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덤프버전 :

일본의 주요 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6회
2022년 7월 10일
27회
2025년 7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49회
2021년 10월 31일
50회
2025년 이전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국회의원 보궐선거2023년 하반기
2023년 10월 22일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2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통일지방선거20회
2023년 4월 9일23일
21회
2027년 4월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도쿄도지사 선거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0년 7월 5일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
2024년 7월 7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일본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第42回衆議院総選挙
(神の国解散)
1996년 10월 20일
41회 중원선
(소선거구제 총선)
2000년 6월 25일
42회 중원선
(밀레니엄 총선)
2003년 11월 9일
43회 중원선
(매니페스토 총선)
||

1. 개요
2. 선거 전
2.1. 신의 나라(神の国) 망언
3. 선거 결과
3.1. 소선거구
3.2. 비례대표
4. 주요 정치인 당락
5. 정당별 획득 의석



1. 개요[편집]


2000년 6월 25일에 실시된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다.

2. 선거 전[편집]



2.1. 신의 나라(神の国) 망언[편집]


모리 요시로 총리가 2000년 5월 16일, 도쿄도 내 한 호텔에서 신토정치연맹 국회의원 간담회 결성 30주년 행사에서 "일본이 천황을 중심으로 한 신의 나라(神の国)라는 것을 국민 모두가 깨닫게 하겠다."라는 충격적인 발언을 남겼다. 본인 입장에서는 총선이 사실상 예정된 상황에서 신사본청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호소한 것이겠지만, 일본 내 리버럴 성향 국민들과 일본제국에 의해 식민지배를 당했거나 피해를 입은 주변 국가들 입장에서는 군국주의국가신토의 망령이 부활한다는 심각한 우려가 생길법한 발언이었다.

당장 한국, 중국 등 주변국들이 반발한 것은 물론 일본 내에서도 반발이 적지 않았는데 민주당하토야마 유키오 대표는 이런 모리 총리의 망언에 대하여 "일본제국헌법에 가까운 발상으로, 국민주권현행 헌법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말"이라며 "아시아 국가들에게 파급되는 영향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실제로 이 발언 이후 모리 내각에 대한 지지통신 여론조사 상 지지율이 18.2%까지 추락하는 등 영향이 적지 않았다. 이 당시까지는 일본의 우경화가 2012년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출범 이후만큼 심각한 상황이 아니기도 했고, 이때문에 자민당 내에서도 모리 총리를 얼굴로 해서는 선거에서 이길 수 없으니 중의원 해산을 미루자는 의견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여하튼 이 발언 때문에 2000년 의회해산의 별칭은 '신의 나라 해산(神の国解散)'이 되었다.

3. 선거 결과[편집]


선거일2000년 6월 25일
선거 내용지역구(소선거구제) 300명 + 권역별 비례대표 180명 (석패율제 시행)
선출 인원480명
투표율62.49%(소선거구), 62.45%(비례대표)

의석 구성
연립여당[1] - 271석 (56.5%)야당 - 194석 (40.4%)
정수 : 480석

선거결과
정당지역구(소선거구제)비례대표획득
의석
선거이전의석증감
여당자유민주당24,945,80640.97%17716,943,42528.31%56233271-38
공명당1,231,7532.02%77,762,03212.97%243142-11
보수당1,230,4642.02%7247,3340.41%0718-11
개혁 클럽203,7360.33%0불출마불출마005-5
야당민주당16,811,73227.61%8015,067,99025.18%4712795+32
자유당2,053,7363.37%46,589,49011.01%182218+4
일본 공산당7,352,84412.08%06,719,01611.23%202026-6
사회민주당2,315,2353.80%45,603,6809.36%151914+5
무소속회652,1381.07%5151,3450.25%054+1
자유연합1,071,0121.76%1660,7241.10%0110
제파46,9450.08%099,5650.17%001-1
무소속2,967,0694.87%5불출마불출마0154+11


자민당과 공명당, 보수당 연립정부의 의석수가 크게 줄어들었고 민주당이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약진했지만 민주당의 조직력이 농어촌 일대까지 뻗지는 못했고, 공명당 조직력이 간사이에서는 효력을 발휘했기때문에 일단 정권유지를 했고, 모리 요시로가 총리직에 계속 유임되었다.

3.1. 소선거구[편집]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역자유민주당민주당공명당자유당일본 공산당사회민주당보수당무소속회자유연합무소속합계
홋카이도760000000013
아오모리30000001004
이와테10030000004
미야기24000000006
아키타30000000003
야마가타31000000004
후쿠시마31000001005
이바라키51000000017
도치기41000000005
군마50000000005
사이타마660000010114
치바750000000012
가나가와960100010017
야마나시21000000003
도쿄8130000100325
니가타41000000016
도야마30000000003
이시카와30000000003
후쿠이30000000003
나가노32000000005
기후50000000005
시즈오카44000000019
아이치590000100015
미에22000000015
시가21000000003
교토51000000006
오사카854001100019
효고332001200112
나라40000000004
와카야마10000010013
돗토리20000000002
시마네30000000003
오카야마50000000005
히로시마50000001017
야마구치31000000004
도쿠시마21000000003
카가와20000000013
에히메40000000004
고치30000000003
후쿠오카820000000111
사가30000000003
나가사키21000000014
구마모토21000010015
오이타21000100004
미야자키30000000003
가고시마30000000104
오키나와10100100003
소선거구17780740475115300


3.2. 비례대표[편집]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역자유민주당민주당공명당자유당일본 공산당사회민주당보수당무소속회자유연합합계
홋카이도2310110008
도호쿠53131101014
기타칸토75322100020
미나미칸토66322200021
도쿄46222100017
호쿠리쿠신에쓰43111100011
도카이77222100021
긴키77535300030
주고쿠42211100011
시코쿠3110100006
규슈-오키나와74322300021
비례대표564724182015000180


4. 주요 정치인 당락[편집]



4.1. 자유민주당[편집]




4.2. 민주당[편집]




4.3. 공명당[편집]




4.4. 자유당[편집]




4.5. 일본 공산당[편집]




4.6. 사회민주당[편집]




4.7. 보수당[편집]




4.8. 자유연합[편집]



4.9. 무소속회[편집]




4.10. 무소속[편집]




5. 정당별 획득 의석[편집]


정당대표의석수
자유민주당모리 요시로233석
민주당하토야마 유키오127석
공명당칸자키 다케노리31석
자유당오자와 이치로22석
일본 공산당후와 데쓰조20석
사회민주당도이 다카코19석
보수당오오키 치카게7석
무소속회시이나 모토오5석
자유연합도쿠다 도라오1석
무소속15석



[1] 자유민주당, 공명당, 보수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