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치원/지역별 현황

덤프버전 :

분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치원

1. 개요
8. 시도별 공/사립유치원 수
8.1. 시군구별 공/사립유치원 수


1. 개요[편집]


지역별 최초의 유치원들 및 현황.

  • 특별시광역시의 자치구를 모두 적기에는 너무 많으므로, 다른 도에서 편입된 군이 아닌 자치구는 모두 특별시와 광역시로 통합한다.
  • 같은 해에 여러 개의 시군에서 유치원이 설립된 경우, 도별로 최초 설립된 1개의 군에만 연도 링크를 단다.
  • 유치원 이전으로 인한 주소지 변동은 해당 지역 최초의 유치원으로 인정하지 않고 처음 설립된 지역만 인정한다.


2. 수도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유치원/지역별 현황/수도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관동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유치원/지역별 현황/관동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호서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유치원/지역별 현황/호서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호남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유치원/지역별 현황/호남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영남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유치원/지역별 현황/영남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제주권[편집]


제주도는 부산광역시 영도 다음으로 유치원이 일찍 들어온 섬이다. 현재 제주도에는 공립유치원이 96곳, 사립유치원이 22곳 있다.


7.1. 제주시[편집]


1924년 지금의 제주시 일도이동에 성내교회 부설로 설립된 중앙유치원이 최초이다. 제주도가 전라남도 제주도였던 시절에 세워졌으며, 제주도 최초의 유치원이자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유치원이다.[1] 구제주에 있으며, 정확한 소재지는 제주시 일도2동[2]이다. 1918년~1920년생이 첫 원생이었는데, 첫 번째 졸업생들은 대부분 사망했고, 살아 있더라도 105~106세이다. 중앙유치원은 현재 역사가 100주년이나 되었다. 당시 원생들은 지금의 제주시 일도일동, 일도이동, 건입동, 이도일동, 이도이동, 용담동, 삼도일동, 삼도이동, 오라일동, 오라이동, 오라삼동에 살았고 거의 대부분이 외국어 수준으로 매우 심한 제주어를 사용했다.[3]

한편, 애월읍 정도를 제외하면 제주시에서도 시골인 지역이 제법 남아 있는 옛 북제주군 지역[4]에는 중앙유치원을 설립한 지 55년이 지난 1979년에야 유치원이 설립됐다. 그 전에는 북제주군 지역에 살던 아이들이 제주시의 유치원으로, 신제주에 살던 아이들이 구제주의 유치원으로 원정 통학을 했는데, 주로 애월읍[5]이나 조천읍[6]에 살던 아이들이 그렇게 원정 통학을 했고[7], 구좌읍[8], 한림읍[9], 한경면[10], 추자면[11], 우도면[12]은 제주시와의 거리가 멀고 제주 시내로 향하는 교통편이 부실해서 원정 통학을 하는 수가 많지 않았다. 제주도에는 철도가 없는[13] 탓에 당시 원정 통학을 하던 아이들은 모두 버스를 타고 갔다고 한다.[14]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이면 전국에 공립유치원 열풍이 불던 시기였다.[15] 이후에도 병설유치원들이 생겨남으로써 제주시의 공립유치원 수는 2019년 현재 57곳이 되었다. 신제주 지역[16] 역시 유치원이 늦게 들어온 편이다. 그나마 분당신도시보다는 빠른 편.


지리적인 이유로 태풍에 의한 휴원이 상대적으로 잦다.

사립유치원은 17곳(시내 15곳, 한림읍 2곳) 있다. 또한 제주도에 중국인과 수도권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늘면서 제주시 유치원에 중국인 원아나, 수도권의 유치원을 다니다가 제주로 이사 오면서 중간에 들어온 원아가 있는 경우도 있을 정도이다. 1960년대 20만 5,210명이던 인구가 2021년 49만 2,466명으로 늘면서[17], 유치원도 같이 늘었다.

과거에는 원생과 교사들이 대부분 제주어를 사용했으나, 표준어 보급과 외지인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제주어 억양은 많이 희석되었다. 오죽하면 스펀지에서 ‘사투리를 사용하는 아이들도 소꿉놀이를 할 때는 표준어를 사용한다’는 문제도 냈을 정도. 현재 제주시의 유치원에서는 교사들은 주로 표준어를 쓰고, 원생들은 제주어가 섞인 표준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 제주어를 사용하는 원생이 보인다.[18] 다만, 중앙유치원을 다녔다는 어르신들은 거의 외국어 수준의 제주어를 사용했다. 이런 사람들은 거의 80대를 넘은 사람들이다. 이런 이유로 이들은 젊은 시절에 다른 지역 사람과 대화하다가 사투리가 심해 말이 통하지 않으면 일본어로 대화하기도 했다고 한다.

제주도의 성씨 분포 특성상 제주시의 유치원에서는 박씨, 최씨보다 고씨[19]들을 더 보기 쉽다. 실제 제주도에서 유치원을 다닌 사람 중에는 자신이 유치원을 다니는 동안 자신의 담임교사가 모두 고씨였다는 말을 할 정도이다. 고씨 외에도 강씨[20], 변씨[21], 부씨[22], 좌씨[23], 현씨[24] 성을 가진 원생들이 상대적으로 많다고 한다. 실제 제주도 상위 10개 성씨는 김, 이, 고, 강(姜), 박, 양, 오, 문, 정, 강(康)씨인 셈. 심지어 제주도의 일부 유치원은 고씨가 김씨보다 많은 반도 있다.

