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 켈리

덤프버전 :

분류

R. 켈리의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스티비 원더마이클 잭슨폴 매카트니
6위7위8위9위10위
어셔프린스로드 스튜어트드레이크마빈 게이
11위12위13위14위15위
필 콜린스빌리 조엘라이오넬 리치브루노 마스닐 다이아몬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케니 로저스브라이언 아담스조지 마이클바비 빈튼존 멜렌캠프
21위22위23위24위25위
처비 체커레이 찰스크리스 브라운리키 넬슨저스틴 팀버레이크
26위27위28위29위30위
폴 앵카배리 매닐로넬리바비 다린R. 켈리
31위32위33위34위35위
제임스 브라운에미넴리처드 막스카니예 웨스트제이-지
36위37위38위39위40위
밥 시거닐 세다카저스틴 비버브루스 스프링스틴존 덴버
41위42위43위44위45위
50 센트플로 라이다앤디 깁로이 오비슨디온
46위47위48위49위50위
빌리 오션토미 제임스존 레논브룩 벤턴마이클 볼튼
51위52위53위54위55위
릴 웨인바비 브라운에드 시런루다크리스에릭 클랩튼
56위57위58위59위60위
쟈니 리버스글렌 캠벨릭 스프링필드T.I.더 위켄드
{{{-2 출처 같이 보기: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여성 아티스트,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1위 – 100위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롤링 스톤스폴 매카트니비 지스어셔
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슈프림즈프린스홀 앤 오츠로드 스튜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마룬 5마빈 게이
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필 콜린스빌리 조엘브루노 마스다이애나 로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템테이션스도나 서머비치 보이스라이오넬 리치
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카펜터즈저스틴 비버잭슨 파이브보이즈 투 멘
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브렌다 리더 위켄드비욘세크리스 브라운
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브라이언 아담스셰어블랙 아이드 피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핑크바비 빈튼존 멜렌캠프레이디 가가
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본 조비처비 체커
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포리너쿨 & 더 갱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리키 넬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저스틴 팀버레이크코모도스이글스TLC
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에미넴배리 매닐로디안 워윅넬리
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포스트 말론아리아나 그란데에벌리 브라더스카니예 웨스트
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R. 켈리제임스 브라운폴라 압둘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에드 시런린다 론스태드리처드 막스데스티니스 차일드
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JAY-Z미라클스디온플리트우드 맥
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닐 세다카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포인터 시스터스존 덴버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남성(싱글), 여성(싱글), 2018년}}}




[ 1위 – 100위 ]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스 브룩스엘튼 존
6위7위8위9위10위
머라이어 캐리허브 앨퍼트테일러 스위프트시카고마이클 잭슨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드 제플린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로드 스튜어트에미넴휘트니 휴스턴
16위17위18위19위20위
빌리 조엘마돈나산타나이글스플리트우드 맥
21위22위23위24위25위
밥 딜런스티비 원더셀린 디옹에릭 클랩튼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존 덴버핑크 플로이드자넷 잭슨프린스캐롤 킹
31위32위33위34위35위
마일리 사이러스니켈백팀 맥그로밴 헤일런비치 보이스
36위37위38위39위40위
U2아델엘비스 프레슬리브리트니 스피어스어셔
41위42위43위44위45위
템테이션스린킨 파크JAY-Z앨런 잭슨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건즈 앤 로지스샤니아 트웨인캐리 언더우드몽키즈에어로스미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슈프림즈앨리샤 키스메탈리카데프 레파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린다 론스태드저니메리 제이 블라이즈제쓰로 툴
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포리너존 멜렌캠프사이먼 앤 가펑클케니 체스니
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앤디 윌리엄스조지 스트레이트백스트리트 보이즈마이클 볼튼
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라이오넬 리치아레사 프랭클린요세프/캣 스티븐스밥 시거
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2 출처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R. 켈리
R. Kelly
파일:APRm2Sx.jpg
본명로버트 실베스터 켈리
Robert Sylvester Kelly
출생1967년 1월 8일 (57세)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장르R&B, 소울, 가스펠, 힙합
활동1990년 ~ 2019년
신분기결수
신체185cm, 91kg
배우자알리야 (1994년 ~ 1995년, 무효화)
안드레아 리 (1996년 ~ 2009년, 이혼)
자녀3명
종교기독교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생애
3. 소아성애 및 성범죄
3.1. 초창기 의혹
3.2. 다수 성범죄
3.3. 유죄 판결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4.2. 싱글
4.2.2. 빌보드 핫 100 2위
4.2.3. 빌보드 핫 100 3위 ~ 10위
4.2.4. 빌보드 핫 100 11위 ~ 40위
4.2.5. 빌보드 핫 100 41위 ~ 100위
4.3. 프로듀싱 대표곡



