터 전회우등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한 때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 노선의 경우 개통 당시 유일한 노선였으나 2021년 03월 15일부터 [[시흥종합버스터미널|시흥]]하고 통합으로 인해 안산을 경유지 조정 동시 전회우등으로 인해 일반을 폐지로 [[유스퀘어|광주]]의 노선은 전멸되었다. → [[시외버스 시흥시화-광주]] 참조. ] ## ##2017년 06월 30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
정안알밤휴게소
전주
일 17회삼화고속
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전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정안알밤휴게소1:25₩ 9,200
₩ 13,600(우등)
호남제일문전주 발권 후 하차
전주(고속)2:45₩ 15,600
₩ 22,900(우등)
₩ 25,200(프리미엄 (월~목))
₩ 29,700(프리미엄 (금~일, 공휴일))
₩ 25,100(심야우등)
운행시각표06:00, 07:00, 08:00, 09:00, 10:00, 10:40, 11:30, 12:10, 13:00, 13:50, 15:00, 16:00, 17:00, 18:00, 18:50, 19:50, (심야)22:10
고속버스 인천-전주 참조.
첫/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정안 발권 대상자는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2018년 07월 20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으며, 윤번제로 운행한다.
일자 미상으로 일부 배차 시간표가 변동되었으며 하루 1회 이지만 일반 등급[16]의 배차가 환원되었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39b43><rowbgcolor=#039b43> '''{{{#ffffff 인천발 전주행}}}''' || ##||<rowbgcolor=#039b43><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25 || ₩ 8,800[br]₩ 12,9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호남제일문|{{{#ffffff 호남제일문}}}]]''' ||<-2> '''전주''' 발권 후 하차 || ##||<bgcolor=#039b43> '''[[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전주(고속)}}}]]''' || 2:45 || ₩ 15,000[br]₩ 22,000({{{#0000ff 우등}}})[br]₩ 24,300({{{#ff0000 프리미엄 (월~목)}}})[br]₩ 28,600({{{#ff0000 프리미엄 (금~일, 공휴일)}}})[br]₩ 24,200({{{#0000ff 심야우등}}}) || ##||<bgcolor=#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00}}}, 06:50, {{{#0000ff 07:40, 08:30}}}, {{{#ff0000 09:20}}}, {{{#0000ff 10:00, 10:40, 11:30}}}, 12:10, {{{#0000ff 13:00}}}, {{{#ff0000 13:40}}}, {{{#0000ff 14:20, 15:10, 15:50}}}, 16:40, {{{#0000ff 17:30, 18:20}}}, {{{#ff0000 18:50}}}, {{{#0000ff 19:50}}}, (심야){{{#0000ff 22:10}}} || ##||<-3>[[고속버스 인천-전주]] 참조. ## ##첫/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정안 발권 대상자는 우등도 적용된다. ## ## ##2018년 07월 20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일반 및 프리미엄은 윤번제로 운행한다. || ##
정안알밤휴게소
익산
일 2~3회(월~목)
일 3회
금호고속
중앙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익산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안산발권불가
정안알밤휴게소1:25₩ 8,800
₩ 12,900(우등)
팔봉동3:20₩ 18,500
₩ 24,000(우등)
익산(고속)
운행시각표07:10(우등), 12:00(우등), 12:10(우등), 14:00(일반), 17:20(우등)
시외버스 인천-익산(전환시외) 참조.
전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2018년 05월 14일부터 안산을 경유지로 통합 동시에 시외로 전환되었다.
현 상황으로 인해 날짜 별로 07:10, 12:10, 17:20의 시간으로 운행하는 날도 있고, 12:00, 14:00의 시간으로 운행하는 날도 있으며,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39b43><rowbgcolor=#039b43> '''{{{#ffffff 인천발 익산행}}}''' || ##||<rowbgcolor=#039b43><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39b43> '''[[안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안산}}}]]''' ||<-2> 발권불가 || ##||<bgcolor=#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25 || ₩ 8,800[br]₩ 12,9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ffffff 팔봉동}}}''' ||<|2> 3:20 ||<|2> ₩ 18,500[br]₩ 24,0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익산고속버스터미널|{{{#ffffff 익산(고속)}}}]]''' || ##||<bgcolor=#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10}}}, 09:10, {{{#0000ff 12:00}}}, 14:00, {{{#0000ff 17:20}}}, 19:00 || ##||<-3>[[시외버스 인천-익산]]([[전환시외]]) 참조. ## ##전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2018년 05월 14일부터 [[안산종합버스터미널|안산]]을 경유지로 통합 동시에 [[전환시외|시외로 전환되었다.]] || ##
정안알밤휴게소
순천
일 3회(월~목)
일 4회(금~일)
천일고속
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순천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정안알밤휴게소1:25₩ 12,900(우등)
순천대학교순천 발권 후 하차
순천신대지구3:50₩ 32,800(우등)
순천
운행시각표08:10, 11:20(이상 천일고속), 15:30(금~일/한일고속), 18:30(천일고속)
고속버스 인천-순천 참조.
전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정안 발권 대상자는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2019년 12월 02일부터 11:20, 18:10 → 순천대학교 대신 신대지구로 경유한다.
현 상황으로 인해 금호고속삼화고속이 철수했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39b43><rowbgcolor=#039b43> '''{{{#ffffff 인천발 순천행}}}''' || ##||<rowbgcolor=#039b43><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39b43> '''[[정안알밤휴게소|{{{#ffffff 정안알밤휴게소}}}]]''' || 1:25 || ₩ 12,9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순천대학교|{{{#ffffff 순천대학교}}}]]''' ||<-2> '''순천''' 발권 후 하차 || ##||<bgcolor=#039b43> '''[[신대지구고속버스정류소|{{{#ffffff 순천신대지구}}}]]''' ||<|2> 3:50 ||<|2> ₩ 32,8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순천종합버스터미널|{{{#ffffff 순천}}}]]''' || ##||<bgcolor=#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40, 09:00, 11:20, 15:00, 18:10}}} || ##||<-3>[[고속버스 인천-순천]] 참조. ## ##전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정안 발권 대상자는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2019년 12월 02일부터 11:20, 18:10 → [[순천대학교]] 대신 [[신대지구고속버스정류소|신대지구]]로 경유한다. || ##
정안알밤휴게소
여수
일 3회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여수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정안알밤휴게소1:25₩ 12,900(우등)
여천4:20₩ 35,100(우등)
여수
운행시각표08:30, 11:10, 17:00
고속버스 인천-여수 참조.
전 시간대 정안알밤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정안 발권 대상자는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현 상황으로 인해 금호고속이 철수했다.
}}} ||
목포ㆍ진도일 4회금호고속
삼화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목포·진도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목포4:30₩ 24,200
₩ 31,500(우등)
₩ 34,600(심야우등)
진도5:30₩ 41,000(우등)
운행시각표07:40(진도), 09:50(이상 삼화고속), 11:30, 13:50, 15:40(진도), 17:50(이상 금호고속)
시외버스 인천-목포·진도(전환시외) 참조.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제2경인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평택시흥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의 경로로 이용해 정안을 경유하지 않는다.
* 정안으로 가면 너무 돌기 때문이다.
2018년 08일 24일부터 07:40, 15:40의 시간이 진도까지 연장되었으며, 이에 따라 시외로 전환되었다.
현 상황으로 인해 11:30 ~ 17:50 시간의 경우 2회를 랜덤으로 운행하며,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39b43><rowbgcolor=#039b43> '''{{{#ffffff 인천발 목포·진도행}}}''' || ##||<rowbgcolor=#039b43><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39b43> '''[[목포종합버스터미널|{{{#ffffff 목포}}}]]''' || 4:30 || ₩ 24,200[br]₩ 31,500({{{#0000ff 우등}}})[br]₩ 34,600({{{#0000ff 심야우등}}}) || ##||<bgcolor=#039b43> '''[[진도공용터미널|{{{#ffffff 진도}}}]]''' || 5:30 || ₩ 41,0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30, 07:40^^(진도 연장)^^}}}, 09:50, {{{#0000ff 11:30, 13:50, 15:40^^(진도 연장)^^}}}, {{{#0000ff 17:50}}}, (심야){{{#0000ff 22:10}}} || ##||<-3>[[시외버스 인천-목포·진도]]([[전환시외]]) 참조.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제2경인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평택시흥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의 경로로 이용해 [[정안알밤휴게소|정안]을 경유하지 않는다. ## * 정안으로 가면 너무 돌기 때문이다. ## ##2018년 08일 24일부터 07:40, 15:40의 시간이 [[진도공용터미널|진도]]까지 연장되었으며, 이에 따라 [[전환시외|시외로 전환되었다.]]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39b43><rowbgcolor=#039b43> '''{{{#ffffff 인천발 남원행}}}''' || ##||<rowbgcolor=#039b43><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39b43>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ffffff 서수원}}}]]''' ||<|2><-2> 발권불가 || ##||<bgcolor=#039b43> '''[[오산역환승센터|{{{#ffffff 오산}}}]]''' || ##||<bgcolor=#039b43> '''{{{#ffffff 덕과}}}''' || 3:40 || ₩ 26,8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문화터미널남원|{{{#ffffff 남원}}}]]''' || 4:30 || ₩ 28,800({{{#0000ff 우등}}}) || ##||<bgcolor=#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00, 13:20, 19:10}}} || ##||<-3>[[시외버스 인천-남원]]([[전환시외]]) 참조. ## ##[[경기고속]]도 [[티머니]] [[E-Pass]] 지원하지만 실시간은 지원하지 않는다.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윤번제로 운행한다. ## ##다른 시간의 경우 대체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전주고속버스터미널|전주]] 발권 후(하차) → 옆 동네의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시외]]에서 환승[*주의. 전주 발권 할 때 늦어도 18:20까지의 시간으로 탑승해야하며, 가장 안전하게 하려면 17:30까지의 시간으로 탑승해야한다.] → [[http://www.jbexpress.co.kr/html/service/%EB%82%A8%EC%9B%90.htm|전주→남원의 시간표]] 참조. ##* 또는 [[인천터미널역]] → [[부평구청역]](환승) → [[고속터미널역]](하차) → [[센트럴시티/운행노선#s-2.4|강남]]에서 환승[* '''인천''' → [[정안알밤휴게소|정안]] → 남원([[센트럴시티|강남]]발)(으)로 환승(정안 출발 시간 = 08:40 ~ 20:50)의 루트로도 가능하지만 교통 상황에 따라 평소의 시간보다 더 걸릴 수도 있으며, 최악의 경우 시간 계산 잘못하면 [[답이 없다|답이]] [[망했어요|없다.]]] || ##

