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주종합버스터미널

덤프버전 :

||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의 교통
[ 펼치기 · 접기 ]

철도파일:KTX BI.svg원주역 · 서원주역 · 만종역
파일:ITX-새마을 BI.svg원주역 · 서원주역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일반철도중앙선 · 경강선 · 원주연결선
도로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0.svg영동 부론IC / 문막IC / 원주IC · 파일:Expressway_kor_52.svg광주원주 서원주IC · 파일:Expressway_kor_55.svg중앙 신림IC / 남원주IC / 북원주IC / 관설IC
국도5번 · 19번 · 42번
지방도49 · 84 · 88 · 349 · 396 · 401 · 402 · 404 · 409 · 411 · 531 · 599
버스버스 목록시내버스누리버스
버스 터미널원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소원주기업도시 · 원주혁신도시 · 문막 · 귀래 · 신림
항공국내선원주공항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의 버스 터미널 및 정류장
고속버스원주혁신 · 원주기업
종합원주종합버스터미널*
시외문막 · 우산동 · 원주공항 · 태장동 · 흥업 · 귀래 · 신림 · 황둔
* 2022년 12월 13일 부로 통합 운영에 들어갔다.



파일:원주시외버스터미널 전경.png
원주종합버스터미널 전경

파일:원주시외버스터미널 로고.png
원주종합버스터미널(W-CITY)
다국어 표기
영어Wonju Bus Terminal
중국어原州巴士客運站
일본어原州バスターミナル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원대로 171 (단계동)
행선지 표기
240 / 원주종합
운영사
동신운수(주) | (주)동부고속
개업일
1973년 3월 (원주시외버스터미널 우산동 개업)
2009년 7월 22일 (단계동 이전)
1972년 7월 15일 (원주고속버스터미널 개업)
2002년 12월 (단계동 이전)
2022년 12월 13일 (원주고속버스터미널 통합 운영)
운영 노선(행선지)
원주종합버스터미널 노선
연계 철도역
원주역 · 서원주역 · 만종역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원주시외터미널2.jpg
원주종합버스터미널 주차장 및 차고지

1. 개요
2. 상세
3. 역사
3.1. 시외버스터미널
3.2. 고속버스터미널
3.3. 통합
4. 승차장
5. 중간정류소
6. 교통
6.1. 자가용/택시
6.2. 시내버스
7. 논란
8. 여담



1. 개요[편집]


파일:원주시외버스터미널 정면.png
원주종합버스터미널 정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원대로 171 (단계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 2009년 7월 22일에 이곳으로 이전했다.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교통의 요지 중 하나로, 사실상 영서권·영동권의 수요를 바탕으로 전국의 130여개 도시와 지역에 연결되어 있어 중부지역 최대 터미널이다. 강원도민이 수도권으로 이동하거나, 군입대·휴가 등을 목적으로 이동할 경우 이 곳을 많이 들른다. 동신운수동부고속이 통합에 합의하면서 2022년 12월 13일 원주종합버스터미널로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2. 상세[편집]


중앙고속도로 남원주IC와 가까운 곳에 있다. 우산동 시절에는 시외버스들이 원주IC 혹은 남원주IC(영남권 노선)로 진출입했으며, 현재의 위치가 중앙고속도로에서 훨씬 가깝고 대부분의 중앙고속도로 진입 시외버스 노선들이 남원주IC를 통해 터미널을 오고간다. 그러나 고속버스들은 바로 앞에 있는 남원주IC를 이용하지 않고 대부분 문막읍(서울, 진주, 광주광역시, 인천) 및 우산동(강릉)에서 중간 승하차하기 때문에, 동대구행과 춘천, 제천 방면만 남원주IC를 이용한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방(인제, 홍천 등지)으로 가는 시외버스들이 이 터미널로 들어와서 중간 승하차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 중이며, 원주 착발 노선도 있다. 참고로 원주에서는 국도 기준으로 홍천까지 1시간, 원통(인제)까지 2시간 걸린다. 특히 강원도에서 지역으로 가는 버스 노선은 영서 지역의 대표적인 영남권 환승 허브인 홍천터미널로 가는 노선이 없고, 원주/강릉착발 노선으로 있기 때문에 마창 쪽으로 가고 싶다면 홍천에서 헛걸음질치지 말아야 한다. 2016년에는 제천 경유 김해행이 추가되어 경남방면 목적지 폭이 확대됐다. 서부경남권은 99% 확률로 동서울터미널 환승 확정.