1. 개요[편집]


미국의 전 R&B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 뉴 잭 스윙부터 힙합 중심의 R&B, 가스펠 스타일의 웅장한 사랑 노래 등이 음악의 주요 특징이다.

다른 명곡들도 많았으나 한국을 비롯하여 그의 제일 대표적인 노래인 1996년 출시한 I Believe I Can Fly의 원곡가로 유명했다.

그러나 2017년부터 소아성애 및 성범죄 논란을 받기 시작하였고, 2021년에 성매매 및 미성년자 성착취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2022년 법원으로부터 30년 형과 벌금 10만 달러를 선고받았다.

2. 생애[편집]


꽤나 부드러운 보이스와 더불어 국내에서는 I Believe I Can Fly 같은 음악이 유명해서 그냥 일반적인 R&B 가수인줄 아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가사 수위가 상당히 높을 정도로 끈적하고 하드한 편이다. 멋 모르고 알켈리 노래들을 공공장소에서 틀었다간 매우 난감해질 수 있다. 사실 I Believe I Can Fly는 그가 발표한 곡들의 일반적인 경향성에서 벗어나는 곡이다. 이유는 이 곡이 영화 스페이스 잼의 주제가라 그렇다. 즉, I Believe I Can Fly를 제외한 알 켈리의 히트곡들은 섹스에 대한 내용들이 주류이고 그나마 낮은 수위도 섹스를 돌려서 말하거나 남녀간의 진한 사랑을 표현한다.

신인이라고 할 수 있는 1990년대 초반에 낸 앨범들의 수록곡들부터 이미 <Your Body's Callin'>[1], <Bump n' Grind>[2][3], <12 Play> 등 아예 대놓고 섹스를 노래하고 있다.

2009년에 발매된 <Untitled> 앨범은 그의 팬들에게는 가장 알 켈리다운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데 한 두곡을 제외한 거의 모든 곡이 섹스송이다. 특히 앨범의 마지막 트랙 <Pregnant>는 제목대로 임신시키고 싶다는 내용의 곡이다.

근데 이 노래 Tyrese, Robin Thicke, The-Dream이 피쳐링한 후덜덜한 곡일뿐더러 곡의 퀄도 좋다는 것이 한편으로는 대단한 점. 그리고 2013년 12월에 발매한 정규 앨범은 아예 제목이 <Black Panties>. 그렇다고 I Believe I Can Fly 같은 곡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고, 정기적으로 이러한 가스펠 분위기의 곡은 항상 낸다. 이를 모아둔 비정규 앨범이 <EPIC>.

사실 곡을 쓰는 스킬에 있어서는 어떠한 경지에 올라있는데[4], 대표적으로는 마이클 잭슨의 <You Are Not Alone>[5]이라던지, 휘트니 휴스턴의 유작 앨범 타이틀곡인 <I Look To You>[6]라던지... 게다가 엄청난 다작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여 유튜브에는 그의 미발표곡이 무수히 검색될 지경.

곡을 쓰는 영역도 매우 넓어 R&B는 기본으로 깔고 평범한 팝발라드[7]나 합창곡스러운 가스펠부터, 남부 힙합, 스윙, 레트로 사운드, 블루스 등까지 폭넓게 작업을 한다. 거기에 2010 남아공 월드컵의 주제곡까지도 직접 작곡하고 불러제끼는 레전드급의 가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의 색을 찾지 못하고 과거의 스타일에만 목매거나, 현대의 트렌드를 조급하게 따라가는 데에만 치중하여 과거와 같은 인기는 누리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는 EDM까지도 시도를 하고 있는데 근래의 하락세를 걱정하는 팬들은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는 1995년부터 이미 아동 성폭행으로 기소된 이후 25년 넘게 꾸준히 아동 성범죄 관련으로 기소되었다. 2017년부터 소아성애 및 성범죄 의혹을 받기 시작했고, 2019년에 결국 증거 자료가 발굴되어 구속되었으며, 2021년에 성매매 및 미성년자 성착취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았다. 2022년 6월 29일 법원으로부터 31년 형[8](2053년(86세) 출소 예정)과 벌금 10만 달러를 선고받았다. 이로 인해 그가 운영하고 있는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계정이 정지되었다.