축구선수 지동원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25] 제주도 최초의 금메달리스트인 야구선수 강민호 역시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26]

7.2. 서귀포시[편집]


1935년 전라남도 제주도 대정면 하모리[27] 소재의 모슬포교회 부설로 세워진 모슬포유치원이 최초이다. 제주도민에 의해 설립된 유치원이며, 역시 제주도가 전라남도 소속이었던 시절에 세워졌다. 첫 졸업생들은 벌써 90세에 가까워졌고, 현재 상태는 불명이다. 서귀포에서 유치원을 다닌 최초의 원생들은 1929년~1931년생으로, 첫 졸업생은 현재 살아 있다면 94~95세이다.

특이하게 시내보다 대정읍에 먼저 유치원이 들어왔는데, 당시 서귀포 시내 (옛 서귀읍[28]+중문면[29], 1935년 이전에는 서귀읍이 우면, 중문면이 좌면이었다.)보다 대정읍이 더 발전된 곳이었기 때문이다.[30] 그로 인해 지금의 서귀포 시내에는 유치원이 늦게 들어온 것이고, 남원읍[31], 표선면[32], 성산읍[33], 안덕면[34]에는 전국적인 공립유치원 붐이 일고 나서야[35] 유치원이 들어왔다.

  • 옛 서귀포시 지역: 1967년 해성유치원. 시내 최초의 유치원으로, 서귀포시가 아직 제주도 남제주군 서귀읍이었던 시절에 송산동[36]천주교 제주교구 서귀복자성당 부설로 설립되었다. 첫 입학생은 1961년~1963년생이고, 첫 졸업생이 현재 62~63세이다.
  • 옛 중문면 지역: 1981년 예래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첫 입학생은 1975년~1977년생이고, 첫 졸업생이 현재 48~49세이다.

지리적 특성상 태풍으로 인한 휴원이 잦은 편이다.[37] 관광지 천국인 서귀포시의 특성상 지역 유치원에서는 해당 지역의 관광지들로 소풍을 간다.

서귀포시에 있는 예원유치원은 국내 최남단 사립유치원이고, 국내 최남단 유치원이자 국내 최남단 공립유치원은 마라도[38]에 있는 가파초등학교 마라분교장 병설유치원이다. 참고로 서귀포시는 2002 한일 월드컵의 경기장이 있는 도시들 중 유치원이 가장 늦게 들어왔다. 2002 한일 월드컵 경기장이 있는 도시들을 유치원 설립 순서대로 나열하면 부산 (1897년), 서울 (1900년), 인천 (1900년), 대구 (1910년), 대전 (1913년), 광주 (1920년), 전주 (1921년), 수원 (1928년), 울산 (1930년), 서귀포 (1935년)이라 한일월드컵 경기장이 있는 도시들 중 서귀포가 유치원 교육의 혜택을 가장 늦게 받은 도시가 된다.[39] 그나마 월드컵 경기장을 유치하려고 했다가 탈락한 도시인 부천 (1962년)보다는 빠르다.

사립유치원은 5곳 있는데, 서귀포시의 사립유치원은 시내에만 몰려 있지 않고 안덕면, 남원읍, 성산읍 등 다양한 지역에 분산되어 있다. 1960년대 13만 1,839명이던 인구가 2021년 18만 2,169명으로 늘면서[40], 유치원도 같이 늘었다.

제주도 지역 특성상 제주도 출신자들은 유치원 시절 통학버스에서 봤던 자동차 번호판들 중 대부분이 하•허•호 등 렌터카 기호를 달고 있었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다만, 유명인들의 유치원 시절에는 렌터카 용도기호가 '허' 하나뿐이라 유치원 시절 길거리에서 본 자동차들 중 대부분이 '허'를 달고 있었던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어촌이었다가 도시로 바뀐 지역 특성상 이 지역 유치원생들은 대부분 어민의 자녀였으나 도시화와 함께 원생들의 학부모의 직업이 다양해졌다. 또한 수도권에서 서귀포로 오는 경우도 생기면서 수도권의 유치원을 다니다가 중간에 들어온 원생도 있을 정도이다. 역시 제주도의 성씨 분포 특성상 원생과 교사들의 성씨 중 김씨, 이씨 다음으로 많은 성이 고씨일 정도이다. 어느 정도냐면, 제주도의 유치원에 박씨가 1명 있으면 고씨는 5~6명일 정도. 또한 현씨가 최씨보다 많다. 이는 서귀포시의 성씨 순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서귀포시 상위 10개 성씨는 김-이-오-고-강(康)-강(姜)-박-양-현-정씨 순서이며 최씨는 13위에 머물러 있다. 이는 제주 고씨가 제주도에 많은 집성촌을 가지고 있기 때문. 또한 부씨와 좌씨도 상대적으로 많은 편인데 부씨는 제주 부씨, 좌씨는 제주 좌씨 하나뿐이기 때문.

축구선수 오장은이 이 곳에서 유치원을 다녔다고 한다.

2021년 5월 1일 효돈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아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5월 3일부터 14일까지 원격수업으로 전환되었고 7월 7일에는 서귀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아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8. 시도별 공/사립유치원 수[편집]


지역국립 (개원)공립 (개원)사립 (개원)비고
서울특별시0236594매입형 유치원 있음
부산광역시0102306
대구광역시0119244개방형 사립유치원 있음, 군위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인천광역시0169234계양신도시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예정
광주광역시0130182
대전광역시099161
울산광역시0891112022년 공립과 사립의 비율 역전
세종특별자치시05732012년 이후 공립유치원만 설립
경기도01,2001,037교산신도시, 왕숙신도시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예정
강원특별자치도1266101태백시, 속초시,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평창군, 고성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충청북도124582단양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충청남도1370128서천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전라북도0362157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전라남도0432110강진군, 곡성군, 신안군, 함평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경상북도0462237영덕군, 청송군, 울진군, 영양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경상남도0417269의령군,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고성군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제주특별자치도010122
전국34,8563,978

8.1. 시군구별 공/사립유치원 수[편집]