2022년 12월 13일 이후로 기존 원주고속버스터미널과 통합되어 원주종합버스터미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역사[편집]



3.1. 시외버스터미널[편집]


본래는 1950년대부터 1973년까지 미승인으로 중앙동 근방에 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1]

파일:구 원주시외버스터미널.jpg
구 우산동 시외버스터미널
정식으로 우산동 87, 상지대학교 인근에 개업하여 2009년까지 운영하였다. 그 당시에도 중앙선 원주역(학성동)과 더불어 원주시의 시외 대중교통을 책임지는 시설이었다.

그러나 터미널이 좁아진 데다가 노후화 때문에 이전 이야기가 나왔으나 한동안 이전이 지연되었고, 2009년이 돼서야 우산동에서 단계동으로 신축 이전을 완료했다. 시외버스 터미널 바로 옆에는 이전하기 전에 완성된 원주고속버스터미널이 존재한다.


3.2. 고속버스터미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원주고속버스터미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주고속버스터미널 역시 우산동에 위치했었다. 2002년단계동으로 이전했는데, 시외버스터미널보다 7년 앞서 이전하여 이원화된 상태로 운영되었다.

그리고 2022년 3월 동부고속 터미널 부지를 매각했다. 이는 곧 동년 12월 13일에 고속, 시외버스터미널이 통합된 근본적인 이유다. 꾸준히 논의되었던 안건이었지만 매각 후 재개발을 이유로 퇴거를 요청하자 급한 불을 끄려던 원주시의 제안으로 통합 수순을 밟았다.

자세한 내용은 원주고속버스터미널 참고.


3.3. 통합[편집]


2022. 12. 13 [원주MBC] 원주 종합버스터미널 오늘부터 운영 돌입
원주종합버스터미널 개통식이 2022년 12월 13일 13시 30분 단계동 터미널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와 원강수 원주시장, 송기헌 국회의원, 최미옥 시의회 부의장, 지역 내 기관·단체장과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3.4. 운행노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원주종합버스터미널/운행노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승차장[편집]


승차장행선지
1번 홈서울경부
2번 홈동서울
3번 홈상봉동(망우역), 부천, 안양호계, 안양, 의왕고천, 구리, 의정부
4번 홈인천, 안산, 성남
5번 홈우만동, 수원, 용인, 고양
6번 홈부발, 능서, 이천, 평택(오산, 송탄), 여주, 광주(경기), 하남
7번 홈춘천(원주공항, 횡성, 홍천), 속초(인제), 양구
8번 홈춘천(무정차)
9번 홈강릉(무정차), 삼척, 동해, 마산, 창원, 장평, 진부, 횡계, 대화, 평창, 정선
10번 홈광주(유•스퀘어) / 영주, 구미, 안동, 대구(북,서,동), 인천공항, 김포공항
11번 홈제천, 영월, 태백, 사북, 고한, 주천, 구인사
12번 홈둔내, 서석
13~16번 홈하차장
17번 홈대전, 청주, 충주
18번 홈부산, 울산, 포항, 경주, 전주, 유성, 세종시, 순천, 김해, 천안, 온양, 논산

5. 중간정류소[편집]




6. 교통[편집]



6.1. 자가용/택시[편집]


W-CITY(터미널) 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30분 800원
주차장 추가요금10분당 300원씩
하루 주차요금10,000원
숙박 주차문의 요망
월주차주간 / 야간 : 70,000원
주차 관제실 033-738-9933

단계택지 노상 공영 주차장
주차장 기본요금30분 600원
주차장 추가요금10분당 300원씩
운영시간08:00~20:00
무료주차주말 및 공휴일
월주차불가능
교통행정과 주차관리팀 033-737-3543

파일:원주시 CI_White.svg원주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3,800원(2km)
추가(병산제) 100원(33초/133m)
할증 20%(야간/시외)/거리운임 100%


6.2. 시내버스[편집]