3. 소아성애 및 성범죄[편집]



3.1. 초창기 의혹[편집]


2019년 초에 제작된 그의 성범죄 관련 영상. 영상에 따르면 최소 1980년대 중반부터 그가 아동 성범죄를 일으켰다고 한다. 그리고 사생활적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혼인 신고 때 성인으로 나이를 속여 당시 15세였던 알리야(Aaliyah)와 비밀리에 결혼을 한 혐의 등을 포함하여 소아성애로 강력하게 의심받고 있다. 10세 초중반의 여자아이들과 여러번 부적절한 스캔들에 휘말리는 것을 보면 거의 확정인 듯.[9]

2002년 섹스 비디오가 유출되는데 역시나 상대 여성은 15세로 미성년자였다. 거기에 더해 여성을 향해 소변을 뿌렸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대중들에게 차원이 다른 충격을 선사했다. 이에 대해 R 켈리는 한결같이 '그거 나 아님'이라며 일관되게 부정하는 태도로 반응했다. 물론 그 말을 믿는 사람은 없었고.

R 켈리의 무조건적인 모르쇠 변호전략에서 샤기 디펜스(Shaggy defense)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이는 가수 샤기[10] 2000년 발표한 노래 "It Wasn't Me"에서 유래했는데 노래 가사에서 바람피다 여친에게 걸린 남자가 어떻게 해야할지 친구에게 의견을 구하는데 친구는 현장을 들키고 증거 사진이 찍혀도 무조건 내가 아니었다고 우기라고 조언하는 내용이다. 개인간에도 이렇게 나오면 인격이 의심스러울판에 하물며 대중의 관심과 사랑이 필요한 연예인의 대응전략으론 정말 최악이라고 할 수 있지만 어쨌든 감옥행은 피할 수 있었다.

어쨌든 이러한 논란들에도 불구하고 2003년과 2004년에 발표한 앨범과 싱글들이 차례로 빌보드 핫100의 상위권에 랭크되고 베스트 앨범도 발매하며 이대로 재기하나 싶었지만...


3.2. 다수 성범죄[편집]


2017년 7월 17일 종교를 가장하여 미성년자들을 포함한 다수의 여성들을 납치·감금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어났다. 원문 공연에서 팬, 혹은 가수지망생 중에 10~20대 여성만 골라서 저택으로 데려간 뒤, '밀실의 엄마'라고 불리는 여성에게 맡겨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타이츠나 딱 붙는 의상만 입히고서 샤워, 취침 시간을 엄격히 통제하고 성노예로 부려먹어 감금한 일이다. 알 켈리는 일관되게 혐의를 부정하고 있다. 노래를 통해서 죄를 인정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전체적인 메시지는 주요 혐의를 모두 부정하는 내용이다. 자신이 무죄임을 주장하는 이야기.

이후의 사건 전개는 다음과 같다.
  • 14세 소녀와의 성관계가 담긴 영상이 근거자료로 제출돼 대배심 소집 #
  • 범행상황에 대한 아주 구체적인 증언이 나오며 기소 #
  • 30~70년 형을 받을 수 있다는 보도. 현재까지 켈리 측은 침묵하는 중. #
  • 체포된 뒤 범행 시인 #
  • 발언을 번복해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힘 #

알 켈리는 이러한 문제로 이전부터 여러 차례 체포되고 재판에 섰지만 지금까지는 모든 문제에서 무혐의를 받았었다. 재산이 많아 초호화 변호인단을 고용했고 아내와 피해자들을 협박하고 폭행해 이뤄낸 결과였고, 후술하겠지만 그의 행적은 미국 연예계 사상 최악의 아동 성범죄 스캔들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1995년부터 25년 넘게 법망을 빠져나간 것이 신기할 정도.