시/도시/군/구인구 (명)첫 유치원 설립 연도국•공립 (개원)사립 (개원)비고
서울특별시종로구150,9361913년512
서울특별시중구126,1261900년4101910년 한국인 유치원 설립
서울특별시용산구229,3691915년49
서울특별시성동구298,2491966년1317
서울특별시광진구350,0161966년627
서울특별시동대문구345,7931961년824
서울특별시중랑구395,0721982년922
서울특별시성북구442,1741964년1534
서울특별시강북구312,6911973년515
서울특별시도봉구330,7071980년421
서울특별시노원구530,3021959년1154
서울특별시은평구477,9731962년1427
서울특별시서대문구312,8091963년520한성화교유치원 소재
서울특별시마포구374,4261961년912서울일본인유치원 소재
서울특별시양천구457,1321976년1329
서울특별시강서구588,2811973년1640서울에서 공립유치원이 가장 많은 구
서울특별시구로구405,2711974년1322
서울특별시금천구232,3961977년712
서울특별시영등포구372,2251927년1028
서울특별시동작구394,9881955년924
서울특별시관악구498,9781972년1320전국 최초 매입형 유치원 개원
서울특별시서초구429,7291980년1017
서울특별시강남구543,2401972년1523
서울특별시송파구672,9621965년1435
서울특별시강동구455,0421956년1023
부산광역시중구41,7141897년13전국 최초로 유치원이 들어온 지역, 전국에서 유치원이 가장 적은 기초자치단체
부산광역시서구107,7221923년36
부산광역시동구89,6731921년54부산광역시에서 공립유치원이 사립유치원보다 많은 구
부산광역시영도구115,6451921년39
부산광역시부산진구356,9781933년935
부산광역시동래구272,5701927년426
부산광역시남구271,6741938년621
부산광역시북구289,0591929년1228
부산광역시해운대구405,2681939년731
부산광역시사하구318,1961929년834
부산광역시금정구236,9741983년523
부산광역시강서구131,2351923년1110부산광역시에서 공립유치원이 사립유치원보다 많은 구
부산광역시연제구210,0861962년6121995년 동래구에서 분리
부산광역시수영구176,9841941년5171995년 남구에서 분리
부산광역시사상구216,5071947년5261995년 북구에서 분리
부산광역시기장군168,1321981년1818사립유치원이 3번째로 많은 군
대구광역시중구76,9551910년661921년 한국인 유치원 설립
대구광역시남구147,9051964년114
대구광역시동구343,5681965년2137
대구광역시서구173,8071948년1310대구광역시에서 공립유치원이 사립유치원보다 많은 유일한 구
대구광역시북구436,8631965년2152칠곡지구에는 1978년에 유치원 설립 (당시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
대구광역시수성구428,1251978년1039
대구광역시달서구567,3751979년1959
대구광역시달성군256,9251981년20271995년 경상북도에서 편입, 사립유치원이 가장 많은 군
대구광역시군위군23,5341981년802023년 경상북도에서 편입, 산성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인천광역시중구137,9941900년107인천광역시에서 공립유치원이 사립유치원보다 많은 유일한 구, 영종도는 1981년 유치원 설립 (당시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인천광역시동구63,8661917년66
인천광역시미추홀구406,6901968년12312018년 남구에서 명칭 변경
인천광역시연수구371,3961982년1429
인천광역시남동구531,5261976년2850
인천광역시부평구505,2361970년2641
인천광역시계양구300,8851981년1522계양신도시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인천광역시서구543,9941981년3940
인천광역시강화군69,0301926년1631995년 경기도에서 편입
인천광역시옹진군20,3551963년821995년 경기도에서 편입, 국내 최서단 유치원 있음
광주광역시동구98,6221920년108광주광역시에서 공립유치원이 사립유치원보다 많은 유일한 구
광주광역시서구300,0931981년2331
광주광역시남구217,5431970년1726
광주광역시북구433,0571978년4158
광주광역시광산구406,7811981년41481988년 전라남도에서 편입
대전광역시동구225,0941913년15191929년 한국인 유치원 설립
대전광역시중구239,3611956년1529
대전광역시서구481,3041956년2553
대전광역시대덕구175,4521981년1218
대전광역시유성구350,4591981년3441
울산광역시중구221,2251930년1719
울산광역시남구323,2301980년1925
울산광역시동구158,3231974년1114
울산광역시북구218,3641974년1728
울산광역시울주군223,0561954년2524사립유치원이 2번째로 많은 군
세종특별자치시세종시345,2161970년573전국에서 사립유치원이 가장 적은 광역자치단체, 2012년 이후 설립된 모든 유치원은 공립
경기도수원시1,192,6221928년93981988년 일반구 설치, 현재 권선구장안구팔달구영통구 4개 구.
경기도의정부시454,2221954년3428
경기도성남시941,5271970년52751989년 수정구중원구 설치, 1991년 분당구 설치. 사립유치원은 대체로 분당구에 있음
경기도부천시826,8451962년5075대장신도시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경기도안양시561,0691956년32481992년 동안구만안구 설치, 사립유치원은 대체로 동안구에 있음
경기도광명시315,7451976년2622
경기도동두천시94,1911962년117
경기도평택시520,6491960년6446
경기도구리시199,0181982년1713
경기도과천시59,6871981년43과천지구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경기도안산시653,5751978년40542002년 상록구단원구 설치
경기도남양주시706,0691981년66441995년 미금시•남양주군 통합, 왕숙신도시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경기도군포시275,9541981년23271989년 시흥군 군포읍이 분리 승격
경기도의왕시164,7011981년12111989년 시흥군 의왕읍이 분리 승격
경기도시흥시478,4641981년4430
경기도오산시227,5501977년26241989년 화성군 오산읍이 분리 승격
경기도하남시279,6211970년2691989년 광주군 동부읍, 서부면, 중부면 상산곡리가 분리, 교산신도시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경기도고양시1,074,8531965년691041996년 일산구덕양구 설치, 2005년 일산구를 일산동구일산서구로, 2020년 덕양구를 덕양남구덕양북구로 분리, 경기도 북부에서 유일하게 사립유치원이 공립유치원보다 더 많은 지역, 전국에서 사립유치원이 가장 많은 기초자치단체, 창릉신도시에는 공립유치원만 설립
경기도용인시1,068,5191965년98702005년 기흥구처인구수지구 설치, 2020년 이후 구성구 분구[41], 사립유치원은 대체로 기흥구와 수지구에 있음
경기도이천시216,8441925년3120
경기도파주시455,2621966년5741
경기도안성시184,2111925년3516
경기도김포시445,4251944년4545
경기도화성시831,8881980년10366전국에서 공립유치원이 가장 많은 기초자치단체
경기도광주시375,5611978년2715
경기도양주시224,5241981년3216
경기도포천시148,1441957년2310
경기도여주시111,1981924년2410
경기도연천군43,6181966년112연천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왕징면, 중면, 장남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기도가평군62,3971965년133가평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경기도양평군117,3011972년223
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281,4921923년23201995년 춘성군 통합, 남면에는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기관 없음
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351,4211916년37331995년 원성군 통합, 국립유치원 있음
강원특별자치도강릉시213,0371923년26101995년 명주군 통합
강원특별자치도속초시81,7131939년801963년 양양군에서 분리, 2023년 시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강원특별자치도동해시90,2331954년89강원특별자치도에서 유일하게 사립유치원이 공립유치원보다 더 많은 지역
강원특별자치도태백시43,2511960년902022년 시내 모든 사립유치원 폐원 또는 무기한 휴원
강원특별자치도삼척시65,8871926년1251995년 삼척군 통합, 노곡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강원특별자치도홍천군68,6881927년224
강원특별자치도횡성군46,2321919년112
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38,7621925년122
강원특별자치도평창군41,7581924년1402021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휴원
강원특별자치도정선군37,0361922년141
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45,0931925년131김화군 지역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강원특별자치도화천군24,6271921년100화천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2018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강원특별자치도양구군22,3751924년901996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강원특별자치도인제군31,5061966년1402021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휴원