3.1.5. 영남권[편집]


영남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낙동강의성휴게소
부산
일 12회동양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부산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낙동강의성휴게소2:15₩ 15,000
₩ 22,100(우등)
두실역23:00 → 부산 발권 후 하차
부산4:10₩ 25,400
₩ 37,900(우등)
₩ 41,800(프리미엄(월~목))
₩ 49,2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41,600(심야우등)
운행시각표06:40, 07:50(삼화고속), 10:40, 11:50, 13:00, 14:20, 15:30(천일고속), 16:30(금~일/공휴일(천일고속)) 17:40, 18:40, (심야)23:00
고속버스 인천-부산 참조.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낙동강의성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16:30(금~일/공휴일)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2019년 03월 08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현 상황으로 인해 날짜마다 미운행하는 시간도 존재하며, 배차가 매우 뒤죽박죽이다.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 '''{{{#ffffff 인천발 부산행}}}''' || ##||<rowbgcolor=#0062bc><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062bc> '''[[낙동강의성휴게소|{{{#ffffff 낙동강의성휴게소}}}]]''' || 2:15 || ₩ 15,000[br]₩ 22,1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두실역|{{{#ffffff 두실역)}}}]]''' ||<-2> 23:00 → '''부산''' 발권 후 하차 || ##||<bgcolor=#0062bc> '''[[부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부산}}}]]''' || 4:10 || ₩ 25,400[br]₩ 37,900({{{#0000ff 우등}}})[br]₩ 41,800({{{#ff0000 프리미엄(월~목)}}})[br]₩ 49,200({{{#ff0000 프리미엄(금~일, 공휴일)}}})[br]₩ 41,600({{{#0000ff 심야우등}}}) || ##||<bgcolor=#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40}}}, {{{#ff0000 07:50}}}, 09:30, {{{#0000ff 10:40, 11:50, 13:00, 14:20}}}, {{{#ff0000 15:30}}}, 16:30, {{{#0000ff 17:40, 18:40}}}, (심야){{{#0000ff 23:00}}} || ##||<-3>[[고속버스 인천-부산]] 참조. ##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낙동강의성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2019년 03월 08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
선산휴게소
서부산
일 2회(월~목)
일 3회(금~일/공휴일)
동양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서부산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선산휴게소2:20₩ 22,500(우등)
서부산(사상)4:30₩ 38,500(우등)
운행시각표09:10, 14:00(금~일/공휴일), 18:20
고속버스 인천-부산사상 참조.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고속 면허 + 전회우등이라 요금이 심히 비싸다. 만약 우등이면서 저렴하게 가고 싶으면 마산(시외)(으)로 가서 환승하면 되는데, 마산에서 환승 대기 시간을 포함해서 1시간 정도 더 걸린다. 학생 할인 대상자면 마산 환승을 권한다. 마산에서 부산서부로 가는 버스는 수시운행중이다. 예전에는 표를 한 번 끊으면 그날 막차까지 이용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좌석제에 사전예매 가능으로 바뀌어 반드시 그 시간대에 버스를 타야 한다. 허나 지금은 마산도 시외우등의 할증이 적용되어 학생 할인의 대상자가 아니면 요금 차이가 크지 않다. 단지, 고속 시간이 안 맞을 때라던지 심야 시간대에 탑승하는 대체 노선으로 전락했을 뿐이다. 선산을 경유하는 동대구 발권 후 하차 → 서부산행의 시외로도 환승이 가능하다.
14:00(금~일/공휴일) → 홀수 달(1, 3, 5, 7, 9, 11월) : 천일고속 및 짝수 달(2, 4, 6, 8, 10, 12월) : 동양고속이 운행하고,
18:20 → 홀수 달 : 동양고속 및 짝수 달 : 천일고속이 운행하며, KOBUS 통해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 '''{{{#ffffff 인천발 서부산행}}}''' || ##||<rowbgcolor=#0062bc><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20 || ₩ 22,5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ffffff 서부산(사상)}}}]]''' || 4:30 || ₩ 38,5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9:10, 14:00, 18:20}}} || ##||<-3>[[고속버스 인천-부산사상]] 참조. ## ##전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고속버스|고속]] 면허 + 전회우등이라 요금이 심히 비싸다. 만약 우등이면서 저렴하게 가고 싶으면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시외)]](으)로 가서 환승하면 되는데, 마산에서 환승 대기 시간을 포함해서 1시간 정도 더 걸린다. 학생 할인 대상자면 마산 환승을 권한다. 허나 지금은 마산도 시외우등의 할증이 적용되어 학생 할인의 대상자가 아니면 요금 차이가 크지 않다. 단지, 고속 시간이 안 맞을 때라던지 심야 시간대에 탑승하는 대체 노선으로 전락했을 뿐이다. 선산을 경유하는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발권 후 하차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산]]행의 [[시외버스|시외]]로도 환승이 가능하다. || ##
선산휴게소
동대구
일 9회(월~금)
일 10회(토~일)
동양고속
삼화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동대구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선산휴게소2:20₩ 22,500(우등)
서대구3:40₩ 29,100(우등)
₩ 32,100(프리미엄(월~목))
₩ 37,800(프리미엄(금~일, 공휴일))
₩ 32,000(심야우등)
동대구
운행시각표06:20, 08:10, 10:20(삼화고속), 11:10(토~일/동양고속), 12:10, 13:40, 15:20, 17:20(동양고속), 19:30, (심야)22:00
고속버스 인천-동대구 참조.
06:20 ~ 15:20 →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2020년 05월 29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 '''{{{#ffffff 인천발 동대구행}}}''' || ##||<rowbgcolor=#0062bc><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20 || ₩ 22,5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대구}}}]]''' ||<|2> 3:40 ||<|2> ₩ 29,100({{{#0000ff 우등}}})[br]₩ 32,100({{{#ff0000 프리미엄(월~목)}}})[br]₩ 37,800({{{#ff0000 프리미엄(금~일, 공휴일)}}})[br]₩ 32,000({{{#0000ff 심야우등}}}) || ##||<bgcolor=#0062bc>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ffffff 동대구}}}]]''' || ##||<bgcolor=#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20, 07:40, 08:50}}}, {{{#ff0000 10:20}}}, {{{#0000ff 11:30, 12:50, 14:10, 15:20}}}, {{{#ff0000 16:20}}}, {{{#0000ff 17:20, 18:30, 20:00}}}, (심야){{{#0000ff 22:30}}} || ##||<-3>[[고속버스 인천-동대구]] 참조. ## ##06:20 ~ 18:30 →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2020년 05월 29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
금산인삼랜드휴게소
진주
일 4~5회(월~목)
일 5~6회(금~일/공휴일)
동양고속
중앙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발 진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금산인삼랜드휴게소2:05₩ 12,800
₩ 19,000(우등)
개양3:45₩ 22,200
₩ 31,500(우등)
진주(고속)3:55
운행시각표(월~목)09:00(일반)(동양고속), 11:00(우등)(동양고속), 12:40, 14:50(우등)(동양고속), 16:50(우등)
운행시각표(금~일/공휴일)09:00, 11:00, 12:40, 14:50(우등)(동양고속), 16:50(우등)(동양고속)
고속버스 인천-진주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사실상 전회우등.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동일 노선에 진주(시외)(원지 경유) 운행 중이다.
청록색녹색의 출발 시간 경우 운행 다이어에 따라 청록색의 시간으로 운행하는 날도 있고, 녹색의 시간으로 운행하는 날도 있으며,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인천발 진주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금산인삼랜드휴게소2:05₩ 19,000(우등)
진주혁신도시3:55₩ 31,500(우등)
진주(고속)
운행시각표07:00, 18:00(동양고속)
고속버스 인천-진주 참조.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를 경유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동일 노선에 진주(시외)(원지 경유) 운행 중이다.
1. 07:00의 경우 윤번제로 운행한다.
2. 18:00의 경우 운행 다이어에 따라 운행하는 날도 있고, 안하는 날도 있다. 운행시 인천행의 07:00 시간이 미운행하고, 반대로 미운행시 인천행의 07:00(중앙고속) 시간이 운행한다. 다시 말해 진주행이 전자라면 인천행은 후자로 운행하고, 인천행이 후자라면 진주행은 전자로 운행한다. 양 방향의 출발 시간이 동일하다.
KOBUS 통해 날짜 별로 조회하는 방법밖에 없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 '''{{{#ffffff 인천발 진주행}}}''' || ##||<rowbgcolor=#0062bc><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062bc> '''[[금산인삼랜드휴게소|{{{#ffffff 금산인삼랜드휴게소}}}]]''' || 2:05 || ₩ 12,800[br]₩ 19,0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개양정류장|{{{#ffffff 개양}}}]]''' || 3:45 ||<|2> ₩ 22,200[br]₩ 31,5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진주(고속)}}}]]''' || 3:55 || ##||<bgcolor=#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9:00, {{{#0000ff 11:00, 12:40, 14:50, 16:50}}} || ##||<-3>[[고속버스 인천-진주]] 참조. ##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를 경유한다. ## ##사실상 전회우등.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동일 노선에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시외)]](원지 경유) 운행 중이다. || ##||<-3><rowbgcolor=#0062bc> '''{{{#ffffff 인천발 진주행}}}''' || ##||<rowbgcolor=#0062bc><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062bc> '''[[금산인삼랜드휴게소|{{{#ffffff 인삼랜드휴게소}}}]]''' || 2:05 || ₩ 19,0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진주혁신도시 정류소|{{{#ffffff 진주혁신도시}}}]]''' ||<|2> 3:55 ||<|2> ₩ 31,5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진주고속버스터미널|{{{#ffffff 진주(고속)}}}]]''' || ##||<bgcolor=#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00, 18:00}}} || ##||<-3>[[고속버스 인천-진주]] 참조. ## ##전 시간대 [[금산인삼랜드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동일 노선에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시외)]](원지 경유) 운행 중이다. || ##
김해일 2회동양고속
삼화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인천공항발 김해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장유4:25₩ 43,900(프리미엄)
김해4:40
운행시각표11:35, 14:15
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 참조.
인천공항 착발 노선이며, 김해발의 심야 프리미엄은 전국 고속·시외버스 최고 운임(57,500원)이다.
* 10% 할인된 요금으로, 원 요금으로 계산하면 ₩ 63,900이다.[17]
2017년 06월 30일부터 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 '''{{{#ffffff 인천공항발 김해행}}}''' || ##||<rowbgcolor=#0062bc><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062bc> '''[[선산휴게소|{{{#ffffff 선산휴게소}}}]]''' || 2:20 || ₩ 22,5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장유고속버스터미널|{{{#ffffff 장유}}}]]''' || 4:25 ||<|2> ₩ 37,600({{{#0000ff 우등}}})[br]₩ 43,900({{{#ff0000 프리미엄}}}) || ##||<bgcolor=#0062bc> '''[[김해여객터미널|{{{#ffffff 김해}}}]]''' || 4:40 || ##||<bgcolor=#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25, 11:35}}}, {{{#ff0000 15:45, 16:40}}}, {{{#0000ff 17:45, 20:15}}} || ##||<-3>[[고속버스 인천공항-김해]] 참조. ## ##막차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 [[선산휴게소]] 발권 가능하다. ## ##[[인천공항터미널|인천공항]] 착발 노선이며, '''인천공항'''행의 심야 프리미엄은 '''전국 고속·시외버스 최고 운임'''(57,500원)이다. ## * 10% 할인된 요금으로, 원 요금으로 계산하면 ₩ 63,900이다.[* 57,500 x 1.1로 계산([[반올림]])] ## ##2017년 06월 30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
낙동강의성휴게소
양산
일 3회대원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 '''{{{#ffffff 인천공항발 양산행}}}''' || ##||<rowbgcolor=#0062bc><width=120px> '''{{{#ffffff 경유지}}}''' ||<width=120px> '''{{{#ffffff 소요시간}}}''' ||<width=120px> '''{{{#ffffff 운임}}}''' || ##||<bgcolor=#0062bc> '''[[낙동강의성휴게소|{{{#ffffff 낙동강의성휴게소}}}]]''' || 2:15 || ₩ 22,1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양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양산}}}]]''' || 3:50 || ₩ 37,000({{{#0000ff 우등}}}) || ##||<bgcolor=#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12:00, 16:00, 17:10}}} || ##||<-3>[[고속버스 인천공항-양산]] 참조 ## ##전 시간대 [[낙동강의성휴게소]]를 경유한다. ## ##[[인천공항터미널|인천공항]] 착발 노선이다. || ##