성범죄와 별개로 집을 스튜디오로 거짓 신고해 탈세한 혐의로 재판 중이다. # 거기에 전처에게 진 빚 16만 달러와 양육비를 160만 달러나 미지급해서 이것만으로도 감옥에 갈 위기에 처했다. # 이 모든 일이 2019년 초에 일어나고 있으니 사실여부와 별개로 재기가 어려워 보인다.

2019년 3월 7일, 논란과 관련해 CBS의 간판 진행자 Gayle King과 가진 인터뷰 도중 갑자기 흥분하면서 폭주하는 모습이 전파를 탔다. 자신이 억울하다고 항변하던 중 감정이 격해지면서 소리를 지르며 자리에서 일어나 방을 돌아다니며 자신의 가슴을 세게 두드리는 등 위협적인 행동을 한 것. 이 와중에 소파에 그대로 앉아 그런 R.Kelly를 올려다보며 침착하게 "Robert"라고 이름을 계속 부르는 Gayle King의 모습이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5분부터

체포된 뒤 구치소에서 다른 재소자한테 폭행당한 사실도 알려졌다. #

그 외에 2017년에 다른 남성의 부인과 동침한 것 때문에 남편에게 고소당하기도 하였다.

3.3. 유죄 판결[편집]


2021년 9월 27일 납치, 매수, 성매매, 미성년자 성착취 등의 14개 혐의로 이루어진 공갈 1건과 그 외에도 국제 성매매를 금지하는 Mann Act 위반 관련 추가 8건으로 총 9건의 범죄에 대해 모두 유죄 판결이 났다. 공갈 혐의의 경우 14건의 혐의 중 검찰이 2건 이상을 증명하면 유죄 확정이었는데, 2건을 제외한 12건 모두 증명되었다고 한다. #

유죄 판결을 받은 켈리는 예상치 못한 판결이었다는 소감 이외에 크게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의 변호사는 검찰 쪽이 재판 동안 증거들을 체리피킹하여 모순이 잘 드러나지 않았었다며 켈리와 함께 본 판결에 대해 실망하였고 항소할 예정이라고 하였다. #

이와는 별도로 1994년 당시 15세였던 알리야와의 결혼을 위해 일리노이 주 공무원을 매수하여 성인 신분증을 위조한 혐의로 추가 기소되었다.

어쨌든 본 성착취 논란에 대한 최종 선고 공판은 원래 2022년 5월 4일이었으나 켈리의 변호측에서 코로나 여파로 인해 전문가 소견서를 확보하는데 지장을 겪고 있다며 호소하여 이후 6월 15일로, 그 뒤 더 이상 연장 신청을 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최종적으로 6월 29일로 연기되었다.# 그리고 징역 30년과 10만달러의 벌금을 선고했다.# 그 와중에 알리야의 신분증 위조 혐의에 대한 첫 재판은 8월 1일.#

사람들은 그 뿐만이 아닌 그의 범죄에 협조,방관한 사람들에 대한 수사도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켈리는 자신이 제작한 아동 포르노를 자랑스럽게 여기며 주변인과 공유했다고 그의 남동생이 증언했다.

다만 악명 높은 OJ 심슨 사건은 물론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6ix9ine사법거래유능한 변호사를 통해 출소했던 적이 있는만큼 미국은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사례가 많아서 켈리가 중형을 선고받을지는 두고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애런 에르난데스의 사례처럼 전국적인 여론의 압박 아래에 무기징역형을 내리고 이후 주 헌법까지 뜯어 고쳐가며 유죄 판결을 유지한 사례도 있다. 결국 최종 선고 당일에 여론의 압박과 변호사의 능력 및 인맥 중 어느 쪽이 더 큰가가 중형 선고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겠다.

이로서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그의 명곡인 I Believe I Can Fly도 앞으로 사용하거나 듣기가 껄끄러운 곡이 될 위기에 놓였다. 결국 2021년 10월 5일, 유튜브가 I Believe I Can Fly를 비롯하여 그의 모든 뮤직 비디오가 있었던 160만, 350만 팔로워 공식 유튜브 채널을 삭제하였다. #[11]

그리고 구글의 규정과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강력범죄자 이용 불가 규정에 따라 그가 가지고 있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계정도 비활성화되면서 영원히 활동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실명 인증된 구글 계정을 연동해야 할 경우 여기서 부터 구글 계정이 사용 중지되어 사실상 부계정 만들기도 불가능하다. 더불어 트위터 계정도 역시 삭제.