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26,9591929년100간성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국내 최북단 유치원 있음, 2023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강원특별자치도양양군27,7101953년1411963년 속초시 분리
충청북도청주시840,9381929년87441995년 상당구흥덕구 설치, 2014년 청원군 통합 후 청원구서원구 설치
충청북도충주시210,1881922년33111995년 중원군 통합
충청북도제천시133,6881924년23121995년 제원군 통합
충청북도보은군32,6991972년151
충청북도옥천군50,7781977년134
충청북도영동군47,9631957년122
충청북도진천군81,4831980년142
충청북도증평군37,3201955년412003년 괴산군에서 분리
충청북도괴산군37,6941979년1412003년 증평군 분리
충청북도음성군94,4611977년204음성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충청북도단양군29,4511981년1102009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충청남도천안시654,2511922년58541995년 천원군 통합, 2008년 동남구서북구 설치, 동남구에는 공립유치원이, 서북구에는 사립유치원이 상대적으로 많음
충청남도공주시105,7431912년2861995년 공주군 통합
충청남도보령시100,6461932년3031995년 대천시보령군 통합
충청남도아산시313,7571956년37231995년 온양시아산군 통합
충청남도서산시174,6451937년29101995년 서산군 통합
충청남도논산시118,0321921년2842003년 계룡시 분리
충청남도계룡시42,7571981년352003년 논산시에서 분리, 충청남도에서 유일하게 사립유치원이 공립유치원보다 더 많은 지역
충청남도당진시166,1361956년305
충청남도금산군51,7811953년1511963년 전라북도에서 편입
충청남도부여군66,2141979년234
충청남도서천군52,3741952년180인구 감소로 사립유치원 무기한 휴원 중, 사립유치원 없는 군 중 인구 1위
충청남도홍성군99,9731920년205
충청남도예산군78,7261927년224
충청남도청양군31,1391929년112
충청남도태안군62,2831981년1911989년 서산군에서 분리
전라북도전주시655,7131921년46691989년 덕진구완산구 설치,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사립유치원이 공립유치원보다 많은 지역
전라북도군산시268,6671909년41261995년 옥구군 통합, 1916년 한국인 유치원 설립
전라북도익산시285,2551950년53271995년 이리시익산군 통합
전라북도정읍시109,7631953년3271995년 정주시정읍군 통합
전라북도남원시81,1701941년2621995년 남원군 통합
전라북도김제시83,3911956년3551995년 김제군 통합
전라북도완주군91,9761979년298용진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전라북도진안군25,5481957년1202008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상전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전라북도무주군24,1271973년90군내 유일의 사립유치원이 어린이집으로 전환
전라북도장수군22,2771981년80
전라북도임실군27,8951981년140
전라북도순창군28,1241981년150
전라북도부안군52,6921953년223
전라북도고창군55,0211970년202
전라남도목포시228,9161921년33211923년 한국인 유치원 설립
전라남도여수시281,6041945년53201998년 여수시•여천시여천군 통합
전라남도순천시281,3491924년39221995년 승주군 통합
전라남도나주시62,5101948년2461995년 나주시•나주군 통합
전라남도광양시151,7511950년26111995년 동광양시광양군 통합
전라남도담양군46,1221932년141
전라남도곡성군28,4551980년80겸면, 목사동면, 오곡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전라남도구례군25,8751978년111
전라남도고흥군64,4071926년182
전라남도보성군41,1351932년172웅치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전라남도화순군62,5101978년163
전라남도장흥군38,2251946년142
전라남도강진군35,0541929년140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은 무기한 휴원 상태
전라남도해남군69,6491946년192
전라남도영암군54,2291965년153영암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전라남도무안군81,4121979년1821969년 신안군 분리, 무안읍에는 사립유치원 없음
전라남도함평군32,5191945년1112020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전라남도영광군53,5391930년132
전라남도장성군45,3251966년133
전라남도완도군50,3511945년222
전라남도진도군30,5111964년122
전라남도신안군39,7451981년2201969년 무안군에서 분리
경상북도포항시505,2091922년60571995년 영일군 통합 후 남구북구 설치
경상북도김천시140,4181920년26111995년 금릉군 통합, 농소면, 남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북도경주시254,2251942년44171995년 경주시/군 통합
경상북도안동시159,0351948년3391995년 안동시/군 통합
경상북도구미시418,2051968년40631995년 선산군 통합
경상북도영주시104,4181960년1971995년 영풍군 통합
경상북도영천시101,8281951년2031995년 영천시/군 통합, 자양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북도상주시98,6441949년3051995년 상주시/군 통합, 화남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북도문경시71,3821950년1971995년 점촌시/문경군 통합
경상북도경산시266,3751954년29321995년 경산시/군 통합
경상북도의성군52,2361922년151단북면, 안사면, 사곡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북도청송군25,2911979년80
경상북도영양군16,8441969년702020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사립유치원 없는 군 중 인구 최저
경상북도영덕군36,8451924년100달산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2023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경상북도청도군42,6841963년113운문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북도고령군31,9101937년72
경상북도성주군43,6271951년141금수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북도칠곡군115,7801948년2111
경상북도예천군55,5721950년142개포면, 보문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북도봉화군31,8891969년161
경상북도울진군48,8341922년1601963년 강원도에서 편입, 인구 감소로 사립유치원은 모두 휴원 상태
경상북도울릉군9,2691974년51국내 최동단 유치원 있음
경상남도창원시1,041,5531926년941012010년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 통합 후 의창구성산구마산합포구마산회원구진해구 설치, 전국 최초로 사립유치원 원장이 유치원을 교육청에 기부, 비수도권에서 사립유치원이 가장 많은 기초자치단체, 전국에서 유치원이 가장 많은 기초자치단체 (195곳)
경상남도진주시347,5781916년31211995년 진양군 통합, 대평면에는 교육기관 없음
경상남도통영시130,2211911년19101995년 충무시/통영군 통합
경상남도사천시111,3651931년1281995년 삼천포시/사천군 통합
경상남도김해시542,9291929년48431995년 김해시/김해군 통합
경상남도밀양시105,2011910년1961995년 밀양시/군 통합 전국에서 유치원이 최초로 들어온 시
경상남도거제시247,4271949년30281953년 통영군에서 분리, 1989년 장승포읍이 장승포시 승격, 1995년 거제군장승포시 통합
경상남도양산시351,3831923년3038
경상남도의령군26,9791924년100일제강점기에 사립유치원이 있었으나 폐원
경상남도함안군64,9591945년146
경상남도창녕군61,8891976년173중고등학교 병설유치원 있음
경상남도고성군51,9181920년180사립유치원 없는 군 중 인구 2위, 인구 감소로 사립유치원이 무기한 휴원
경상남도남해군43,2231979년1002008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경상남도하동군45,7531946년1501990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 폐원
경상남도산청군35,2231924년110일제강점기에 사립유치원이 있었으나 폐원
경상남도함양군39,3771930년111
경상남도거창군61,7001913년142전국에서 유치원이 최초로 들어온 군
경상남도합천군44,7021935년141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489,4661924년62172006년 북제주군 통합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181,1291935년3952006년 남제주군 통합, 국내 최남단 유치원 있음