파일:원주시 CI_White.svg원주시 시내버스
노선번호종별기점중간 경유지종점배차간격
2-1외곽관설동롯데시네마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단계사거리ㆍ태장2동ㆍ장양리ㆍ원주공항횡성28분, 33회
3순환장양리상지대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옛원주역ㆍ중앙시장ㆍ원주여중ㆍ의료원ㆍ성일Aㆍ반곡아이파크ㆍ중앙시장ㆍ현충탑장양리25~30분
3-1순환장양리상지대입구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옛원주역ㆍ중앙시장ㆍ의료원ㆍ학성초장양리6회
4순환장양리현충탑ㆍ중앙시장ㆍ반곡아이파크ㆍ성일Aㆍ의료원ㆍ원주여중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상지대장양리37분
4-1순환장양리KGC원주공장ㆍ태장초교ㆍ반곡아이파크ㆍ청솔4차ㆍ의료원ㆍ종합운동장ㆍ미로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상지대장양리160분
5-2왕복관설동혁신도시ㆍ원주여고ㆍ남부시장ㆍ중앙시장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무실동우미린A8회
6왕복관설동혁신도시ㆍ원주고ㆍ원주여중ㆍ시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중앙시장ㆍ과학고태장주공4차50분
7왕복관설동혁신도시ㆍ박경리문학공원ㆍ남원주중ㆍ법원ㆍ시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중앙시장ㆍ과학고태장주공4차9.5회
8왕복관설동치악고ㆍ롯데시네마ㆍ법원ㆍ원주시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원주여고성문사입구9~19회
10왕복관설동치악고ㆍ원주의료원ㆍ중앙시장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단계삼익.e편한세상Aㆍ한라비발디한라비발디1일6회
13왕복장양리태장2동ㆍ상지대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법원ㆍ건보공단ㆍ(원주여고)ㆍ건영Aㆍ원주공고성문사입구33분
16순환장양리태장2동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치악고ㆍ푸른숨Aㆍ원주여고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태장2동장양리20분
16-1순환장양리롯데시네마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단계사거리ㆍ태장2동ㆍ장양리ㆍ원주공항장양리20분
18왕복관설동혁신도시ㆍ원주여고ㆍ치악체육관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무실동ㆍ원주역한라대24회
19왕복관설동원주고ㆍ중앙시장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세영리첼ㆍ무실동ㆍ원주역한라대24회
30외곽장양리태장2동ㆍ상지대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시청ㆍ이마트ㆍ흥업연세대70분
31외곽장양리태장2동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중앙시장ㆍ의료원ㆍ강릉원주대ㆍ연세대귀래ㆍ운남ㆍ용암40분[2]
34외곽장양리태장2동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중앙시장ㆍ의료원ㆍ강릉원주대ㆍ연세대연세대ㆍ회촌15분
34-1외곽장양리태장2동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중앙시장ㆍ의료원ㆍ원주역ㆍ연세대연세대ㆍ회촌40분
41-2외곽관설동롯데시네마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우산철교ㆍ태장2동주민센터ㆍ소초면사무소구룡사4회[3]
51외곽관설동치악고ㆍ의료원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만종초교ㆍ동화리ㆍ건등리문막읍30분[4]
51-1외곽관설동치악고ㆍ의료원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만종역ㆍ문막읍사무소ㆍ문막소방서문막읍17.5회[5]
52외곽관설동원주여고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만종 ㆍ 기업도시 ㆍ 서원주역간현3회
52-1외곽관설동치악고ㆍ원주의료원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신평2리ㆍ기업도시기업사거리15~25회
55외곽관설동치악고ㆍ의료원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문막ㆍ경동대부론76분
55-1외곽관설동치악고ㆍ의료원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문막ㆍ경동대부론3,5회
56외곽관설동치악고ㆍ의료원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질마재ㆍ가곡리월송리3회
57[6]외곽관설동치악고ㆍ의료원ㆍ중앙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지정면사무소ㆍ기업도시ㆍ서원주역ㆍ하구현상구현3회
58[7]외곽관설동치악고ㆍ남부시장ㆍ옛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동화리ㆍ지정면사무소ㆍ서원주역ㆍ삼산3리양동역2회
59외곽관설동치악고ㆍ치악체육관ㆍ 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경동대(교내 회차)ㆍ종합운동장ㆍ영서고경동대70분
90외곽장양리태장2동ㆍ중앙시장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시청ㆍ대성중고ㆍ원주역한라대40분
100왕복관설동혁신도시ㆍ단구동ㆍ치악예술관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단계동ㆍ만종초ㆍ신평사거리기업도시10.5회
100-2왕복중흥S클래스혁신도시 ㆍ원주여고ㆍ원주고ㆍ중앙시장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무실동ㆍ서부순환도로ㆍ신평사거리기업도시15회
111급행중흥2단지(푸른숨LH3단지)건강보험심사평가원 ㆍ원주여고ㆍ한신1차아파트ㆍ원주역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만종역ㆍ롯데캐슬2차기업도시20회