결국 법원으로부터 30년 형과 벌금 10만 달러를 선고받았다. #
  • 2022년 6월 29일 뉴욕시 브루클린 연방지방법원: 징역 30년, 벌금 10만 달러 (공갈 및 미성년자 성매매 8건 등 총 9건의 혐의) #
  • 2022년 9월 14일 일리노이주 시카고 연방법원: 징역 30년, 벌금 10만 달러 (아동포르노 3건 포함 총 6건의 혐의) #

2023년 2월, 30년형에 동시 복역하는 다른 재판이 징역 20년형으로 확정됐다.#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앨범[편집]


  • Born into the 90s (1992)
  • 12 Play (1993) [12]
  • R. Kelly (1995)
  • R. (1998)
  • TP-2.com (2000)
  • The Best of Both Worlds (2002)[13]
  • Chocolate Factory (2003)
  • Happy People/U Saved Me (2004)
  • Unfinished Business (2004)[14]
  • TP.3 Reloaded (2005)[15]
  • Double Up (2007)
  • Untitled (2009)
  • Love Letter (2010)
  • Write Me Back (2012)
  • Black Panties (2013)[16]
  • The Buffet (2015)
  • 12 Nights Of Christmas (2016)


4.2. 싱글[편집]



4.2.1. 빌보드 핫 100 1위[편집]




4.2.2. 빌보드 핫 100 2위[편집]


  • I Believe I Can Fly (1996)
  • Satisfy You (1999)[17]
  • Ignition (Remix)[18] (2002)


4.2.3. 빌보드 핫 100 3위 ~ 10위[편집]


  • You Remind Me of Something (1995) - 4위
  • Down Low (Nobody Has to Know) (1995) - 4위
  • I Can't Sleep Baby (If I) (1996) - 5위
  • Gotham City (1997) - 9위
  • Fiesta Remix (featuring JAY-Z and Boo & Gotti) (2001) - 6위
  • Step in the Name of Love (Remix) (2003) - 9위
  • Hotel (2003) - 4위[19]
  • Wonderful (2004) - 5위[20]


4.2.4. 빌보드 핫 100 11위 ~ 40위[편집]


  • Honey Love (with Public Announcement) (1992) - 39위
  • Dedicated (with Public Announcement) (1993) - 31위
  • Sex Me (1993) - 20위
  • Your Body's Callin' (1994) - 13위
  • U Will Know (1994) - 28위
  • Friend of Mine (Remix) (1998) - 12위[21]
  • When a Woman's Fed Up (1998) - 22위
  • Did You Ever Think (feat. Nas) (1999) - 27위
  • If I Could Turn Back the Hands of Time (1999) - 12위
  • I Wish (2000) - 14위
  • Contagious (2001) - 19위[22]
  • Feelin' on Yo Booty (2001) - 36위
  • We Thuggin' (2001) - 15위[23]
  • The World's Greatest (2002) - 34위
  • Snake (feat. Big Tigger) (2003)
  • Thoia Thoing (2003) - 13위
  • Clubbin' (2003) - 39위[24]
  • Gigolo (2003) - 24위[25]
  • So Sexy (2004) - 25위[26]
  • Happy People (2004) - 19위
  • Big Chips (with Jay-Z) (2004) - 39위
  • Trapped in the Closet, Chapter 1 (2005) - 22위
  • That's That Shit (2006) - 20위[27]
  • Go Getta (2007) - 18위[28]
  • I'm a Flirt (Remix)[29] (feat. T.I. & T-Pain) (2007) - 12위
  • Same Girl (Duet with Usher) (2007) - 20위
  • Do What U Want (2013) - 13위[30]


4.2.5. 빌보드 핫 100 41위 ~ 100위[편집]