9. 북한[편집]


1909년 함경북도 청진시에 설립된 나남유치원을 북한 지역 최초의 유치원으로 친다. 이는 서울대구[42]는 물론, 남한에 있는 웬만한 도시들에 비해서 상당히 유치원이 빨리 설립된 것이다. 첫 입학생은 1903년~1905년생이고, 첫 졸업생이 현재 살아 있다면 120~121세이다.

북한은 주체사상을 제외한 모든 종교가 금지돼 있어[43] 종교계 유치원은 아예 없다. 또한 모든 유치원이 국가 소유이다.

낮은반(4세)과 높은반(5세)으로 나뉜다. 북한의 일부 부모들은 아이가 4세 미만인데도 유치원에 입학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모두 낮은반으로 간다. 즉, 이 아이들은 낮은반 생활을 최소 1년 더 하는 셈이다. (높은반은 똑같이 1년) 교사에게 뇌물을 주면 나이가 되지 않아도 일찍 받아준다고 한다.

북한도 일본처럼 4월에 입학식을 하는데, 이 때문에 1~3월에 태어난 아이들은 전년도 4~12월에 태어난 아이들과 같은 해에 입학한다. 과거에는 9월 입학이었는데, 그 당시에는 1~8월에 태어난 아이들이 전년도 9~12월에 태어난 아이들과 같은 해에 입학했다.

높은반은 법제적으로는 의무교육에 들어간다. 다만 1974년까지는 높은반도 의무교육이 아니었다.[44] 낮은반은 노래, 춤, 놀이, 종이접기 등을 위주로 배우며, 높은반은 우리말(한글), 셈세기(수학), 체육,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의 어린 시절 등을 배운다. 체제 특성상 유치원에서부터 김씨조선과 북한 체제 등에 대한 세뇌 및 우상화 교육을 받는 것이다. 김부자 교과서 문서도 같이 참조하면 좋다.

