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야마구치현 제4구

덤프버전 :


주고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야마구치현 제4구
山口県第4区
||
파일:shuinsen_Yamaguchi4.svg
선거인 수248,593명 (2020)
상위 도도부현야마구치현
하위 행정구역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국회의원

요시다 신지




1. 개요[편집]


2022년까지 야마구치현의 서부 해안가 지역을 관할했던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로, 시모노세키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간몬해협을 접한 지역이라, 규슈와 가장 가까운 선거구이다. 그리고 시모노세키 조약, 부관페리 등으로 인해 한국과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선거구다. 소선거구제 도입 이래로 2022년까지 존속했으며, 이후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른 선거구 조정으로 폐지되었다. 현재 지역구 의원은 시모노세키시 시의원 출신인 요시다 신지 의원이다.

중선거구 시절에는 야마구치 1구에 속했는데 이때의 야마구치 1구는 자민당 3명 당선되면 사회당이 1명 당선될 정도의 보수 텃밭이었다. 이 선거구에서 아베 신조의 조부인 아베 간아베 신조의 친부인 아베 신타로의 선거구이고 이전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아베 신조였다.[1]



2. 상세[편집]


제90, 96~98대 내각총리대신이었던 아베 신조가 있었던 지역구이자, 돗토리 1구와 함께 일본에서 가장 보수적인 지역구다.[2] 자유민주당이 참패했던 45회 중원선에서도 아베 신조가 64.3%이란 압도적인 득표율[3]로 승리를 거둔 바 있는 지역구가 바로 여기다. 구 조슈 번의 근거지였기에 조슈 번과 연관성 있는 아베 신조가 압승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4]

대선거구제 시절 때부터 아베 간 - 기시 노부스케 - 아베 신타로 - 아베 신조로 4대째 내려져온 아베·기시 집안의 지역구였다. 야마구치자민당의 텃밭이기는 하나, 4구의 경우에는 역사적인 관계는 물론 아베·기시 집안의 탄탄한 지역 기반과 두 집안의 2-3대 세습도 한몫하여 유독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다.

또한 옆집 2구에도 기시 집안으로 입양된 아베 신조의 친동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야마구치는 사실상 아베·기시 집안의 텃밭이다. 참고로 이 선거구는 이토 히로부미의 정치적 기반이었고, 야마구치현 제2구이토 히로부미가 유년기를 보낸 곳이다.[5]

한일 무역 분쟁 이후 아베의 지역구인 이 선거구가 한국 언론에도 여러 차례 소개되었다. 즉 이 지역구에서 있는 시모노세키항부산항을 연결하는 부관페리가 출항하는 지역이고, 후쿠오카 현 후쿠오카, 나가사키 현 쓰시마와 더불어 한국인 관광객의 비율이 높은 곳이라는 특징이 있다.# #

역사적으로도 한일관계의 중요한 사건인 임진왜란, 조선시찰단이 처음 상륙한 지점, 이토 히로부미의 본거지라는 것, 시모노세키 조약,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으로 조선인들이 강제로 징용을 가게 된 사례나 부관연락선 등 여러 가지 사건들이 이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했다는 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곳이다.[6]

야마구치현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있어 이 선거구가 없어지거나 개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결국 2022년 11월 18일, 공직선거법 개정과 함께 선거구가 폐지되면서 기존의 야마구치현 제3구와 합구되었다.[7]#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93,459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54.34%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반전.png코가 타카아키
(古賀 敬章)
59,6762위


34.7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노가미 히로시
(池之上博)
18,8533위


10.96%낙선
유효표수171,988투표율
59.65%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121,835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71.71%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노가미 히로시
(池之上博)
48,0682위


28.29%낙선
유효표수169,903투표율
65.04%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140,347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79.75%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코지마 준이치로
(小島潤一郎)
21,2022위


12.0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노가미 히로시
(池之上博)
14,4383위


8.20%낙선
선거인 수276,936투표율
65.01%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137,701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73.6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토 타카시
(加藤隆)
36,8472위


19.7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키사키 다이스케
(木佐木大助)
12,4993위


6.68%낙선
선거인 수275,663투표율
68.94%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121,365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64.2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토쿠라 타카코
(戸倉多香子)
58,7952위


31.1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키사키 다이스케
(木佐木大助)
8,7253위