3.2. 시외버스[편집]



3.2.1. 수도권[편집]


초록색으로 표기한 노선은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한 노선이다.
번호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1801동서울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장지역, 가락시장역. 잠실역(롯데월드)경기고속1일 21회승차권 발권 필수
3000금촌역석바위, 부평역, 계산역, 백석역, 마두역, 일산호수공원, 킨텍스, 일산가구공단, 한빛마을, 가람마을, 새꽃마을대원고속1일 15회교통카드 가능, 입석금지
3030킨텍스석바위, 부평역, 계산역, 백석역, 마두역, 일산호수공원1일 10회


3.2.2. 강원권[편집]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 시간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번호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춘천안양, 도농, 금곡, 마석, 대성리, 청평, 가평, 강촌강원고속1일 2회-
안양, 대성리, 청평, 가평, 강촌1일 5회-
원주문막경기고속대원고속1일 15회(금,토,일 17회)-
9270강릉[18]무정차경기고속대원고속
강원여객강원흥업동해상사고속
1일 9회시외우등
태백영월, 고한사북경기고속1일 4회[19]
홍천하남, 양평금강고속1일 5회[20]

3.2.3. 충청권[편집]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 시간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번호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유성북대전, 둔산시외(대전청사)금남고속중부고속[21]1일 15회[22]
세종정부세종청사금남고속중부고속1일 4회[23]
제천무정차대원고속1일 5회[24]
덕평리(삼진정보통신), 이천1일 3회
9335감곡덕평리(삼진정보통신), 이천, 아미리(SK하이닉스), 태평리, 이황리(상승대), 장호원1일 6회-
충주무정차1일 5회[25]
아미리(SK하이닉스), 태평리, 이황리(상승대), 장호원, 감곡, 생극, 주덕1일 5회-
청주무정차금남고속코리아와이드 대성1일 14회-
북청주청주국제공항, 오창산업단지금남고속서울고속친선고속1일 6회[26]
남서울대학교안중, 평택대원고속1일 1회-
진천안산, 서수원, 수원, 우만동, 죽산, 두원공과대학교, 광혜원, 이월경일여객친선고속삼흥고속1일 8회참조
증평안산, 서수원, 수원, 대소, 덕산, 충북혁신도시대원고속친선고속1일 3회참조[27]
음성안산, 일죽, 삼성, 대소, 무극친선고속1일 3회-
안양, 비산동, 호계동, 일죽, 삼성, 대소, 무극1일 3회-
공주무정차대원고속[28]1일 2회시외우등[29]
보령충남고속1일 7회-
신창, 신례원, 예산, 내포신도시, 홍성, 홍성광천1일 2회-
부여공주금남고속삼흥고속1일 3회-
정부세종청사, 세종, 공주1일 1회-
당진1. 삽교천, 신평, 기지시
2. 기지시
충남고속한양고속1일 17회-
서산한서대학교, 해미1일 4회[30]


3.2.4. 영남권[편집]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 시간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번호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9602울산안산경기고속천마고속아성고속1일 4회시외우등
안동안산, 수원, 오산, 구미, 효령, 군위,
도리원, 의성, 단촌, 일직[31]
코리아와이드 경북1일 2회[32]
안산, 풍기, 영주1일 8회-
경상북도청안산, 풍기, 영주, 안동1일 2회시외버스 인천-안동[33]
대구서부안산, 수원, 오산, 구미, 구미공단, 구미복지1일 2회시외버스 인천-대구서부[34]
구미안산, 수원, 오산1일 5회-
상주안산, 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문경읍, 점촌
대원고속친선고속1일 6회[35] [36][37]
포항[38]안산, 경주아성고속
천마고속경기고속
1일 6회시외버스 인천-포항[39]
울진안산, 수원, 오산, 경주, 포항,
강구, 영덕[40], 영해, 삼율, 평해
아성고속천마고속11:40시외버스 인천-울진[41][42][43]
거제(고현)오산,통영코리아와이드 진안1일 3회시외우등
창원마산경남고속대원고속
천일여객그룹
1일 5회-
거창안산, 수원, 함양거창고속1일 4회-
삼천포원지, 진주[44], 사천부산교통, 영화여객1일 1회-

3.2.5. 호남권[45][편집]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 시간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무안영광, 함평금호고속경기고속1일 3회시외우등
동광양안산, 광양경기고속1일 2회
정읍전북혁신도시경기고속호남고속운행중지
부안김제경기고속[우등]호남고속[일반]1일 1회-
고흥안산경기고속1일 2회시외우등
군산무정차호남고속전북고속1일 8회[46]
완도안산, 해남, 원동[47]경기고속1일 2회시외우등[48]


3.3. 광역버스[편집]


번호경유지운영사배차간격비고
1400번길병원, 부평역, 갈산역, 홍대입구역, 충정로역마니교통20~35분교통카드 승차 가능
M6439번구월아시아드, 서창2지구, 서초역, 강남역, 역삼역신동아교통60~120분교통카드 승차 가능


4. 승차홈[편집]


  • 볼드체는 특/광역시 행 노선이다.