  • She's Got That Vibe (with Public Announcement) (1991) - 59위
  • Slow Dance (Hey Mr. DJ) (with Public Announcement) (1992) - 43위
  • Summer Bunnies (1994) - 55위
  • All of My Days (1997) - 65위[31]
  • Home Alone (feat. Keith Murray) (1998) - 65위
  • Lean on Me (1998) - 79위[32]
  • Guilty Until Proven Innocent (2001) - 82위[33]
  • Take You Home with Me (A.K.A. Body) (with Jay-Z) (2002) - 81위
  • Soldier's Heart (2003) - 80위
  • What Would You Do? (2003) - 49위[34]
  • U Saved Me (2003) - 52위
  • Gangsta Girl (2004) - 85위[35]
  • So Sexy: Chapter II (Like This) (2004) - 92위[36]
  • In the Kitchen (2005) - 91위
  • Playa's Only (feat. The Game) (2005) - 65위
  • Number One (feat. Keri Hilson) (2009) - 59위
  • When a Woman Loves (2010) - 93위
  • To the World (2012) - 70위[37]
  • My Story (feat. 2 Chainz) (2012) - 89위
  • PYD (2013) - 54위[38]


4.3. 프로듀싱 대표곡[편집]





[1] "너의 몸이 나를 부르네".[2] "박고 갈자".[3]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인 사운드로 한 때 흑인음악을 듣는 세대를 구분하는 기준점이 되기도 한 노래이다.[4] 일례로 자신의 히트곡들은 다 알 켈리 자신이 작사 작곡에 프로듀싱까지 다 했다.[5] <Love Letter> 디럭스 에디션 앨범의 마지막 곡으로 알켈리 자신이 직접 부른 버전이 수록.[6] 휘트니 휴스턴의 장례식때 직접 단상에 나와 추모곡으로 불렀다.[7] 셀린 디옹과 함께 부른 <I'm Your Angel> 같은 곡. 빌보드 6주 1위.[8] 30년 형+(20년-19년)[9] 한 피해자는 16세때부터 켈리와 교제를 했는데 20대가 되고 관심이 식은 것을 보아 소아성애자가 확실하다 언급했다.[10] 날개잃은 천사를 표절당한 가수다.[11] 유튜브와 연동되는 구글 계정도 성범죄 법적 요청 등을 이유로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구글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과 달리 영구 정지자의 부계정, 가계정 생성도 불가능하다. 그리고 유튜브 규정상 성범죄자의 음원을 스트리밍으로 송출하는 것도 노란딱지 부여 대상.[12] R&B 앨범하면 흔히 나오는 명반으로 뽑힌다.[13] JAY-Z와의 합작 앨범이다.[14] JAY-Z와의 2번째 합작 앨범이다. 이후 여러 사건들로 인해 제이지와 알 켈리의 사이가 갈라지게 되었고 앨범의 퀄리티 자체도 실패라고 평가받을 정도의 수준이라 현재는 그리 좋지 않은 앨범으로 기억되고 있다.[15] Trapped In The Closet과 관련된 앨범이다.[16]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이 앨범의 Genius라는 곡의 섹스 가사를 Jimmy Kimmel Live!에서 끝내주는 중저음으로 낭독했다. 인기 댓글을 빌려와 방청객들의 반응을 이야기하자면 "컴버배치가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오디오북을 만든다면, 인터넷을 작살내버릴 텐데."[17] 퍼프 대디의 곡에 피쳐링.[18] 200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2위. 당시 UK차트는 1위.[19] Cassidy의 곡에 피쳐링.[20] 자 룰의 곡을 아샨티와 함께 피쳐링.[21] 켈리 프라이스의 곡을 론 아이즐리와 함께 피쳐링.[22] 아이즐리 브라더스 곡을 샨테 무어와 함께 피쳐링.[23] Fat Joe의 곡에 피쳐링.[24] Marques Houston의 곡을 조 버든과 함께 피쳐링[25] 닉 캐넌의 곡에 피쳐링.[26] 트위스타의 곡에 피쳐링.[27] 스눕 독의 곡에 피쳐링.[28] 영 지지의 곡에 피쳐링.[29] Bow Wow와 함께한 곡이다.[30] 레이디 가가의 곡에 피쳐링.[31] Changing Faces의 곡에 Jay-Z와 함께 피쳐링.[32] Kirk Franklin의 곡을 메리 제이 블라이즈, 보노, Crystal Lewis, The Family와 함께 피쳐링.[33] Jay-Z의 곡에 피쳐링.[34] 아이즐리 브라더스의 곡에 피쳐링.[35] Big Tymers의 곡에 피쳐링.[36] 트위스타의 곡에 피쳐링.[37] 카니예 웨스트의 곡을 테야나 테일러와 함께 피쳐링.[38] 저스틴 비버의 곡에 피쳐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