유치원 교사 출신 탈북자의 증언에 따르면, 하루 수업시간 중에 3시간을 사상 교육에 할애하며, 김씨조선 일가의 생일 행사[45]에 유치원생까지 동원하고 있으며, 지도자 생일 행사를 위해 오랜 기간 연습한다고(…) 한다.

또한 북한의 모든 유치원에는 김씨 3대 연구실이 있고, 백두산 밀영[46]의 모형도 있는데, 김씨 일가에 대한 세뇌 및 우상화 교육에 이 백두산 밀영의 모형이 사용된다고 한다.

유치원에 입학하면서부터 전국적으로 통일된 제복(원복)을 입는데[47],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경제사정이 나빠져서 원복 무상 배급이 중단되면서 사복을 입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교사 출신 탈북자의 증언에 따르면, 2011년 이후로 건강상의 문제나 경제적·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유치원에 다니지 못하는 어린이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북한에도 명문 유치원이 존재한다. 이런 명문 유치원들은 수도인 평양에 있으며, 수업의 질도 당연히 좋다고 한다. 언론에 오르내리는 창광유치원과 경상유치원이 대표적인 북한의 명문 유치원이며, 경상유치원은 김정은이 2번이나 방문했던 곳이다. 특권층들은 아이를 명문 유치원에 보내려고 하고 있다.

여담으로 북한 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수업은 바로 전쟁수업(!!!)이라고 한다. 물론 현실을 생각해보면…[48] 발육 부진으로 인해 북한 유치원생들의 키는 한국 유치원생보다 작다.[49] 한국 유치원생의 평균이 110~120cm인데 북한 유치원생은 100cm 미만인 아이들이 더 많을 정도이다.

남한 유치원에 비해 계씨, 궁씨, 선우씨, 동씨, 독고씨, 동방씨, 승씨, 현씨, 탁씨 성을 가진 원생이 많은데, 이는 계씨, 궁씨, 독고씨, 동씨, 동방씨, 선우씨, 승씨, 현씨, 탁씨가 북한에 더 많이 살기 때문이다. 특히 계씨가 이런데, 상위 200여 개 성씨들 중 유독 북한 쏠림 현상이 심한 성씨가 계씨, 궁씨일 정도로 전체의 97%, 99%가 북한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50] 이는 과거에도 마찬가지라 1930~40년대 유치원에서 계씨, 동씨, 승씨, 현씨, 탁씨, 독고씨, 동방씨, 선우씨 성을 가진 원생은 북부 지방의 유치원에서 많이 볼 수 있었고 중부나 남부 지방에서는 이러한 성을 가진 원생을 보기 힘들었다. 특히 계씨와 선우씨는 평안도, 동씨는 함경도에 많이 살았으므로 해당 지역에서는 한 반에 이런 성을 가진 원생이 꼭 있다고 한다.