4.1. 고속버스[편집]


고속버스
승차홈행선지
1대전복합[49]
2동대구, 부산, 속초, 진주, 서부산(사상), 김해, 양산
3광주(유스퀘어), 목포, 여수
4전주, 남원, 익산, 순천
7천안, 아산
14서산, 태안


4.2. 광역버스[편집]


광역버스
승차홈노선번호행선지
51400서울역
M6439역삼역


4.3. 시외버스[편집]


시외버스
승차홈행선지
6동서울[50], 고흥, 동광양, 안성, 무안, 영광
7유성, 정부대전청사(둔산동)
8원주, 이천, 점촌, 영월, 태백, 청강대, 충주, 제천, 상주, 고한
9용인[51], 범계, 에버랜드, 아주대, 평택(남서울대), 향남
10청주, 북청주, 오창, 음성, 청주국제공항
11금촌, 킨텍스
12강릉, 춘천, 와수리, 홍천, 철원(동송), 포천(대진대), 증평, 운천
13안동, 진주, 구미, 영주, 통영, 진천, 거제(고현)
14서산[52], 당진, 합덕, 보령, 예산, 송악, 청양
15포항, 공주, 울산, 경주, 부여
16군산, 부안, 순창, 담양, 정읍, 고창, 김제, 강진, 거창, 수원/수원역
17성남, 창원, 모란, 마산


5. 인근 교통[편집]


부평역과 함께 인천 최고의 교통의 요지로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터미널역과 연계되며 인천 시내의 매우 많은 버스노선들이 인천터미널을 지나간다. 인천광역시 제1의 상권으로 급부상한 것처럼, 백화점 2곳(롯데백화점 인천점[53], 뉴코아 인천점), 주거지역(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용 빌딩, 교통시설(버스터미널, 지하철역, 시내버스정류장), 농수산물시장, 번화가(식당, 극장 등) 등 유동인구를 끌어들이는 요소들은 다 갖추고 있어 혼잡함을 자랑하며 다른 지역보다 교통 체증이 심한 편이다.[54]

인근에 인천문학경기장과 특히 프로야구 SSG 랜더스 홈구장인 인천 SSG 랜더스필드, 인천의 최대 대학병원인 길병원, 인천문화예술회관, 인천지방경찰청, 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청 등 인천광역시의 도심지역으로 반포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센트럴시티터미널(서울호남), 동서울터미널 이상의 혼잡함을 보여준다. 고속, 시외버스가 나가는 것도 힘들다.[55]

교통 체증 이외의 문제점은 좀 남쪽에 치우쳐 있다 보니 서구 지역에서 오기가 상당히 불편했었다. 계양구부평구는 지하철을 타고 오면 되고 남부 3구는 오기가 상당히 편하지만, 중구, 동구도 약간 힘든 편인데 서구에서는 연계교통이 없어서 불편했다. 다만 2호선이 개통한 지금은 옛날 이야기. 2호선을 이용하여 인천시청역에서 환승이 가능해 지기 때문.

여담이지만 인천터미널을 이용하여 강원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으로 가는 버스는 인천터미널을 출발하여 남동IC를 통해 고속도로로 진입하며 제2경인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평택시흥고속도로 서시흥요금소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나아간다.[56]

보통 호남권, 영남권 시외버스, 고속버스의 일반적인 루트는 제2경인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평택시흥고속도로를 타지만, 주말과 휴일에는 평택시흥고속도로의 정체와 경부고속도로 전용차로 버프로 인해 판교까지 경부고속도로로 쭉 달리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로 갈아타는 일이 잦은 편이다.[57]

그래도 시내버스는 많이 온다. 공항시내버스도 많이 오고 일반 간선,지선,급행도 많이 온다.게다가 연계되어있는 인천터미널역은 다른 역들의 경쟁속에서도 단언 1위, 왜 터미널에 사람이 많은지 알수가 있다.[58]


6. 롯데백화점 인천점 (구 신세계백화점 인천점)[편집]


파일:PYH2018122604310006500_P4.jpg
파일:/20150930_229/global29_1443579010743SIQJv_JPEG/1.jpg
  • 신세계백화점 인천점 시절. 아래 사진은 신세계가 2011년 증축한 신관쪽 모습이다.

파일:Dv3avPbUYAA66Sl.jpg

앞서 서술한 롯데백화점 인천점이 인천터미널 부지 내에 입점해 있다. 2019년 1월 4일 오픈하였다.

그로 인해 기존 예술회관역에 있던 롯데백화점 인천점은 폐점 후 '더 엘리오스 구월 백화점'으로 바뀌어 2020년 10월부터 영업 예정이었으나 2020년 9월 리모델링 공사가 80% 끝난 상황에서 중단되었고, 여러 사유로 무기한 개장 연기되고 있다.


6.1. 인천광역시청의 매각[편집]


대부분의 매장이 임차 매장인 신세계는 이 부지에 임대 형식으로 다년 계약으로 들어와 있는 형태였다. 따라서 신세계가 영업을 계속 하려면 임대기간을 계속 갱신하여야 하는 형태. 인천점은 신세계백화점의 매장들 중에서 강남점, 센텀시티점, 본점에 이어 매출규모 4위의 우량지점출처이고, 인천터미널 부지는 최고의 알짜 부지로 알려져 있다. 한때 인천 최고의 백화점이었던 동인천역의 인천백화점을 계승했다.

