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덤프버전 :

일본의 주요 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6회
2022년 7월 10일
27회
2025년 7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49회
2021년 10월 31일
50회
2025년 이전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국회의원 보궐선거2023년 하반기
2023년 10월 22일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통일지방선거20회
2023년 4월 9일23일
21회
2027년 4월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도쿄도지사 선거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7월 5일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4년 7월 7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상세
2.1. 배경
2.2. 선거결과
2.2.1. 소선거구
2.2.2. 비례대표
2.3. 주요 정치인 당락
2.3.1. 민주당 + 국민신당
2.3.2. 국민 생활이 제일
2.3.3. 자유민주당 + 공명당
2.3.4. 일본 공산당
2.3.5. 사회민주당
2.3.6. 그 외 정당
2.4. 정당별 결과
3. 관련항목



1. 개요[편집]


각 방송사별 출구조사 발표 영상
파일:report-pg-25129-XvwPrzK8.jpg

2012년 12월 16일 일본에서 치러진 중의원 의원 총선거. 선거 결과 야당이었던 자유민주당이 압승하여 자민당 정권이 복귀하고 아베 신조 2차 내각이 성립하였다. 통칭 가까운 시일 내 해산(近いうち解散)이라고 불리는데[1], 이것보다는 가미카제 총선이라고 더 많이 불린다. 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당시 총리가 선거에서 민주당이 전혀 이길 가능성이 없는 시기와 상태에서 중의원 해산을 했기 때문이다.[2]예상대로 선거 결과는 여권 입장에서 처참하기 이를 데 없었으며 해당 성적은 1894년 제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다음으로 역대 가장 적은 의석을 획득한 제2정당이라는 굴욕적인 기록은 쓰게 되었다.[3][4] 그나마 민주당이 위안으로 삼을 것이라면 압승한 자민당이 2009년 압승한 민주당보단 의석을 덜 차지했다는 것 정도다.

2. 상세[편집]



2.1. 배경[편집]


2009년 8월 30일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통해 성립한 민주당 내각은 집권 초기부터 선거자금 스캔들로 지지율이 급격히 떨어졌고, 이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보여준 부실함과 소비세(한국부가가치세에 해당) 인상(5% → 10%) 결행, 2차 대전 이후 유례없는 살인적인 엔고 방치 등으로 인하여 지지율이 바닥을 치고 있었다.

이에 노다 요시히코 내각은 여러 가지 무리수를 써가면서 중의원 해산을 연기하려고 시간을 끌었지만, 여당인 민주당에서 오자와 이치로를 포함한 유력인사들이 미래당으로 분당하면서 중의원 과반수가 힘겹게 된 데다 여론에 밀려 결국 2012년 11월 중의원 해산을 선언하고 만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선거가 발생하게 되었다.


2.2. 선거결과[편집]


선거일2012년 12월 16일
선거내용지역구(소선거구제) 300명 + 권역별 비례대표 180명(석패율제 시행)
선출인원480명
투표율59.32%

선거결과
정당지역구(소선거구제)비례대표획득
의석
선거이전의석증감
여당민주당13,598,77322.8%279,628,65315.9%3057231-174
국민신당117,1850.1%170,8470.1%012-1
야당자유민주당25,643,30943.0%23716,624,45727.6%57294118+176
공명당885,8811.4%97,116,47411.8%223121+10
일본 유신회6,942,35311.6%1412,262,22820.3%405411+43
모두의 당2,807,2444.7%45,245,5868.7%14188+10
일본 미래당2,992,3655.0%23,423,9155.6%7961-52
일본 공산당4,700,2897.8%03,689,1596.1%889-1
사회민주당451,7620.7%11,420,7902.3%125-3
신당대지315,6040.5%0346,8480.5%113-2
신당일본62,6970.1%0불출마불출마001-1
신당 개혁불출마불출마0134,7810.3%0000
행복실현당102,6340.1%0216,1500.3%0000
무소속1,006,4681.6%5불출마불출마057-2

의석 구성
연립여당[5] - 58석 (12.1%)야당 - 417석 (86.9%)
정수 : 480석


2.2.1. 소선거구[편집]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역자유민주당민주당일본 유신회공명당모두의 당일본 미래당일본 공산당사회민주당국민신당신당대지무소속합계
홋카이도11001000000012
아오모리400000000004
이와테12[6]0001[7]000004
미야기51[8]0000000006
아키타300000000003
야마가타200000000013
후쿠시마41[9]0000000005
이바라키51[10]0000000017
도치기400010000005
군마500000000005
사이타마131[11]00000000115
치바112[12]00000000013
가나가와141[13]01200000018
야마나시11[14]0000000013
도쿄212[15]01100000025
니가타600000000006
도야마300000000003
이시카와300000000003
후쿠이300000000003
나가노32[16]0000000005
기후500000000005
시즈오카62[17]0000000008
아이치132[18]00000000015
미에32[19]0000000005
시가400000000004
교토42[20]0000000006
오사카30124000000019
효고82[21]02000000012
나라31[22]0000000004
와카야마21[23]0000000003
돗토리200000000002
시마네200000000002
오카야마401000000005
히로시마600001000007
야마구치400000000004
도쿠시마300000000003
카가와21[24]0000000003
에히메400000000004
고치300000000003
후쿠오카10000000000111
사가300000000003
나가사키400000000004
구마모토401000000005
오이타300000000003
미야자키300000000003
가고시마400000001005
오키나와30000001[25]0004
소선거구237271494201108300