야구선수 백인천평안북도 철산군에서 유치원을 다닌 뒤 월남했다.[51] 이외 지성호, 유현주, 강나라 등은 북한에서 유치원을 다니고 탈북했다.
[1] 게다가 제주특별자치도보다 유치원이 늦게 들어온 광역자치단체도 2곳이나 있다. 울산광역시(1930년), 세종특별자치시(1970년)가 그 주인공이다. 심지어 청주시, 수원시보다도 빠르다. 제주도는 1924년, 청주시는 1929년, 수원시는 1928년에 유치원이 들어왔으니 이건 맞는 말이다. 다만, 1946년부터 1997년 6월까지 제주도는 유치원이 가장 늦게 들어온 광역자치단체였다.[2] 당시 전라남도 제주도 제주면. 제주면은 1931년에 제주읍으로, 1955년에는 제주시로 승격됐다. 이 때문에 제주도에 오래 사신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제주시(의 동 지역)를 이를 때 ‘시’라고만 부른다고 한다.[3] 현재도 일부 제주도 유치원생이 제주어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 시절의 유치원생보다는 강도가 많이 약해졌다. 거의 몇몇 단어들만 제주어 표현을 사용하는 수준.[4] 애월읍, 한림읍, 한경면, 추자면, 구좌읍, 조천읍, 우도면.[5] 인구 3만 6,333명으로 제주시의 읍면 가운데는 인구가 가장 많지만 (심지어 일도2동보다도 많다.) 이상하게 사립유치원은 없다. ‘애월’이라는 이름은 1935년 전라남도 제주도 신우면이 면 소재지 이름을 따서 개칭하면서 생겼다.[6] 인구 2만 4,937명으로 제주시의 읍면 중에서는 애월읍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읍인데도 사립유치원은 없다. ‘조천’이라는 이름은 1935년 전라남도 제주도 신좌면이 면 소재지 이름을 따서 개칭하면서 생겼다. 다만, 조천읍 동부는 그 지역의 가장 큰 마을인 함덕리에서 따 온 '함덕'이라고 많이 부르는 편.[7] 특히 애월읍 하귀리, 광령리와 조천읍 신촌리, 대흘리, 와흘리, 교래리는 아예 제주시 시내와 붙어 있다.[8] 별방진이 있는 그 곳이며, 인구는 1만 5,554명이다. 현지인들은 이 곳을 주로 ‘세화’라고 부르며 (구좌읍 서부는 그 지역에서 가장 큰 마을인 김녕리에서 유래한 '김녕'이라고 부른다.), 유치원은 1980년대에 들어왔다.[9] 한림공원이 있는 그 곳이다. 1935년 이전에는 구우면이었으나 개칭됐고, 1956년에 한경면을 분리했다. 흔히 한림이라고 하면 한림읍 한림리 일대를 뜻하며, 협재리 일대는 '협재'라고도 많이 불린다. 유치원은 1970년대에 들어왔으나, 인구가 2만 1,365명으로 늘면서 유치원도 많이 들어와 2019년 현재는 사립유치원이 있다.[10] 제주현대미술관이 있는 그 곳이며, 제주도 내에서도 상당히 시골이라 인구도 9,045명밖에 안 되고, 유치원도 늦게 들어왔다. 한경면 주민들은 자녀를 사립유치원을 보내고 싶으면 한림읍까지 가야 한다.[11] 제주시에서도 상태가 가장 열악한 곳이며, 인구도 1,729명으로 가장 적다. 또한 제주시와는 배편으로만 연결되고, 유치원은 1980년대 이후에 들어왔다. 참고로 축구선수 지동원이 이 곳에서 태어났다.[12] 과거 구좌읍이었다가 별도로 분리됐다. 인구는 1,843명으로 추자면보다는 많고, 유치원은 1980년대 이후에야 들어왔다.[13]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제주도순환궤도가 있었지만 얼마 못 가서 폐선됐다.[14] 제주도를 여행하다 보면 도내 차량들 대부분이 ‘하’, ‘허’, ‘호’를 달고 있는데, ‘하허호’ 번호판이 아닌 차량들은 거의 버스나 지역 주민의 차량이다.[15] 참고로 이 시절이면 한석원한석만이 초등학교를 다니던 시절이다. 한석원과 한석만이 유치원을 다녔다면 한석원은 1964년생이므로 1968~1970년에, 한석만은 1970년생이므로 1974~1976년 사이에 다녔을 것이다.[16] 제주시 노형동연동으로 이루어진 시가지. 일도동, 이도동, 삼도동 등은 구제주이다.[17] 옛 제주시 지역은 1960년대 8만 7,369명에서 2021년 38만 973명으로 엄청나게 늘었으나 옛 북제주군 지역은 11만 7,841명에서 11만 1,493명으로 감소해 시내 집중도는 42.6%에서 77.4%로 높아졌다. 제주시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38만 973명, 애월읍 3만 6,913명, 조천읍 2만 5,339명, 한림읍 2만 1,249명, 구좌읍 1만 5,546명, 한경면 9,029명, 우도면 1,740명, 추자면 1,687명으로, 추자면 인구는 노형동 인구의 31분의 1 수준이다. 거의 서울 도심의 소규모 법정동 인구 수준인 셈.[18] 제주어가 섞인 표준어를 쓰는 경우는 대부분 몇몇 단어 정도만 제주어 단어를 쓴다. 제주도가 고향인 노년층 중 유치원을 다닌 사람들은 원생과 교사가 모두 외국어 수준으로 심한 제주어를 사용했고 세대가 지나면서 그 강도가 점점 약해졌다.[19] 전국 고씨 인구가 47만 1,396명인데 그 중 3만 3,539명이 제주시, 8,396명이 서귀포시에 살고 있었다. 어느 정도냐면 제주도 상위 성씨 3개가 ‘김이고’, 5대 성씨는 ‘김이고강박’, 10대 성씨가 ‘김이고강박양오정문현’일 정도. (게다가 제주도에서 최씨, 조씨, 윤씨, 장씨 인구는 10위권 밖이다.) 이는 고씨가 사실상 제주 고씨 단본인 영향이 크다.[20] 여기서 말하는 강씨는 한자가 康이다. 전국 인구가 9만 1,265명인데 그 중 제주시에 1만 793명, 서귀포시에 7,554명이 살아 康씨 9명 중 1명은 제주도민일 정도. 심지어 제주도에서는 康씨는 정씨, 문씨, 송씨, 한씨, 홍씨, 최씨, 윤씨, 조씨, 장씨, 황씨보다 많다.[21] 이 변씨는 한자가 '성 변'인 변씨이다. 6만 633명 중 1,853명이 제주시에 살고 있었다.[22] 전국 부씨 인구가 1만 596명인데 그 중 4,574명이 제주시, 561명이 서귀포시에 살아 부씨 둘 중에 하나는 제주도민일 정도. 이는 부씨가 사실상 제주 부씨 단본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주도에서 부씨 인구는 권씨보다도 많다.[23] 전국 좌씨 인구가 3,378명인데 그 중 1,803명이 제주시, 145명이 서귀포시에 살아 좌씨 둘 중에 하나는 제주도민일 정도. 이는 사실상 좌씨가 제주 좌씨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배씨, 성씨, 채씨, 차씨보다도 많다.[24] 전국 현씨 인구가 8만 8,824명인데, 그 중 제주시에 8,197명, 서귀포시에 5,362명이 살아 현씨 8명 중 1명이 제주도에 살고 있을 정도. 물론 현씨 자체도 남한보다 북한에 더 많이 산다. 