그런데, 인천광역시청에서 극심한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시유지인 인천터미널 부지를 매각하여 자금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이 부지가 롯데쇼핑에 매각되었다. 이젠 롯데쇼핑의 땅에 신세계백화점이 입점해 있는 이상한 구조가 되어버린 셈. 게다가 롯데 측이 대규모 개발까지 계획하고 있어 신세계 쫓겨나는 게 몇년 뒤가 아니라 거의 내일 모레가 된 상황이다. 이로 인해 롯데쇼핑신세계백화점 간의 대규모 신경전이 열렸다.[59]


6.2. 소송[편집]


신세계인천지방법원인천광역시청롯데쇼핑을 상대로 낸 가처분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조달금리 보전비용이 부동산 매매 대금과 감정가 차액(63억원)을 훨씬 뛰어넘는 금액인 점으로 미뤄 사실상 부지와 건물을 감정가 미만에 매각하려 한 점'과 '감정가 이상으로 팔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다가 신세계가 감정가 이상 매수를 포기하자 이후 입장을 바꿔 롯데쇼핑에는 사실상 감정가 미만에 팔기로 한 것에 대해 롯데쇼핑과 차별 대우를 한 점'이 인정되었던 것. 이로써 터미널 부지 지분 매각 문제는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그러나 다시 한 번 인천광역시청롯데쇼핑과 법원에서 이의를 제기한 부분을 보완하여 매각에 다시 합의하면서 또다시 신세계가 반발하고 있는 형국이 되었다. 신세계 측에서 낸 가처분 신청은 2013년 3월 12일 기각되었고, 신세계 측에서는 이에 대해 반발하며 가처분 기각 결정에 대해 즉시 항고하고 매매계약 무효확인 등 본안소송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결국 이 사건이 공정거래위원회까지 넘어갔고, 공정위는 경인 지역 롯데백화점 점포 중 2곳 매각을 전제 조건으로 조건부 승인을 하면서 결국 롯데쇼핑의 손을 들어 주었다. 그리고 2017년 11월에 롯데쇼핑으로 소유권이 완전히 넘어갈 예정이다. 매각하기로 한 2개의 기존 점포는 부평점과 인천점으로 결정되었고, 롯데백화점 부평점은 새 주인을 찾아 모다백화점 부평점으로 재개장하였고, 롯데백화점 인천점은 '더 엘리오스 구월 백화점'으로 재단장하여 2020년 10월 초에 영업을 재개할 예정이었다.[60] 현재 롯데쇼핑일본롯폰기 힐스에 버금가는 대규모 복합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현재 신세계가 매장을 비워 줄 가능성이 높지 않아 명도소송을 제기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백화점 업종이기 때문에 매장 시설은 대부분 그대로 유지한 채 시스템을 바꾸고 백화점 간판만 바꿔달면 된다. 재개장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며 "신세계와 협의점을 찾아 명도, 인수 과정 중 고객, 파트너사에게 피해가 없도록 하는게 제일 큰 과제"라고 덧붙였다. 기사

롯데쇼핑이 신세계와의 소송에서 이겨서 원래의 매장은 가져가게 되어도 신세계가 2011년에 매장을 증축한 부분과 870여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타워는 2031년까지 임대 계약이 되어 있어서 온전한 터미널 백화점을 차지하기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결국 계속되는 밀고 당기기 끝에 롯데쇼핑이 신세계에게 임대차 계약을 연장해 주는 대신, 2031년 3월에 계약이 만료되는 신관 및 주차타워를 13년 일찍 조기 인도하고 각자의 영업손실과 임차권에 대한 평가를 회계법인에 의뢰해 서로 적절한 금전적 보상을 하기로 합의했다.[61]그리고 2018년 12월 31일까지 신세계백화점이 인천점을 운영하고 롯데쇼핑에 넘기기로 했다.

조금 이른 2018년 12월 28일 신세계백화점 인천점은 조기 폐점하고, 간판 교체와 간단한 리모델링만 거쳐 2019년 1월 4일자로 롯데백화점 인천터미널점으로 재오픈했다.


7. 이전 논란[편집]


너무 심한 교통체증의 영향으로 건너편 농산물도매시장을 남촌동으로, 인천터미널을 2014년까지 남동구 운연동으로 옮길 계획을 2009년 5월에 세웠으나, 농산물도매시장은 이전되나 터미널은 뚜렷한 이유는 없으나 재정난으로 추측되는 이유로 백지화 되었다.[62]


8. 재개발[편집]


롯데쇼핑은 구월농산물도매시장 현 부지 및 인천종합터미널 부지에 터미널 복합쇼핑단지를 개발하고 2019년까지 시장 부지에 33,000㎡ 규모의 스트리트몰을 개장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

롯데쇼핑의 인천터미널 재개발 계획이 2016년 10월 25일 확정되어, 1,600가구 아파트분양하여 건설하고, 복합 쇼핑몰로 재개발한다고 한다. 기사


9. 기타[편집]


위에 언급된 송도환승장, 인천공항터미널, 강화도터미널외 부평구의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이 생략했다. 부평구 자체가 크고 시외버스 노선도 노선은 빈약하지만 어떤 이유라도 정류장은 정류장이다. 대합실 내 자판기 음료수가 대합실 내에 있는 세븐일레븐보다 100원 싸다. 버스를 기다리면서 따뜻한 캔커피 한잔 할 사람들은 참조하길 바란다.

식사를 불가피하게 해야한다면 1층 분식집보다는 2층이나 백화점 푸드코트가 좋다. 시간이 아주 급박한 경우에는 1층이 낫겠지만 그나마 여유가 있다면 2층이나 백화점 푸드코트로 가는 걸 추천한다.

지금의 관교동 영역 중 오리지널 관교리에 속하는 곳이기도 하다. 관교동 중 관교중, 관교여중 쪽은 옛 승기리 지역이었고, 오리지널 관교리 지역 중 현재 문학동인 곳(1995년 12월에 관교동에서 문학동으로 편입)은 매소홀로 이북의 문학초, 인천도호부청사 쪽이다.

일부 시외버스와 공항버스(예:303번), 인천시내 지선버스와 간선버스,급행버스는 인천터미널내 가 아닌 바깥의 정류장에서 정차한다.주변의 정류장은 매우 넓지만 롯데 백화점과 인천터미널로 나뉘는데 미리 확인하고 타야한다.안그러면 엄청나게 달려야 하는 수가 있다.[63]

보이스 2 3화에서 이 터미널의 플랫폼이 등장한다. 다만, 드라마 내에서의 명칭을 풍산시 시외버스터미널로 변경했다.

미추홀구의 최동단이자 미추홀구에서 중앙공원 동쪽에 위치한 유일한 지역이 바로 인천터미널 부지이다. 중앙공원을 사이에 두고 미추홀구의 다른 지역과 분리되어있으며 터미널 바로 북쪽에 구월동 로데오거리가 붙어있다 보니 터미널이 남동구 구월동에 위치한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광역시에서 운영하는 터미널답지 않게 하차홈이 매우 좁아 하차홈이 박차하는 차량으로 메워버리면 도착 차량은 통로에다 승객을 내려줘야 하고, 앞에서는 후진하는 버스로 위험천만한 상황이었다. 다행히도 2022년에 터미널 동쪽 부지에 하차 홈을 새로 만들어서 해결되었다.