2.2.2. 비례대표[편집]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역자유민주당민주당일본 유신회공명당모두의 당일본 미래당일본 공산당사회민주당국민신당신당대지합계
홋카이도32110000018
도호쿠532111100014
기타칸토634321100020
미나미칸토645231100022
도쿄533221100017
호쿠리쿠신에쓰423110000011
도카이744221100021
긴키7310421200029
주고쿠522200000011
시코쿠21210000006
규슈-오키나와734311110021
비례대표573040221478101180

2.3. 주요 정치인 당락[편집]



2.3.1. 민주당 + 국민신당[편집]



2.3.2. 국민 생활이 제일[편집]



2.3.3. 자유민주당 + 공명당[편집]



2.3.4. 일본 공산당[편집]



2.3.5. 사회민주당[편집]



2.3.6. 그 외 정당[편집]



2.4. 정당별 결과[편집]


민주당미래당은 다같이 뭉쳐도 모자랄 판에 분당까지 해가지고 같이 망했다. 그렇다고 해서 분당하지 않고 45회 중원선때처럼 단일 여당으로 선거를 치렀다고 해서 결과가 좋았을리는 당연히 없다. 민주당 정권에서 소비세를 5%에서 10%로 인상했을 때 이미 결과가 결정된 선거였기 때문에 무슨 일을 벌이건 판세를 뒤집을 방법은 없었다. 결국 이코노미스트에서 가미카제 총선이라며 비아냥댄 것을 증명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

민주당과 미래당 대표인 노다 요시히코오자와 이치로는 강력한 지역구 장악력을 바탕으로 지역구 수성에 성공했지만, 간 나오토가이에다 반리 등 민주당의 주요 인사들이 줄줄이 지역구에서 낙선하고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간신히 살아남는 굴욕을 당했다. 게다가 서남부 지역은 카가와현 제2구다마키 유이치로를 빼면 의석이 없었다. 미래당은 현역 의원 대부분이 낙선했고 자기 지역구를 장악하고 있는 오자와 이치로와 가메이 시즈카만 지역구에서 살아남았다.

자민당은 비례대표에서 27%의 득표를 얻는데 그쳐 제1정당으로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지역구에서 민주당을 완전히 떡실신시키면서 자민당 + 공명당 연립정권은 중의원 2/3를 장악하는 대승을 기록, 지난 총선의 굴욕을 완벽히 되갚아주는 데에 성공했다.

극우 성향의 정당일본 유신회간사이 지역의 선전을 기반으로 54석을 얻었지만 목표치인 100석에는 한참 미달하였으며, 간토 지역구에서 전멸하는 등 별로 좋은 결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모두의 당은 18석을 얻어 나름대로 입지를 구축했다.

일본 공산당은 1석만 줄어드는 등 불리한 선거 구도에서도 나름대로 선방했으며, 사회민주당은 대참패했다. 기타 정당과 무소속은 위의 표대로 나왔다.


3. 관련항목[편집]




[1]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다니가키 사다카즈 자민당 총재와 면담 후 "개혁 법안이 처리된다면 가까운 시일 내에 중의원을 해산하겠다."고 큰소리를 친 것에서 유래했다.[2] 사실 더 버텨 봤자 1년 밖에 더 못 버티는 상황이었다. 2013년 말에 중의원 임기가 끝나기 때문이다. 비슷한 상황에 있던 자민당의 아소 다로 전 총리는 의회해산을 최대한 미뤄 4년 임기를 거의 다 채운 뒤 의회해산을 단행하여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치러졌는데, 이때는 다들 알다시피 자민당이 대폭망하고 민주당이 압승해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가 역사적인 정권교체에 성공하였다. 선거 전 상황이나, 의회해산 당시 총리대신의 정치적 입지로나, 선거 결과로나 모두 직전 선거의 미러 버전이었다. 다나카 마키코는 아예 대놓고 자폭테러 해산이라고 말했다.[3] 사실 그마저도 1894년의 중의원 전체의석이 300석이라 그런 것이고 비율로 따지면 역대 최저의석의 제2정당이다.[4] 이 기록은 2017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입헌민주당(55석)이 경신한다. 그나마 이땐 신생정당으로 새로 출발한 수준이라 이해라도 되지.. (항목을 봐도 알 수 있듯 오히려 이땐 여러 정황상 입헌민주당이 제2의 승자라고 평가받았다.) 사실, 2009년 기준 480석에서 2017년 기준 465석으로 중의원 의석수가 줄어들었기에, 의석점유율로만 따지자면 45회 중원선의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5] 민주당, 국민신당[6] 시나 다케시, 기카와다 토오루.[7] 너무나 당연하지만, 오자와 이치로.[8] 아즈미 준.[9] 겐바 고이치로.[10] 바로 오하타 아키히로[11] 바로 에다노 유키오[12] 노다 요시히코, 다지마 가나메.[13] 류 히로후미.[14] 고토 사토시.[15] 나가츠마 아키라, 나가시마 아키히사[16] 데라시마 요시유키, 시노하라 다카시.[17] 호소노 고시, 와타나베 슈[18] 후루카와 모토히사, 후루모토 신이치로.[19] 나카가와 마사하루, 오카다 가쓰야.[20] 마에하라 세이지, 야마노이 가즈노리.[21] 마쓰모토 다케아키, 야마구치 쓰요시.[22] 바로 마부치 스미오[23] 기시모토 슈헤이.[24] 다마키 유이치로.[25] 바로 데루야 간토쿠. 유일한 사회민주당 소속 지역구 당선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