파일:원주시 CI_White.svg원주시 누리버스
노선번호종별기점중간 경유지종점배차간격
조조누리버스태장주공4차태장주공4차Aㆍ성호A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ㆍ우산공단ㆍ장양초교태장농공단지1일1회(평일)
9번누리버스광터회관광터사거리ㆍ사제2리ㆍ무실초교ㆍ코오롱Aㆍ원주종합버스터미널원주터미널6.5회


7. 논란[편집]


원주시에서 터미널 문제는 꾸준이 제기됐다. 우산동에 있던 원주 고속·시외버스 터미널을 현재 단계동으로 이전하는 사업은, 1994년 동부고속동신운수가 원주시로부터 터미널 부지를 매입하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고속버스터미널은 2002년, 시외버스터미널은 2009년에야 이전했는데 부지매입부터 이전까지 각각 8년, 15년이 걸린 것. 이 때 터미널의 거리가 멀어 시민들이 겪는 불편도 적지 않았다.

결국에는 원주시로부터 공공목적의 터미널 부지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매입한 동부고속이, 경영난 속에 시와 상의도 없이 올해 초 터미널 부지를 매각했다. 즉, 공적인 터미널의 역할이 이윤을 최우선으로 하는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면서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로서 부지 매각을 막을 방법이 없어 보호장치 마련하거나 터미널 공영화등이 검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외에도 터미널 시설은 꾸준히 리모델링을 하는 것 같으나 오래 걸리는데다 갈수록 입점해있는 업체가 줄고 있다. 무엇때문인지 CGV 원주는 잘되고 있다. "임대료에 비해 실속없는 크기 때문이다", "터미널 내부가 깔끔하지 않다", "운영사 문제" 라는 등 이런저런 얘기가 나오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


8. 여담[편집]


  • 유동인구가 많은 터미널 및 역에 이상한 것들 특히 사이비종교 포교단을 만나면 무시해야 한다. 특히 터미널앞 횡단보도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 어디선가 나타나서 수작을 걸 때가 있으니 주의. 다만 이는 원주만의 문제는 아니며,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전국, 아니 전세계의 교통시설 거의 모두가 해당한다.
  • 터미널 안에는 '천원만'이라 불리는 유명한 사람이 있다. 오래전부터 드문드문 출몰중인데 원주시내 사람들 사이에서는 꽤나 유명하다.
  • 지도 앱으로 터미널을 찍어보면 ㄴ자 형태의 터미널 건물에서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이 다르게 나오는데, 실제로는 큰길 바로앞의 문을 열고 들어가면 복합터미널 대합실이 나오고, 왼편으로 나가면 승하차장이 나온다. 바로 앞은 고속버스 승차장이며 중간 지역이 하차장이고 끝까지 걸어가야 시외버스 승차장이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9:41:09에 나무위키 원주종합버스터미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주 토착주민의 증언으로 따져보면, 원주에서 가장 오래된 연흥식당 앞 주차장아니면 원주MBC주변으로 추측되고 있다.[2] 한라대(17회), 흥대(4회)[3] 휴일 전용 노선으로서, 평일·토요일에는 41번이 1일 15.5회 운행되지만 일요일·공휴일에는 41번 11.5회, 41-2번 4회로 쪼개져 운행되는 방식이다.[4] 평균 30분(평일)/평균 41분(토요일)/평균 50분(일,공휴일), 33회(평일)/24회(토요일)/20회(일,공휴일)[5] 17.5회(평일), 1일 13회(토요일), 1일 7.5회(일,공휴일)[6] 수도권 진입버스[7] 수도권 진입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