9.1. 버스 운행회사[편집]



9.1.1. 고속버스(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편집]


  • 금호고속: 광주, 목포, 진도, 익산, 남원(서수원, 오산), 무안(영광, 함평)
  • 동양고속: 김해(장유), 진주(개양), 동대구(서대구), 부산, 부산사상, 공주, 천안, 아산
  • 동부고속: 속초
  • 삼화고속: 대전, 김해(장유), 동대구(서대구), 부산, 부산사상, 광주, 목포, 진도, 전주(호남제일문), 강진(나주)
  • 중앙고속: 진주(개양), 익산
  • 천일고속: 부산, 부산사상, 여수(여천), 전주(호남제일문), 순천
  • 한일고속: 속초, 광주, 순천
  • 충남고속: 천안, 당진, 서산, 태안, 보령(신창, 신례원, 예산, 내포신도시, 홍성, 광천)
  • 대원고속: 금촌(3000), 성남(8806), 이천(8813), 평택(8815 송탄), 평택(안중), 안성(8830), 감곡(9335), 강릉, 속초, 원주, 상주(문경, 점촌), 증평(충북혁신도시), 제천, 충주, 창원(마산), 남서울대학교
  • 코리아와이드 경북: 안동(영주), 경상북도청(영주, 안동), 구미, 대구서부

9.1.2. 시외버스[편집]