4.62%낙선
선거인 수269,088투표율
71.05%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118,696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78.1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자이만 신타로
(財満慎太郎)
19,3362위


12.7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히가키 노리오
(桧垣徳雄)
13,8153위


9.10%낙선
선거인 수263,255투표율
59.43%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100,829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76.27%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다 사다요시
(吉田貞好)
17,3582위


13.13%낙선
와타나베 리에
(渡辺利絵)
14,0183위

무소속

10.60%낙선
선거인 수258,934투표율
52.56%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아베 신조
(安倍晋三)


104,825
(72.57%)
1위당선

추천
후지타 도키오
(藤田時雄)


18,567
(12.85%)
2위낙선
니시오카 히로노부
(西岡広伸)


13,721
(9.50%)
3위낙선
쿠로카와 아츠히코
(黒川敦彦)
6,687
(4.63%)
4위낙선
고리 아키히로
(郡昭浩)
645
(0.45%)
5위낙선
선거인 수256,464투표율
57.59%

아베 신조의 당선 확실 후 연설하는 부인 아베 아키에 여사[8]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
(安倍晋三)
80,4481위
[공]69.72%당선
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다케무라 가쓰시
(竹村克司)
19,0962위
16.55%낙선
오노 요리코
(大野頼子)
15,8363위
13.73%낙선
유효표 수115,380투표율
48.64%
유권자 수244,858

49회 중원선 야마구치현 제4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격차투표율[9]
후보아베 신조다케무라 가쓰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0,448
(69.72%)
19,096
(16.55%)
61,352
(△53.17)
115,380
(48.64%)
시모노세키시67.60%17.84%△ 49.7647.41%
나가토시83.01%8.60%△74.4158.02%

비례대표 결과
정당
득표수
(득표율)
2,872.739
(2.43%)
6,089
(5.26%)
57,431
(49.58%)
6,233
(5.38%)
8,570
(7.40%)
1,749
(1.51%)
15,128.259
(13.06%)
16,911
(14.60%)
940
(0.81%)
지역별 결과
시모노세키시2.58%5.64%47.23%5.75%7.78%1.59%13.52%15.03%0.88%
나가토시1.49%2.85%64.31%3.02%4.97%1.00%10.16%11.81%0.40%


2020년 10월 발표된 인구조사에 따른 선거구 재조정이 예정됨에 따라 현 야마구치현 제4구로 치르는 마지막 선거다. 다음 선거부터는 야마구치현에 배정된 선거구가 3개로 축소될 예정이기 때문.#

자유민주당에서는 당연하게도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출마한다. 소선거구+비례대표 제도 출범(1996년) 후 야당의 석패율제 당선도 나오지 않는 '무풍 선거구'인만큼 호헌파 야당 입장에서는 출마할 후보를 찾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었는데, 이번에는 레이와 신센구미프로레슬러 출신 정치인 다케무라 가쓰시가 과감하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예상대로, 자민당의 아베 신조 전 총리가 70%에 육박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중의원 10선 고지에 올랐다. 레이와 신센구미의 다케무라 후보는 2012년 이후 이 지역구에서 야당 후보 중 최고 득표율을 만들어냈지만 16.6%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 결국 석패율 구제도 받지 못한채 완전 낙선, 이 선거구는 25년째 '무풍 선거구'의 압도적인 명성을 이어갔다.

여담으로 낙선한 다케무라 가쓰시 후보는 2023년 시모노세키시의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그러나 2022년 7월 8일, 아베 신조 피살 사건으로 인해, 아베가 사망함에 따라 공석이 되었다.

당선이 확정된 후 연설하는 아베 신조

4.10.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4구
시모노세키시, 나가토시
득표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요시다 신지
(吉田真次)
51,961표1위
63.48%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아리타 요시후
(有田芳生)
25,595표2위
31.27%낙선
오노 요리코
(大野頼子)
2,381표3위
2.91%낙선
파일:정치가여자48당 로고.png와타나베 아이
(渡部亜衣)
1,186표4위
1.45%낙선
타케모토 히데유키
(竹本秀之)
734표5위
0.90%낙선
유효표 수81,857표투표율
34.71%
선거인 수239,874인

2023 국회의원 재보선 야마구치현 제4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격차투표율[10]
후보요시다 신지아리타 요시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1,961
(63.48%)
25,595
(31.27%)
26,372
(△32.21)
81,857
(34.71%)
시모노세키시61.59%32.95%△28.6433.34%
나가토시74.16%21.72%△52.4445.28%

해당 지역구 보궐선거 관련 방송사 취재 보도 영상

현직인 아베 신조 전 총리가 피살을 당해 사망하면서, 치러질 보궐선거이다. 2022년말 야마구치현의 선거구 기존 4개에서 3개로 줄어드는 것이 확정됨에 따라 야마구치 4구에서 치러지는 마지막 선거가 됐다.