제주도에서는 현씨가 한씨, 최씨, 윤씨보다 많이 사는 셈.[25] 지동원은 1991년 5월 28일생(33세)이라 1994~1997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은 유치원 시절 에버랜드에서 판다 밍밍(明明)과 리리(莉莉)를 볼 수 있었던 것은 물론 두 자리 번호판을 처음으로 보고, 악명 높은 IMF 금융위기 사태를 유치원 시기 말미에 겪은 셈. 당시 추자도는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면이었다. 제주 시내에 사립유치원이 몰려 있고 추자면에 사립유치원이 없는 정황상 추자면 유일의 유치원인 추자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을 다녔거나 시내로 이사 와서 다녔을 것이다. 그 시절이면 9급 공무원 시험고졸들이 주로 치는 시험이라며 대졸자들 사이에서는 무시를 받았고 (이렇게 9급 공무원 시험이 대졸자들 사이에서 무시받은 데는 행정학 등 전문과목이 없고 모두 고교 과목이었던 점도 있다.), 이하영, 이지영, 이다지, 고아름 등이 아직 유치원생이거나 초등학생이었고 1960~70년대생들이 대학생이었던 시절인데 (이 때문에 1976년생 박봄, 조은정 등은 물론 1971년생 이기상, 1970년생 전한길이 1991년생들이 유치원을 다니던 시절에 대학생이었다.) 이 공식대로라면 지동원은 무려 이기상, 전한길의 대학 시절에 유치원생이었던 셈이다.[26] 강민호는 1985년 8월 18일생(38세)이라 1989~1991년 사이에 유치원을 다녔다. 이들이 유치원을 다닐 적에는 북제주군, 남제주군이 있는 건 물론 1960년대생들이 아직 대학교에 남아 있던 시절이었으며, 강민호는 이다지 (1985년 3월 11일생)와 같은 시기에 유치원 생활을 했다. 그래서 1987년 7월 19일생인 고아름은 1990년부터 1993년 사이에 유치원생이었으므로 강민호가 유치원 3년차일 때 유치원 입학 대상이 됐다고 하며, 고아름과 강민호는 유치원생 시기가 1년만 겹친다.[27]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28] 서귀포시에서 대천동, 예래동, 중문동을 뺀 나머지 동들.[29] 현재의 서귀포시 대천동, 예래동, 중문동.[30] 심지어 서귀포 시내보다 대정읍이 먼저 인구 5만 명대를 찍었다. 1955년 대정읍의 인구는 58,000명이었는데 과거 이 지역에 주문했던 제1훈련소의 영향이었다. 현재 인구는 2만 1,329명으로 그 절반도 안 된다. 참고로 마라도가 여기 소속이다.[31] 전라북도남원시는 南原, 제주도의 남원읍은 南元으로 한자가 다르다. 과거 전라남도 제주도 시절에는 서중면이었다가 개칭된 것이었다. 현재 인구는 1만 8,854명이고 유치원은 늦게 들어왔지만 사립유치원도 있다.[32] 제주도 현지인들이 흔히 ‘성읍’이라고 부르는 그 곳이며, 성읍민속마을정석비행장이 이 곳에 있다. 과거 전라남도 제주도 시절에는 동중면이었으나 개칭됐다. 인구는 1만 2,252명이며 사립유치원은 없다.[33] 성산일출봉이 있는 그 곳이며, 제주 신공항이 설립되는 곳이기도 하다. 과거 전라남도 제주도 시절에는 정의면이었다. 인구는 1만 5,434명으로 적지만 사립유치원이 있다.[34] 신화테마파크가 있는 그 곳이다. 과거 전라남도 제주도 시절에는 중면이었다. 현재는 인구가 1만 2,046명으로 적은데도 사립유치원이 있지만, 과거 이 지역에 살던 아이들은 버스 타고 서귀포 시내의 유치원에 다녔다.[35] 이렇게 되어 서귀포시의 공립유치원은 39곳까지 늘어났다.[36] 당시 남제주군 서귀읍 송산리.[37] 2000년대 이후 서귀포에서는 겨울이 사실상 아예 없어져, 이 동네에서 크리스마스새해 첫날가을, 설날, 추석여름이 돼 버렸다.[38] 마라도의 소재지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행정리 마라리)이다.[39] 심지어 유치를 신청했다가 탈락한 천안 (1921년), 청주 (1929년), 목포 (1921년), 강릉 (1923년), 창원 (1926년)보다도 늦었다.[40] 옛 서귀포시 지역의 인구는 1960년대 3만 3,491명 (중문면을 포함하면 47,491명)에서 2020년 10만 1,923명으로 늘었으나 옛 남제주군 지역의 인구는 8만 4,348명에서 8만 246명으로 줄어 시내 비중은 36%에서 55.8%로 높아졌다. 서귀포시의 읍면동별 인구는 시내 10만 1,923명, 대정읍 2만 1,761명, 남원읍 1만 8,766명, 성산읍 1만 5,412명, 표선면 1만 2,325명, 안덕면 1만 1,982명이다.[41] 구성·마북·동백1·동백2·동백3·상하·보정동[42] 대구광역시 최초의 유치원은 1910년 설립된 대구유치원이지만, 한국인을 위한 것은 1921년 설립된 달성유치원이 최초이다.[43] 특히 기독교는 신자들이 대부분 정치범수용소로 끌려가는 판국이다. 다만, 평양시에 어용인 교회와 성당은 있다. (장충성당, 칠골교회, 봉수교회 등)[44] 21대 국회에서 탈북자 출신 당선인은 2명인데, 태영호와 같은 세대는 유치원이 의무교육이 아니었으나 (탈북자 최초의 국회의원인 조명철 포함), 지성호와 같은 세대는 유치원이 의무교육이다. 지성호, 강나라 등 탈북자들의 대부분이 북한에서 유치원을 다니고 온 것은 이 때문이다.[45] 김일성의 생일인 태양절(4월 15일), 김정일의 생일인 광명성절(2월 16일), 김정은의 생일인 은하절(1월 8일) 등등.[46] 북한에서는 김정일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고 구라치고선전하고 있다. 실제로는 러시아 하바롭스크에서 태어났다.[47] 한국의 원복은 원마다 다르다. 남아의 원복은 비슷비슷하나 여아의 것은 원피스인 곳도 있고, 일반 치마인 곳도 있을 정도로 다르다.[48] 당연히 이 전쟁수업이라는 것은 실제로는 즐겁게 뛰어노는 체육 시간에 가까울 것이다(…) 그러면 당연히 좋아할 수밖에 없다.[49] 실제 북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키가 남한 유치원생 수준인 경우도 있다.[50] 독고씨, 동씨, 승씨, 선우씨는 80% 이상, 현씨와 탁씨 등은 70% 이상이 북한에 살고 있다.[51] 백인천은 중국에서 태어났지만 1945년 귀국해서 철산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1942년 9월 27일생(81세)이므로 유치원은 1946~1948년 사이에 다녔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7:35:51에 나무위키 유치원/지역별 현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