9.1.3. 광역버스[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3:09:02에 나무위키 인천종합터미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창, 순창, 담양현 상황으로 인하여 사실상 폐선되었다.[2] 지금의 관교동 영역 중 오리지널 관교리에 속한 지역이다.[3] 나머지는 수원, 의정부, 안산, 고양, 부천. 인천은 이들 중 수도권 서부의 허브 터미널이다. [4] 물론 인천국제공항은 정확하게 따지자면 대한민국의 관문. 인천역은 관문이라고 하기에 너무나도 인천광역시의 중심가에서 먼 데다가 (노선상으로는) 오히려 가장 깊숙히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부평역이 가깝기는 하다. 그나마 1996년 부개역이 개업하기 전(급행, 특급은 지금도 해당)에는 부평역에서 열차문을 닫고 출발하면 다음이 부천시 송내역이였다. 물론 인천역이 지어질 당시에는 인천항 일대가 중심가여서 관문 역할을 어느 정도 하기는 했다.[5] 추후 인천발 KTX가 개통하면 송도역도 인천광역시의 관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6] 인천메트로와 통합 전 구)인천교통공사는 지방공사 인천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인천종합터미널 운영이 제1 업무인 기업이었다.[7] **교통공사가 들어가는 교통기관중 버스,택시,지하철을 운영하는 교통공사는 인천교통공사가 유일하다. 서울교통공사와 부산교통공사,대전교통공사는 지하철만 운영중이기 때문이다.[8] 2023년부로 롯데쇼핑에 재흡수[9] 전산망이 버스타고로부터 변경되었다.[10] 일부 노선 예매 가능.[11] 충청도 출신 인천시민이 많다는 근거는 부족하다. 옛날 자료를 근거로 많다고 생각하는거지 지금 통계를 내면 아닐수도 있다.[12] 참고로 현재는 인천터미널에서 강화도로 가고자 한다면 800번터미널 밖에서 타야 한다.[13] 인천공항2터미널 기점.[참고.1] 금~일/공휴일도 할인된 요금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사용만 가능하다.[참고.2] 2군의 대원고속과 공배하기 때문이고, 사용은 동부고속한일고속 한정이다.[14] 김해야 뭐 시외버스 인천-창원을 타고 마산에서 내려 김해로 가는 버스를 타면 된다.[15] 포항의 경우 개통 당시 처음부터 전회우등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한 때 안산 노선의 경우 개통 당시 유일한 노선였으나 2021년 03월 15일부터 시흥하고 통합으로 인해 안산을 경유지 조정 동시 전회우등으로 인해 일반을 폐지로 광주의 노선은 전멸되었다. → 시외버스 시흥시화-광주 참조. [16] 11:30[17] 57,500 x 1.1로 계산(반올림)[18] 원래 일반차량만 투입했었으나 요금 인상 후 전 차량 우등차량만 투입해, 가격이 매우 비싸다. 시간에 쫓기는 게 아니라면 서울경부 혹은 동서울이나 원주 혹은 춘천에서 환승을 하는 것이 좋다. KTX는 교통체증이 걸리는 경우가 아니라면 비추천. 이 곳을 기점으로 1시간이 걸리고 무엇보다 요금이 28,000원이라서 오히려 더 손해다.[19] 원래 인천 - 고한사북 노선과 인천 - 영월 - 태백 노선이 분리되어 있었지만 2022. 12. 24 부로 두 노선을 통합해 다니고 있다.[20] 국도 구간이 길어 요금이 비싸다. 동서울가는 버스를 타고 동서울에서 홍천직통을 타면 본 노선보다 요금을 아낄 수 있따.[21] 대전행은 삼화고속의 단독 우등고속 위주라 비싸다. 허나 2020년까지 유성시외행은 할증을 먹이지 않아서 일반고속과 가격이 똑같았다. 그렇지만 삼화고속의 우등은 차량은 기본적으로 HD급인 노블(12m)인데다가 풀 옵션 시트(4105호는 USB포트 추가)가 들어간다. 금남과 중부는 SD급인 럭셔리(11.78m)인데다가 마이너스 옵션이고 가끔 재수없으면 베게시트가 들어온다. 하지만 같은 차를 쓰는 동서울-유성행이 우등 할증을 받았고, 이 노선도 2020년 하반기를 기해 우등 할증을 받았다. 하지만 여전히 대전복합터미널행 고속버스보다는 싸다. [22] 자세한 노선 설명은 시외버스 인천-유성 문서 참고. [23] 자세한 노선 설명은 시외버스 인천-세종 문서 참고.[24] 2021년부터 우등할증을 시작했으며, 1일 2회 우등 투입중이다.[25] 직통에 한해 1일 2회 우등 투입.[26] 서울고속 시간에 한해 우등버스가 투입중이며 우등할증을 받고 있따.[27] 국도 구간이 길고 국도임율이 길게 적용되어 요금이 많이 비싸다. 증평으로 갈 때는 동서울에서 갈아타는게 시간과 요금에서 절약된다.[28] 부천 기점[29] 2019년 10월 14일부터 시외우등 적용[30] 위에 있는 고속버스 노선이랑 다르게 이 노선은 시외버스 노선이다. 고속버스 홈에서 같은 승강장에서 운행하나 E-Pass 사용은 불가능하다.[31] 완행 노선으로 안동에서 갈아타는 것이 훨씬 이롭다.[32] 1일 2회 완행버스이며 인천에서 안동까지 발권 불가능하며 41석 일반차량이다. 굳이 그래도 이걸 타야겠다면 오산까지 발권 후 오산에서 안동행을 발권해야 한다. 오산에서 탑승하는 승객들을 위해 5분간 대기한다. 앞자리 착석이 목적일 시 불가능하다.인천~오산 이 시간 차량은 선착순승차인데 해당목적지승객들의 앞자리 착석을 기사님이 제지한다. 1~10번 좌석은 구미.군위.의성으로 가는 승객만 발권 가능하다.[33] 안동행 중 일부가 연장운행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안 맞으면 안동에서 갈아타야 한다.[34] 1일 2회 완행버스이며 인천에서 대구서부까지 발권 불가능하며 41석 일반차량이다. 서부정류장이 있는 남구쪽이 목적지라면 동대구행 고속버스를 타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그래도 굳이 이걸 타야겠다면 안산까지 발권 후 안산에서 대구서부행을 발권해야 한다. 안산에서 탑승하는 승객들을 위해 10분간 대기한다. 앞자리 착석이 목적일 시 불가능하다.