2022년 9월 15일까지 보궐선거 실시사유가 발생함에 따라 야마구치 4구 재보궐 선거는 2022년 10월 23일에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2021년 11월 1일 전국적으로 이른바 1표의 불균형을 이유로 선거를 무효로 하는 소송이 제기되었으며, 공직선거법 제33조의2항 제7항의 규정에 따라 소송이 계류 중인 동안에는 선거를 실시할 수 없으며, 결론적으로 판결이 확정되지 않게 되면서 2023년에 보궐선거를 치루게 되었다.

자유민주당에서는 아베의 부인인 아베 아키에가 출마한다는 설이 나돌았으나, 아키에 본인이 부인하며 불출마를 밝혔으며#, 에시마 키요시(江島清) 참의원 의원[11], 마에다 신타로(前田晋太郎) 시모노세키시장 등 시모노세키 시장 출신 정치인들과 아베의 친형인 아베 히로노부, 아베의 조카들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아베 후원회 관계자는 2022년 12월을 기점으로 요시다 신지(吉田真次) 시모노세키 시의원을 후보로 옹립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으며, 아베 아키에 여사 역시 이에 승낙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1월 30일 자민당 야마구치현련은 후원회가 추천한 요시다 신지 시의원을 보궐선거 후보자로 옹립하기로 결정하였다.#

2023년 3월 2일, 입헌민주당은 전직 참의원 의원인 아리타 요시후(有田芳生)를 공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이후 3월 12일 공천하기로 결정했다.# 3월 15일, 아리타 전 참의원이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사실상 NHK당 등 군소정당을 제외하고는 야권의 유일한 후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NHK당은 2017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쿠로카와 아츠히코 간사장이 출마를 선언했다.# 그러나 3월 29일, 후보로 회사 임원 출신의 와타나베 아이(渡部亜衣)가 공천되면서 출마가 무산되었다.

한편 3월 27일, 지난 중원선에서도 같은 지역구에 나섰던 오노 요리코(大野頼子)가 다시 출마를 선언했다. #

선거 결과, 요시다 신지 후보가 더블 스코어 넘는 차이로 압승을 거두었지만 입민당의 아리타 요시후 후보 역시 96년 41회 중원선 이후 비 자민당 후보 중 역대 최고 득표율인 31.27%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1]극우 성향인 아베 신조와 별개로 아베 신타로자유보수주의적인 중도우파친한파 정치인이었다. 실제로 아베 신타로가 지역 내 재일한국인, 한국계 일본인을 지원했고, 이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리고 아베 간태평양전쟁에 반대하고, 도조 히데키에 저항한 평화주의자였다.[2] 참고로 돗토리현 제1구이시바 시게루 자민당 前 간사장의 지역구인데, 이 둘은 성향이 완전히 달라서 당내에서 대척점에 서 있었다.[3] 2위는 민주당 후보로 31.1%를 득표했다.[4] 참고로 아베 신조의 할아버지인 아베 간 前 중의원 의원이 여기서 태어났으며, 자신의 지역구였기에 연관성이 있고, 아버지인 아베 신타로 前 외무대신도 여기에 지역구를 뒀었다. 즉, 3대가 쇼와 시대 중기 때부터 이 지역구를 세습 중이다.[5] 3구하야시 요시마사1구고무라 마사히코의 아들도 모두 아베와 가까운 사람들이다.[6] 한편 아베 신타로 시기에는 재일한국인, 한국계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했던지라, 아베 신타로친한적인 정치 성향에 큰 영향을 끼친 곳이기도 하다.[7] 대신에 기존에 3구에 있던 우베시야마구치시에 편입된 옛 아토초 지역이 2구로 조정되었다.[공] A B C 공명당 추천[8] 당시 전국 유세를 도느라 바쁜 남편 신조를 대신해 지역구에서 유세를 했었다.[9] #[10] 개표 상세 결과 : #[11] 4선 시모노세키시장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