인천~오산 이 시간 차량은 선착순승차인데 해당 목적지 승객들의 앞자리 착석을 기사님이 제지한다. 1~10번 좌석은 구미로 가는 승객만 발권 가능하다.[35] 대원고속의 모든 배차, 친선고속의 오전 9시 ~ 오후 3시 배차는 교통대,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를 경유하지 않는다.[36] 충주대학교,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학생들은 일반표로 예매 후 창구에서 학생증을 함께 제시해야 학생할인이 적용가능하다.[37] 시외버스 인천-상주 참조.[38] 2023년 10월 25일 부터 전회우등할증이 시행되었다.[39] 인천~안산간 구간승차 불가[40] 포항 경유 울진행 노선이 거쳐 가며 1일 1회 운행중, 동서울터미널이나 강릉시외버스터미널에서 갈아타는 게 더 빠르다.[41] 경주,포항 경유 노선으로 1일 1회뿐이고 소요 시간도 9시간이나 돼서 전국에서 제일 소요시간이 긴 초근성 노선이다. 이걸 탈바에 차라리 동서울터미널이나 강릉시외버스터미널, 영주종합터미널에서 갈아타는 게 더 빠르다. 그리고 이 노선은 편도 500km에 살짝 못미치는 전국 시외직행버스 중 최장거리 노선이다.[42] 2023년 10월 5일 부터 우등버스가 투입되었으며 10월 25일 부터 할증이 시행되었다.[43] 인천~안산/수원/오산간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경주,포항행 입장에서도 이 노선은 서수원, 수원, 오산을 거쳐 안산만 거치는 직행에 비해 오래 걸린다.[44] 동일 노선에 인삼랜드·진주개양 경유 진주고속행 고속버스 운행중.[45] 고창, 순창, 담양현 상황으로 인하여 사실상 폐선되었다.[우등] [일반] [46] 다른 방법으로 정안알밤휴게소를 경유해 군산행 고속버스로 환승할 수 있으나 너무 돌아가기 때문에 이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47] 군외면 원동리 (완도대교 입구)에 위치한 터미널에 정차[48] 2019년 8월 29일 신설[49] 삼화고속 단독 배차 노선[50] 시외버스 1801[51] 용인행 노선은 범계를 경유하는 8839번, 광교와 아주대를 경유하는 8862번으로 나뉘어 있다.[52] 고속버스 노선과 달리 해미, 한서대를 경유한다.[53] 롯데그룹의 부지매입으로 2019년 1월을 기점으로 롯데백화점으로 변경.[54] 인천터미널이 속해있는 미추홀구는 물론이고 바로 옆에 구월동이 있는 남동구나 남쪽의 연수구까지, 3개구의 수요를 다 잡고 있다 보면 된다.(더 멀리 보자면 인천1호선 타고 좀만 가면 나오는 부평구도 어느정도 수요가 있다 보면 된다. (인천터미널-예술회관-인천시청-간석오거리- (부평구)부평시장))게다가 남동구는 부평구와 더불어 인천시내 인구 순위 투톱을 차지하는데다 연수구가 송도국제도시로 치고 올라온다. 그래도 선학지역이니 그리 많지는 않고 송도도 U버스환승센터가 있어서 그나마 수요분산이 된다.[55] 일단 버스차량이 터미널 입구를 나가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터미널 문을 나가 도로에 진입하는 순간 옆에서 들어오던 버스와 택시, 자동차들 및 긴 신호는 시내를 빠져나갈 때 까지 고통을 준다. 물론 지금은 승기천 쪽, 즉 남동IC 지나기 전까지는 별로 막히지 않지만 인천터미널~전재울 사거리까지는 계속 막힌다. 게다가 남동IC도 남동구 사람들이 제일 많이 왕복하는 곳이기 때문에. 물론 구 터미널은 아예 나가서 유턴을 두 번 하고 경인고속도로를 탈 수 있었다는 것에선 긍정적이다.[56] 일부 노선은 영동고속도로를 타기도 하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타는 경우도 있으며 남원행의 경우 서수원을 경유하기 위해 제3경인고속화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57] 이로 인해 엄청나게 돌아가는 루트가 되어버리므로 표기된 시간보다 최소 30분 이상 늦는 게 다반사이다.[58] 하지만 인천터미널을 오기 위해서노선 선형을 꺾으면서 까지 오는 버스도 있다.신세계백화점의 주차타워 쪽 도로는 왕복 6차로,주안방면은 왕복 8차로이다.버스가 많이 오는 터미널에 버스가 1~2차로를 차지하는데다 택시와 버스를 타려고 나온 승객들을 생각하면 실질적으로 일반 승용차가 지나갈수 있는 차로는 1~2차로 밖에없다. 차라리 터미널 안에 시내버스 전용 정류장을 만드는게 바람직 할 듯 보인다.[59] 결국 롯데에게 큰 타격을 받은 신세계는 서울 호남선 터미널이 있는 센트럴시티의 60% 지분을 통일교로부터 인수, 최대 주주가 되었다.[60] 사실상 폐건물이 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61] 만약 신세계가 이를 넘기지 않고 버텼다면 신세계와 롯데가 센텀시티마냥 서로 매장을 반반 갈라 놓고 영업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었을지도. 신관과 본관이 딱 반으로 나눠지기 때문이다.[62] 구월동의 파워를 무시할 수 없던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구월동은 현 인천의 중심지에 1985년 시청 이전을 기점으로 차근차근 인프라가 갖춰져서 한때 인천 최고봉이었던 동인천을 계승했고 부평과 함께 쌍벽을 이루고 있기 때문. 송도청라, 논현동이 급부상하고 있지만 부평, 구월동은 인천에서 파워가 매우 강하기로 정평이 난 곳이다. 또한 터미널 출발 후 5분 거리에 있는 남동IC의 존재 덕분에 지금 이 터미널이 있는 곳은 중심가이면서도 고속도로에서의 접근성도 아주 좋은 곳이다. 이런 곳을 버려 두고 다른 곳으로 터미널을 옮기기가 쉽지 않긴 하다. [63] 물론 (구)농산물 도매시장에서 이 두곳에서 오는 버스들 일부는 탈수 있다.하지만 극히 일부이다. 롯데 백화점과 인천터미널 둘다 정차하는 버스도 있고 직진하는 버스도 있고 (구)농산물에서 인천터미널로 오는 버스도 있는등 매우 가지각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